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이미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 발상에서 좋은 문장까지
이승우 지음 / 마음산책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오래전에 신경숙 씨가 한 인터뷰에서 그런 말을 했다. 작가는 남이 보지 못한 것을 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천형(天刑)으로 끊임없이 책상에 앉아 글을 써야하는 운명을 지녔다고. 그 말은 오래전에 읽었는데도 나의 뇌리에서 잊혀지지 않는다.

그런데 나는, 초등학교 때부터 작가를 꿈 꿔왔고 지금도 여전히 작가로 살게되길 꿈꾸면서도 또 여전히 글을 쓰지 못한다. 왜일까? 왜 나는 작가를 꿈꿨을까? 정말 나는 남이 보지 못하는 걸 보는 것 같긴하다. 임금님의 귀는 당나귀 귀라고 말해주고 싶고, 남들이 벌거벗은 임금님한테, 임금님이 입으신 옷은 너무 멋져요.라고 외칠 때 "임금님은 벌거벗었어!"라고 외치는 소년이 나 이기를 바랬다.

그만큼 인간의 허위의식을 가감없이 까발리는 작가이길 바랬고, 진실을, 진리를 말하는 작가이길 또한 바랬다. 하지만 그러기는 또 얼마나 어려운가? 매일 머릿속에서는 몇 가지의 이야기가 헝클어져 있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그 많은 실타래 중 하나를 뽑아 글로 옮기려고 하면 쓰는 과정에서 뭉개져버린다.

이 책의 저자는 이 책에서 말한다. 한가지 발상이 떠올랐다고 해서 무작정 쓰기부터 하지 말고 꼼꼼히 세밀하게 메모부터 하라고. 그래도 나를 포함한 많은 작가지망생들은 영화 <파인딩 포레스터>의 늙은 작가의 말처럼 영감이 떠올라줘서 신들린 것처럼 쓰게되길 바라고 있지. 하지만 저자는 그런 천재가 없으란 법은 없지만 동시에 그런 사람은 웬만해서 있지도 않다고 잘라 말한다.

누구나 자신의 기구한 삶을 말할 때 내 얘기는 열 권의 책으로 써도 다 못 쓴다고 말하곤 한다. 그런데 왜 한 권도 못 쓰는 걸까? 저자는 그랬다. 작가는 보는 것을 쓰는 것이 아니라 아는 것을 쓰는 거라고. 보는 것을 쓰는 건 기자의 몫일 것이다. 작가는 그 보는 것을 해석한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래서 작가는 어려운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 해석 되어진 것을 가지고 독자를 설득하려니 어려울 수 밖에. 그래서 아무리 인간이 하는 일이 어려워도 작가질 보다 쉬울거라고 하다가도 여전히 책상 앞에서 그 천형(天刑)을 온전히 받고 있는 것이다.

나는 올해 들어서 본의 아니게 글쓰기에 관한 책을 접할 기회가 많아졌다.  아주 오래 전 소설작법에 관한 책을 펼쳐 들었다 낭패를 본적이 있었다. 소설을 어렵게 쓰지 말라는 얘기는 그 보다 오래 전에 들어서 알고 있는데 작법에 관한 책이 소설 보다 어려우니 이런 모순이 어디있나 싶어 3분의 1도 채 못 읽고 때려치웠다. 그로부터 오랜 세월이 지나서 글 쓰는 풍토가 좀 바뀌어서일까? 비교적 읽기 편하고 이론적이기 보단 실제적인 지침을 주는 글쓰기에 관한 책들이 많이 나왔다.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읽어 본 창작에 관한 책 중 가장 재밌게 읽은 책은 스티븐 킹의 <글쓰기의 즐거움>이 였던 것 같다. 그런데 작가 이승우의 이 책은 스티븐 킹의 책과는 또 다른 느낌이다. 질펀하지도 않고 우회하지도 않으며 군더더기가 없다. 깔끔하다.

현장에서 직접 뛰는 작가로서 소설쓰기의 실제적인 지침이 될만한 작은 책이다. 그러나 작다고 얕볼 것이 아니다. 정말 알멩이만 추려서 일목요연하게 썼다. 특히 에필로그에 '소설창작 교육에 관한 몇가지 오해'는 곱씹어 볼만한 글로써, 우리나라의 창작 풍토에 관해 일침을 가하는 작가 특유의 통찰이 보여 몇번이고 고개를 끄덕이게 만들었다.

특히 홍수 중의 가뭄이라고, 학교며 사설기관, 백화점 문화강좌에 이르기까지 창작을 가르쳐 주겠다는 곳은 많고 그 이상으로 어딜가나 배우는 학생은 넘쳐나는데 정작 종합 베스트셀로 순위에서 소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몇 권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소설을 쓰겠다던 그 많은 사람은 뭘하고 있는 것일까?

소설 쓰기란 단시간 내에 마스터 할 수 있는 무슨 기술이 아니라 인문학적 바탕위에  안에 있는 것이 밖으로 흘러넘쳐 나오기 까지 내면에 축척된 뭔가가 있어야 한다고 한다. 나는 저자의 말에 동의한다. 그렇다면 늘 쓸 것은 가득한데 가슴 속에 고여만 있고 뿜어내지 못하는 나는 그런 소양이 부족해서일까? 그런 것 같긴하다. 

저자는 또한 글쓰기를 너무 쉽게 보는 오늘 날의 창작풍토를 개탄했다. 거기엔 인터넷 글쓰기에 대한 비판도 간과하지 않는다. 앞으로 블로그에 글을 쓰는 것도 잘 해야할 것 같다.

 그런데 나에게 있어서 더 문제는 글이 뭉개져 버린다고 속상해 하고 소설작법에 관한 좋은 책들이 많이 나온다고 해서 이런 책만 탐독하게 될까봐 걱정이다.

작가 이윤기 씨가 동인 문학상을 받는 자리에서 이런 말을 했다지,

 "앞으로 미인이 지나간다고거울이 개선되는 것은 아니다. 뒤에다 수운을 칠해야 거울은 개선된다. 그러니까 떠들지 말고 써라" 라고

그렇다면 내가 취할 자세도 자명해 진다. 소설작법에 관한 책을 읽느니 인문학에 더욱 정진할 것이요, 안 그러면 잔말 말고 쓰는 것이다.  

 이 책은 가끔 글 쓰다 막히면 한번씩 훝어보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06-05-23 18: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이책 저도 열심히 보고 있어요 느리게 읽기 중 베껴쓰기 할 것도 찾고 있고요

stella.K 2006-05-24 12: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주 좋더라구요. 저는 김훈의 <개>를 베껴쓰기 할까 하는데 마음만 그렇습니다. 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