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학기 쉬고 8월부터 한국어 선생을 다시 시작했다. 밖으로 나돌면서 일을 하니 몸이 좀 거하게 아팠다는 사실도 잊을 수 있어서 좋았는데 2주 후면 또 한 학기가 마무리된다. ^^
다문화 가정 주부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가장 중요한 건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해 가르치는 것이다. 우리나라 것만 가르치다 보니 다문화가 아닌 우리 문화만 일방적으로 강요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나는 수업 시간에 그녀들 나라에 대해 관심을 많이 보이는 편이다.
새로 나온 단어를 그녀들 고향 나라 말로 물어보며 책에 적어두고 발음을 따라하면서 그녀들의 배꼽을 빼게 한다. "선생님, 그거 아니예요~~~~" 그래도 난 그녀들이 고개를 끄덕일 때까지 계속 집착을 보이곤 한다.
그리고 교재와 관련해서 그녀들 나라의 문화를 이야기하도록 시킨다. 처음엔 멀뚤멀뚱 머뭇대던 그녀들도 3,4개월만 지나고 귀가 조금씩 트이기 시작하면 신이 나서 이야기한다. 어느 나라 사람이나 일치하는 말은 "우리나라 정말 좋아요~"다. 여기서 우리나라란 한국이 아닌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등 그녀들의 고향 나라다.
우리나라 궁궐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캄보디아의 앙코르와트 같은 사원에 대해 이야기하고, 우리나라의 일제강점기 역사를 말하면서 베트남의 프랑스 식민 역사를 간단하게라도 이야기해주면 그녀들의 눈은 행복과 자신감으로 넘친다. 음식이나 유명한 인물에 대해 관심을 가져주면 그렇게 좋아할 수가 없다. 가난한 탓에 한국까지 왔지만 그녀들이 조국에 대한 열등감을 가진 채 한국 생활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2년째 다문화 가정에 수업을 다니면서 느낀 건 내가 동남아 국가들에 대해 아는 게 너무 없다는 사실이다. 우리나라보다 후진국이라는 것만 확실하게 알고 있었지 뭐 하나 자세히 아는 게 없었다. 그래서 새로운 학생을 만날 때마다 나도 그녀들 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공부를 조금씩 하는 편이다. 함께 공부하고 배우면 더 즐겁기 때문이다.
자료를 찾다 보니 여행에 관한 책이 대부분이다. 베트남에 관한 책이 가장 많았고, 캄보디아에 관한 책이 가장 적었다. 베트남이나 태국의 전래 동화가 우리말로 소개된 것도 있고, 우리나라 전래 동화가 베트남어, 태국어, 중국어 등 이중 언어로 번역되어 나온 것도 있었다.
*** 베트남
*** 태국
*** 필리핀
*** 캄보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