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체험 학습 3학년 1학기
씨앗들의 열린 나눔터 학교 엮음 / 아이즐북스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아이들과 함께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갔다가 당황한 경험이 누구나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엄마는 열심히 설명 읽어주고 있지만 아이들은 한없이 지루해하면서 간식 먹을 궁리만 한다. 왜 이런 일이 생길까? 이유는 단 한 가지이다. 준비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막연히 데려가기만 하면 다 될 것 같지만 아이들은 쉽게 지루해한다. 이런 경험을 몇 번 하고 난 아이들에게 '박물관은 재미없는 곳'이 되어버릴 수밖에 없다. 이러다 보니 안 갈 순 없고 아이들만 전문 선생님이 있는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시키게 되는 것 같다.

아이들에게 박물관이 재미있는 이야기가 무궁무궁한 장소로 인식시켜주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부모가 미리 공부하는 것이다. 알고 떠나는 견학과 모르고 떠나는 견학의 차이는 말 안 해도 알 것이다. 하지만 어디로 갈 것인지, 무엇을 공부해야 할지 막연하다면 당장 아이의 교과서를 펼쳐 봐라. 아이의 교과서에 나와 있는 장소라면 아이도 부모도 더 흥미 있게 찾아갈 수 있을 테니까.

방학 전에 3학년 1학기 교과서를 미리 받아놓고도 들여다보지 못했는데 이 책을 보고 나니 예습을 다 한 기분이 들었다. 그만큼 이 책은 철저하게 교과서를 분석해서 체험 학습지 12곳을 골라 실어놓았다. 맨처음에 어떤 교과 단원에서 필요한 곳인지, 학습 목표가 무엇인지를 알려주기 때문에 중점적으로 볼 내용에 대해 감이 잡힌다. 교과서에 있는 내용뿐만 아니라 그 체험 장소에서 빼놓으면 안 되는 중요한 정보들을 풍부한 사진과 그림을 곁들여 설명해주고 있다.

박물관마다 아이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코너가 있다. 박물관 설명이 지루할 때쯤 아이들을 참여시키면 신이 나서 달려가는 곳이다. 이 책에서는 <생생 실험>이나 <생생 체험> 코너를 만들어 집에서도 해볼 수 있도록 했다. 여건상 박물관에 못 갔다면 이것들만이라도 미리 해보자. 수업 시간에 다시 한번 배운다면 아이는 엄마의 센스에 고마워하지 않을까?

<이곳에도 가 보세요!> 코너는 이미 소개한 체험 학습지와 비슷한 테마의 체험지를 전국에 걸쳐 소개해주고 있다. 책에서 소개한 곳이 거리상 너무 멀어서 갈 수 없는 이들을 위한 배려이다. 간단한 설명과 함께 홈페이지 주소가 나와 있어서 어떤 곳인지 미리 찾아볼 수 있다.

사실 이 책은 내용이 3학년이 되는 아이들이 읽기에는 좀 벅찬 감이 있다. 반드시 엄마가 읽어야 한다. 그런데 고맙게도 아이들에게 읽혀도 재미있어 할 부분이 체험지마다 들어 있다. 바로 <선생님 토크>다. 그 교과 단원에서 배울 것이 무엇인지, 어디로 견학을 갈 것인지, 무엇을 알아볼 것인지 알려준다. 아이들에게 무조건 책 읽으라고 하지 말고  <선생님 토크> 부분만 읽어보게 하자. 그러면 호기심 때문에 다른 부분도 관심을 갖게 될 것 같다.

박물관 다녀왔다고 다 끝났다 생각하면 안 된다. 반드시 체험 학습 보고서를 써 보아야 백 페센트 효과를 볼 수 있다. 이 책은 체험 학습 보고서를 잘 쓰기 위한 방법도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체험 학습 보고서를 쓰기 위해 체험지에서 챙겨야 할 것들, 보고서에 꼭 들어갈 내용, 유의할 점, 여러 가지 형식의 체험 학습 보고서, 특히 보고서에 꼭 필요한 사진 자료들을 실어 오려 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벽한 체험 학습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이 책에 나온 체험 학습지는 땅의 모양을 알 수 있는 지도 박물관(사회),

날씨의 변화를 알려주는 기상청(과학),

생활 속의 이야기가 전해지는 가회 박물관(미술),

우리 나라 민물고기 들과 만나는 민물고기 생태 학습관(과학),

안산 어촌 민속 전시관(사회),

경쾌하고 신나는 리듬을 느낄 수 있는 세계 민속 악기 박물관(음악),

우리 나라 도자기의 아름다움을 알 수 있는 이천 도예촌과 해강 도자기 박물관(사회),

생생한 곤충의 세계로 안내하는 곤충 박물관(과학),

광공업과 신비로운 석회 동굴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광공업 전시관과 고수 동굴(사회),

화려한 색채의 세계로 안내하는 서울 시립 미술관-천경자실(미술),

시끌벅쩍 흥겨운 정이 넘치는 성남 모란 시장(사회),  

우리 전통 놀이의 즐거움을 알려주는 하회동 탈 박물관(체육) 등 12곳이다.

 이젠 아이들과 함께 체험 학습을 떠나보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씩씩하니 2007-01-24 16: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서관에 없네요,,,울 둘째한테 딱인대..방학이 끝나기 전 체험학습 갈 만한 곳 물색 중였는데...

소나무집 2007-01-24 19: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신간이랍니다. 아이세움이랑 같은 집안 출판사라서 내용이 믿을 만합니다. 희망 도서로 구매 목록에 넣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