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그리는 새 전통문화 그림책 솔거나라 15
김미혜 글, 한태희 그림 / 보림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궁이나 절에 가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건 알록달록 화려한 단청입니다. 하지만 자주 보는 그 빛깔에 관심을 가져본 적은 별로 없습니다. 늘 그런 곳에 가면 있는 것이려니 하고 지나쳤지요. 그래서 단청에 이렇게 아름다운 전설이 깃들어 있다는 것도 몰랐습니다.

한 스님이 길을 가다 가시덤불에 걸려 있는 깃털이 아름다운 새를 구해주었는데 여인으로 변신해서 스님이 있는 절로 찾아옵니다. 여인은 절의 단청을 해주겠다고 합니다. 대신 조건이 있었지요. 단청을 그리는 동안 절대로 법당의 문을 열어보지 말라는 것이었습니다. 스님은 아가씨와의 약속을 지켰지요. 아가씨는 법당의 먼지를 닦아낸 후 바탕색을 칠하고, 연꽃 문양을 그려 본을 만들고 새하얀 연꽃 무늬를 찍어냈지요. 벌레 먹어서 죽어가던 나무 기둥이 다시 살아나는 것 같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색을 입힐 차례가 되었습니다. 스님은 아가씨가 그림을 그리는 동안 탁발을 나갔다가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돌아와 보니 법당 안에서는 파닥파닥 날개짓 소리만 들렸습니다. 걱정이 된 스님은 아가씨의 당부에도 궁금함을 참을 수 없어 법당 문을 열고 말았지요. 그 순간 스님은 오색영롱한 새 한 마리가 자신의 깃털을 뽑아 색을 입히고 있는 장면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 새는 극락정토에 사는 가릉빈가였습니다. 목숨을 구해 준 은혜를 갚기 위해 사람으로 변한 것이었지요. 그렇게 해서 아름다운 단청이 그려지게 된 거랍니다. 그런데 스님이 문을 여는 바람에 마지막 꽃 하나는 칠하다 만 채로 남게 되었지요. 그래서 이 전설이 더 아름답게 느껴지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이야기는 실제로 부안에 있는 내소사라는 절에 전해 내려오는 전설이라고 합니다.

단청에 관한 지식을 재미난 이야기 속에 녹여낸 작가의 재주가 대단합니다. 아이들은 재미있는 이야기만 읽었을 뿐인데 어느새 단청에 관해 알게 되는 그런 책입니다.

맨 뒷장에 '엄마랑 아빠랑' 코너에는 단청이란 무엇일까요?, 우리나라 단청의 역사, 단청은 어떤 순서로 할까요?, 단청의 종류와 무늬, 단청의 빛깔과 안료, 단청을 보러 갑시다 등의 정보를 실어놓아 어른들이 읽어보고 아이들에게 쉽게 설명해줄 수 있도록 했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씩씩하니 2007-09-14 15: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전설은 처음 접해봐요...살짝 가슴아픈 전설인거죠..
단청에 대해 아이들에게 이야기해주기 딱 좋은 책인거 같애요...
요 시리즈가 다 좋을듯해요..그쵸?

소나무집 2007-09-15 07: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보림출판사에서 솔거 시리즈가 새롭게 나오고 있어요. 우리 아이들이 참 좋아했어요. 이 책은 표지도 참 마음에 드는 거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