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잔
김윤영 지음 / 실천문학사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우선 이 소설집은 재미있다고 말해야 할 것 같다. 읽어 나가면서, "재밌네." 소리를 스스로 내며 읽었으니까. 그게 마치 나에겐 매콤한 양념통닭을 뜯어 먹으면서, "맛있네."란 말과 동격으로도 들린다.

왜 재미있어 했을까? 그리고 왜 생뚱맞게도 매콤한 양념통닭을 먹는 맛에 비유하는걸까? 그건 아무래도 작가가 이야기가 될만한 소재를 뽑아내는데 있어서 나름의 독특함이 있고, 이야기의 구성 방식에 있어 아이디어가 있어 보였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싶다.

 이야기는 '살인'과 '분열'('그가 사랑한 나이아가라' '집 없는 고양이는 어디로 갔을까' 등에서)이라고 하는 것을 통해 현대인을 사로잡고 있는 정신적 상태를 잘 끄집어 내고 있다. 그리고 소설은 세련되고, 이미지가 뚜렷한 것으로 보아 작가는 역시 영상세대를 비껴가지 않는 것으로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설은 뭔가의 아쉬움이 남는다. 살인과 분열이라고 하는 독특한 소재를 가지고 썼음에도 불구하고, 재미와 섬뜩함을 고루 겸비했음에도 불구하고 작가가 써내려가는 이야기의 칼날은 왠지 그 끝이 무뎌 보인다. 즉 이렇게 재미있고 독특한 소재의 작품을 이야기의 결말 부분에 도달할수록 별거 아닌 것으로 뭉개버린다는 느낌이 드는 것이다. 왜 일까?

작가는 이야기의 시작도 좋아야 하지만 정점에서 어떻게 독자의 알고 싶어하는 욕구를 자극하고 간질거리게 만들 것인가도 중요하다. 그리고 그 끝마무리도 깔끔해야  한다. 그런데 나의 기억 속에 작가의 작품은 끝마무리는 지극히 평범해 오히려 허탈하고 그 결말의 아쉬움 때문에 범작에 지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든다.

그에 대한 대표적인 예가 '검사와 여선생'이란 작품이다. 1인칭소설 속의 '나는'는 요즘의 젊은 아이를 대표한다. 이 '내가' 쏟아 놓는 말들은 가히 촌철살인이다. 한마디로 나도 정상은 아니지만 이야기에 등장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똘아이고 정상이 아닌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그래도 그중 가장 심성이 바르고 똑똑하다고 할 수 있는 나의 이종사촌 언니에게서 자칫 형부가 될지도 모르는 남자가 '변태'였다는 걸 끝까지 말하지 않는 것에서 언니 또한 얼마나 사람을 놀라게 만들 수 있는 인물인가를 잘 보여준다.

하지만 자칫 형부가 될지도 모르는 남자가 변태라는 사실이 독자인 나에게도 전달되는 순간 화자는 놀랐겠지만, 나는 이야기의 긴장이 확 빠지는 느낌을 받았다.  그것은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로 돌아설 수 밖에 없는 것 때문이었다고나 할까?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방식은 여러갈래다. 그래도 해 아래 새것이 없다고 지극히 새로운 것을 기대한다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작가는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고 그것을 쓴다고 하는데, 솔직히 말하면 남 보다 깊이 보거나 앞서서 볼 수 있다는 것뿐이지 전혀 새로운 것을 보는 것은 아닐 것이라고 본다.

'작가'를 흔히 이야기꾼에 비유하는 것은 그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힘을 가졌느냐 못 가졌느냐일 것인데, 뻔한 이야기도 어떤 사람은 지루하지만, 어떤 사람은 재미있게 한다는 것에 있다. 그것은 독특해서만도 아니다. 어떻게 디테일을 살리고  잘 풀어헤쳐 나갈 것이냐인데 그런 노련미가 작가 김윤영에게선 아직 발휘되지 않고 있다고 본다면 너무 건방진 소견일까?

작가의 작품들은 누군가가 단편영화로 만들어 보면 어떨까 하는 욕망을 갖게 만든다. 그만큼 독특하고 세련됐다. 작가가 이런 소설을 쓸 생각이었다면 히치콕의 작품들을 보면(수록작품 중 '집 없는 고양이는 어디로 갔을까') 더 좋지 않았을까를 생각해 보곤했는데 이건 어딨까지나 나의 바램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단편에 여러가지의 것들을 중첩시키는 것은 어찌보면 작가의 능력일수도 있고 욕심일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집 없는 고양이...'에선 혼혈의 자아정체와 아기를 갖고 싶은 것에 대한 자기분열적 행동을 중첩시키고, '산책하는 남자'에선 장편에서나 시도해 봄직한 남자의 시선에서 여자의 시선으로 크로스되다가 다시 남자의 이야기로 되돌아 오는 것등에서.

이런 일련의 것들을 봤을 때 분명 작가의 작품은 실험적이고 독자로 하여금 새로운 독서 경험을 갖도록 해 준다. 이 작품에 대해서는 독자들의 의견이 구구한데 역시 그것은 독자 스스로가 읽어보고 판단할 일이고, 작가의 다음 행보도 조용히 지켜볼만 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