내일이 한글날이다.
요즘 싸이의 강남 스타일 덕분에 한국어의 인기가 치솟고 있는 것 같다.
덕분에 나도 기분이 좋다.
요즘 공부를 좀 하다 보니 우리말에 대해 너무 모르고 산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어 자모가 몇 개인지는 알아도 한글 자모가 몇 개인지,
어려운 영어 발음은 다 구분해도 한국어 표준 발음이 무엇인지,
한글이라는 이름이 왜 생겼는지...
잊었던 걸 되새기기도 하면서 하나하나 알아가는 재미가 있는데
공부의 부작용도 있다.
표준 발음에 대해 공부를 하고 나니 남편의 잘못된 발음이 귀에 들어와 몇 번 지적했더니 대노하시더라~
덕분에 남편하고 말다툼까지 했다. 자기는 고치고 싶지 않으니 다시는 지적하지 말란다. 그래서 헐~~
요즘 내가 보고 있는 책들이다.
우리 삶에서 한글의 역사적 의미보다 문자로서 갖는 역할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한글의 역사적 의미를 강조했지만 이제는 언어의 문제로 돌아와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학문 등 전문 영역의 언어로 쓰여져야 우리 한국어가 더 고급 언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우쳐 준다. 생활 언어로만 쓰이는 언어는 언젠가 사라질 수도 있단다.
사용하지 않는 언어는 사라질 수 있다는 걸 명심하고 우리의 삶과 문화가 깃들어 있는 한국어를 열심히 쓰자. 무분별한 영어 사용은 하지 말자.
일본인 노마 히데키가 쓴 한글에 관한 책.
한글이 태어나게 된 배경에서부터 중국 글자인 한자, 일본 글자, 그리고 우리 한글을 비교하면서 한글이 얼마나 우수한 글자인지 이야기한다.
세종이 한글을 얼마나 깊은 연구 끝에 만들어냈는지
최만리 등이 한글을 반대한 진짜 이유는 뭔지
한글이 창제된 후 우리 민중의 글자로 뿌리내리기 위해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등
아주 흥미롭다.
일본 학자가 한글에 대해 이렇게까지 우수하고 자랑스러운 문자라고 극찬한다는 게 좀 신기할 정도다. 책에서 주시경 선생에 대해 극찬을 하더니만 올해 한글날 주시경 학술상을 수상했다.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다 보니 문법을 세밀하게 알 필요가 있어서 필요할 때마다 들춰보는 책이다.
알고 있는 문법도 설명하기 애매한 것들이 있는데 국립국어원에서 나온 이 두 권의 책이 많은 도움이 된다. 1권은 체계에 대한 설명이고 2권은 용례 편이다.
처음엔 뭘 모르고 한국어를 가르쳤는데 공부하면서 가르치니 이제야 한국어 선생의 매력이 슬슬 느껴진다. 하지만 문법은 알면 알수록 어렵다.
아이들 보라고 사둔 책인데 내가 요긴하게 보고 있다. 우리 아들이 이 시리즈를 보면서 맞춤법 교정이 많이 되었다. 학생들은 물론 어른들에게도 강추하고 싶은 책이다. 절대 만화책이라고 무시하면 안 됨.
맞춤법은 공부를 해도 늘 어렵다. 이 책에서는 규칙 설명도 공식처럼 간단 명료하게 제시했고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례를 들어 머리에 쏙쏙 들어온다.
1권 맞춤법 편은 내게 가장 도움이 많이 된 책인데 올해 복수표준어로 인정된 39개의 단어 때문에 거슬리는 부분이 많다. 오늘 아침 출판사에 확인해 보니 연말에 개정판이 나올 예정이라고 한다.(1권은 연말에 개정판이 나오면 다시 구입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