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에도 눈이 올까요? - 역사 이야기 - 1980년 오월 광주 맹&앵 동화책 5
김현태 지음, 김정운 그림 / 맹앤앵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젊은 부모 중에도 1980년 5월에  있었던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해서 제대로 모르는 이들이 많은 것 같다. 내가 중학교 일학년 때였다. 그 당시 우리는 뉴스를 통해 '광주 사태'라는 부정적인 용어로 광주의 오월을 전해 들었다. 그리고 광주의 오월에 대해 입만 뻥긋해도 간첩이라도 되는 양 취급당했다. 그리고 그 일로 인해 은연중에 광주라는 도시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까지 갖게 만들었다.

그러다가 몇 년 후 대학에 가서 오월 광주의 진실을 알고 얼마나 소름이 끼쳤는지 모른다. 1980년 오월 광주 시민들에게는 옳은 것을 옳다고 하고 잘못된 것을 잘못되었다고 말한 죄밖에는 없었다. 그래서 전두환 노태우가 정권을 잡았던 당시 대학을 다녔던 우리 세대 대부분은 군부 독재 타도를 외치는 투사가 될 수밖에 없었다. 쉬쉬 한다고, 억지로 가린다고 가려질 진실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대학 4년을 다니는 동안 한 학기도 조용하게 넘어간 적이 없었던 것 같다. 그 결과 6. 29 선언을 쟁취해냈고, 우리에게 민주주의가 좀 가까이 다가오는 듯싶었는데 어이없게도 mb 정권이 들어선 후 다시 80년대로 돌아가고 있는 듯하여 망연자실한 요즘이다. 

<오월에도 눈이 올까요?>는 초등학생의 눈에 비친 오월 광주의 모습을 잔잔하게 그리고 있다. 민수아빠는 대학생도 시민군도 아니었다. 단지 자장면을 배달할 오토바이를 찾으러 나갔을 뿐인데 군인들의 총에 맞아 돌아오지 못할 곳으로 갔다. 민수아빠는 도청 앞에서 총격이 벌어지던 날에도 자장면 한 그릇이라도 더 팔아보려던 우리의 시민이었다. 하지만 군부는 이러한 시민에게 폭도라는 무지막지한 죄명을 덮어씌워 오랫동안 억울하다는 말 한마디 꺼내지 못하게 했다.  

책을 읽는 내내 화가 치밀었지만 남편의 죽음을, 아빠의 죽음을 그리고 아들의 죽음을 헛되이 하지 않으려는 광주 시민들의 침착한 태도에 눈시울이 붉어졌다. 함께 책을 읽은 아들도 눈물을 훔치더니 씩씩대며 전두환도 죽었냐고 물었다. 대통령 잘 해먹고 아직도 호의호식하며 대대손손 잘 살고 있다고 했더니 이해할 수가 없댄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을 죽인 이를 어떻게 살려둘 수 있느냐고...  "그래, 아들아, 세상에는 엄마도 이해할 수없는 일들이 참말로 많구나! 그래도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된 분들이 있기에 그나마 오늘 의 대한민국이 있는 거란다." 

아직 4학년인 우리 아들이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제대로 알 리가 없다. 하지만 이 책을 읽다 보면 어떤 게 옳고 그른 것인지 깨닫고, 역사 속에서 진실과 거짓을 가려내는 힘도 키울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이런 진실은 교과서에서는 가르치지 않기에 부모와 함께 꼭 읽으라고 권하고 싶다.  이런 책은 진작에 나왔어야 했다. 5.18 광주를 잊어가는 부모님과 초등학생 모두가 함께 읽을 수 있는 책.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10-04-27 22: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잖아도 이 책, 5월 문학 페이퍼에 추가하려고 했어요.

소나무집 2010-04-28 09:13   좋아요 0 | URL
5. 18은 꼭 기억해야 할 역사니까 많이 소문내 주세요. 맹앤앵 사장님이 학교 다닐 때 열정적으로 학생 운동을 하신 분이세요.

같은하늘 2010-05-05 0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을 꼭 보려했는데 놓치고 말았네요. 뭐가 그리도 바쁜건지...
정말 이런책은 소문 많이내서 맹앤앵 사장님 말씀처럼 대박나야해요.

소나무집 2010-05-07 11:21   좋아요 0 | URL
정말 읽으면 좋은 책인데, 광주를 다룬 이야기라고 해서 과격하거나 그런 부분은 전혀 없어요. 아주 서정적으로 읽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