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가 모천으로 회귀하는 또다른 이유
연어 - 그림책
안도현 지음, 한병호 그림 / 문학동네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미 <연어>를 읽었기에 그림책 <연어>가 나왔다고 했을 때 정말 궁금했습니다.  전통적인 느낌의 그림을 많이 그리는 한병호 님의 그림과 어울어져 아주 멋진 그림책 <연어>가 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푸른 빛과 회색 빛이 도는 그림에서는 따뜻한 느낌은 찾을 수가 없습니다. 한 페이지를 가득 채울 정도로 큰 물수리가 작은 누나연어를 발에 움켜쥐고 날아오르는 모습에 은빛연어처럼 가슴이 쓰려옵니다. 눈과 얼음으로 뒤덮인 세상도 눈맑은연어와 사랑에 빠진 은빛연어의 모습도 쓸쓸하기만 합니다. 어쩌면 각자의 삶은 이렇게 쓸쓸한지도 모릅니다.

수백 마리의 연어가 자신이 태어난 고향으로 돌아가는 장면을 상상하면 그저 신기하기만 합니다 .그리고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작년에 한 생태학자에게 들은 이야기입니다. 연어가 가장 많은 캐나다 하천 주변에 사는 원주민들은 연어가 은혜를 갚기 위해 강을 거슬러오른다고 믿는답니다. 부모 없이 태어난 연어 새끼를 키워주는 것은 강가에 있는 나무라는 거예요. 나무들이 그늘도 만들어주고 양분도 줘서 큰 바다로 갈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에 결국 나무는 연어의 양부모일 수밖에 없대요.

그래서 어른이 된 연어는 고향으로 돌아가 알을 낳고 자신을 키워준 나무를 위해 죽은 몸을 돌려주는 거라고 하더군요. 알을 낳고 새끼 얼굴도 보지 못한 채 죽지만 은혜를 갚았으니 연어는 행복한 죽음을 맞이하는 거라고요. 그냥 종족을 번식시키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간다고 하는 것보다 훨씬 더 감동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림책 <연어>를 보면서는 어딘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린이들을 위해 그림책으로 다시 쓰다 보니 중간에 뭉턱뭉턱 잘려나간 부분이 많아서 그런 것 같아요. 자꾸만 사이 사이에 있는 이야기들이 연상됩니다. 아마 처음부터 그림책 <연어>를 보았다면 그런 생각은 안 들었겠지요?

그림책 <연어>를 읽으신 분들은 꼭 원래 <연어>를 읽어 보세요. 감동이 더 커질 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