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원주에 이사 온 지 반 년이 넘어섰다. 몇 년 동안 남도의 기온에 익숙해졌던 난 원주에서의 겨울이 참 낯설고 추웠다. 그래도 박경리 선생님의 옛집이 같은 단구동에 있다는 걸 생각하면 슬며시 웃음이 나오곤 했다. 그리고 봄이 되어 박경리 문학공원에서 주최하는 소설 토지학교에 다니면서 박경리 선생님과 <토지>에 대해 구체적인 공부를 할 수 있어서 참으로 행복했다.
7월 2일 방영된 MBC 스페셜 내 어머니 박경리를 보고는 선생님이 단구동 집을 떠나서 돌아가실 때까지 살았던 매지리에 가보고 싶어졌다. 그래서 일요일 오후 비가 한두 방울 내렸지만 토지문화관을 찾아갔다.(집에서 20분 거리) 토지문화관이 처음 생겼을 때 남편 친구가 근무를 한 인연으로 몇 번 가본 적이 있다. 그때 밭에서 일하던 박경리 선생님을 먼발치에서 본 기억이 나는데...
그리고 다시 찾은 토지문화관에서 난 정말 마음이 아팠다. 얼마 전 다녀온 통영과 하동에서 보고 온 박경리 선생님은 정말 귀하디 귀한 분이었다. 지자체에서 얼마나 선생님을 추모하고 <토지>를 귀하게 여기는지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었다. 그만큼 도시 곳곳에 박경리 선생님에 대한 자랑스러움이 묻어 있었다.
하지만 박경리 선생님이 <토지> 4, 5부를 쓰고 26년을 사신 선생님의 집, 주인을 잃은 집이 황폐해 보였다. 일반 독자로서 선생님이 그리워 찾아간 선생님의 집에서 난 목이 메었다. 겉모습이 다는 아니지만 그래도 우리나라 최고의 작가가 살다 간 집이 너무 쓸쓸해 보여서...
토지문화관은 선생님이 단구동 집에서 옮겨오면서 후배들의 창작을 위해 지은 공간으로 대부분 선생님의 인세 등 사재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69672.png)
토지문화관 올라가는 길.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69678.png)
문학관이 아닌 문화관이다. 문학뿐만 아니라 문화를 모두 끌어안은 선생님의 마음이 보이는 명칭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69676.png)
토지문화관 마당에서 바라본 풍경.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69677.png)
IMF 때 건물 시공자를 찾다가 현대건설을 찾아가 부탁하니 정주영 회장은 "비나 안 새게 지어 드리겠다"며 겸손해했다고 한다. 그런데 집에서 가장 중요한 건 습기가 안 차는 거라고.
토지문화관 1층의 모습. 오른쪽에 강당이 있고, 왼쪽엔 선생님의 유품 전시실이 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69713.png)
사고(思考)하는 것은 능동성의 근원이며 창조의 원천입니다. 그리고 능동성이야말로 생명의 본질인 것입니다. 하여 능동적인 생명으로 있게 하기 위하여 작은 불씨 작은 씨앗 하나가 되고자 합니다. 토지문화재단 설립의 뜻입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69685.png)
왼쪽으로 들어서면 아주 작은 선생님의 유품 전시실이 있다. 오래되고 낡은 선생님의 물건들을 하나하나 들여다보고 있자니 선생님의 손길과 화려한 것을 싫어했던 선생님의 소박한 삶이 느껴졌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69686.pn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69687.png)
박경리 선생님이 국어사전, 나무장과 더불어 평생 소중하게 생각하셨던 재봉틀. 지금도 선생님의 옷장에는 손수 지어 입던 옷이 가득 들어 있다고 한다. 소설 토지학교에 강의를 하러 오신 한 교수님은 그 옷들을 꺼내 패션쇼를 해도 될 정도라고 하셨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69689.png)
선생님의 손때가 잔뜩 묻은 담배갑, 안경집, 만년필... 이걸 보고 있는데 나도 모르게 눈물이 핑 돌더라.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69690.png)
50년 넘게 써서 너덜너덜해진 국어사전.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69693.png)
꼼꼼한 기록을 볼 수 있는 친필 원고.
선생님의 유품실을 둘러보고 밖으로 나오면 뒤에 건물이 하나 더 있다.
앞건물과 이어져 있는 작가들의 창작실이다. 작가들을 위한 창작실은 박경리 선생님이 평생 숙원하던 일이었다고 한다. 다양한 분야의 작가들은 이곳에서 머물며 창작을 위한 활동을 할 수 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69727.png)
토지문화관 오른쪽으로 있는 선생님의 집. 작가들은 밤늦도록 불이 켜져 있는 선생님 방을 바라보며 창작 의지를 불태우고 선생님에 대한 존경심을 키웠다고 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60753173569701.png)
선생님 집 앞에 있는 장독대. 저 많은 장독대에는 선생님이 아낀 후배 작가들의 밥상에 올리기 위해 장만한 것들이 담겨 있다. 박경리 선생님은 절대로 냉정한 분이 아니었다. 이렇게 후배들과 독자들을 아끼고 사랑하는 분이었다. 어찌 존경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