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의 한의학 - 낮은 한의사 이상곤과 조선 왕들의 내밀한 대화
이상곤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4년 12월
평점 :
조선의 역사는 왕의 역사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 왕을 중심으로 정치과 경제, 문화가 얘기되어진다. 그런데 이 책은 한의학으로 풀어 보는 조선 왕의 역사라고 해도 좋을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있자니 새삼 왜 이책이 이제야 출간이 된 걸까 싶기도 하다. 솔직히 우리가 역사에 관심을 갖게 되는 건 학교에서 배우는 국사 시간이 아니다. TV 드라마를 통해서다. 거기서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사약을 받고, 왕이나 세자를 살리기 위해 어의가 진맥을 하고 침을 놓는 장면 등을 보면서 왜 이 부분에 대해선 그리도 무덤덤했는지 모르겠다.
그나마 <대장금>에 와서야 역사 드라마가 좀 달라졌다고 감지하는 정도였다. 그래도 왕의 병에 관해서는 드라마가 다루기를 거부했던 듯 하다. 우리가 아는 정도는 세종이 걸어다니는 종합병원이라는 정도랄까? 책은 세종의 병에 대해 자세히 알려 줌은 물론 역대 왕들의 병에 관해 비교적 소상히 밝히면서 그 치료에 관한 한의학에 대해 펼쳐 보인다. 읽으면 우리 나라 국왕의 역사에 대해 가히 놀라지 않을 수가 없다. 특히 연산군에 관한 부분은 정말 혀를 내두를 정도다.
우리는 어디가 아프면 단 하루도 못 살겠던데 조선 왕들은 온갖 질병을 안고 정사를 돌봤다니 어떻게 살았을까 싶다. 병만이라면 그나마 나은 것이다. 시시때때로 자신의 목숨을 노리는 정적들과 간계들 속에 그야말로 하루하루 버티고 사는 것도 힘들었겠다 싶다.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라고 하지 않던가? 조선 왕들의 병은 천성적이라기 보다 심한 스트레스가 원인인 경우가 많다. 재밌는 건 저자는 적자에서 왕이 된 사람은 대부분 단명한 반면 영조 같이 방계에서 왕이 된 사람은 오래 장수했다는 통계도 내놓는다. 재밌기도 하지만 저자가 참 꼼꼼하게 글을 썼다는 생각이 들게도 한다.
무엇보다 저자는 한의학으로 왕의 역사를 논한만큼 요즘 흔히 다뤄지는 팩션으로 인해 왜곡되어진 역사의 부분을 바로 잡으려고 한다. 팩션은 알다시피 역사와 상상력이 결합된 이야기 형태를 의미하는 것인데 이는 TV 드라마나 영화의 영향이 가장 크다. 우리가 그런 매스컴을 통해 역사에 다가가는 것은 좋은데 그러다 보니 왜곡된 부분도 의외로 많다. 물론 역사적 사실이 좋은 것만은 아닐 수 있다. 일견 너무 경도된 면도 가지고 있을 것이다. 팩션은 너무 상상력을 강조한 나머지 인물을 왜곡할 수 있고. 그중 하나가 책에서도 다룬 광해군일 것이다. 지금까지 광해군을 직간접으로 다뤘던 드라마나 영화는 하나 같이 그가 올바른 군주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책은 과감하게 광해의 가리워진 부분을 드러내 보여준다. 또한 정조 역시 독살된 것처럼 알려지고 있는데 저자는 한의학의 관점에서 보면 일견 예견 거라고 한다. 누구는 또 이걸 가지고 옳으냐 그르냐를 말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그렇게만 볼 것이 아니라 다양한 관점으로 보는 눈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렇다면 저자의 관점도 참고해 볼만한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병을 가지고 있지 않은 왕은 없었지만 이걸 가지고 자신을 방어하기도 하고, 이것이 위협이 되는 순간이 있었다는 건 확실히 생각해 볼만하다. 예를들면 광해나 연산군은 병을 핑계로 정무나 경연을 멀리하기도 했단다. 나라도 그랬을 것 같다. 내 얘기지만 나도 초등학교 시절 학교가 너무 가기 싫어 병이라도 낫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이 많았다. 하지만 너무 건강한 것도 문젤까? 그런 일은 나에게 여간해서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니 그 마음 알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있자니 예전에 대통령의 스트레스를 다룬 재밌는 이야기가 생각이 났다. 대통령이 얼마나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인지 대통령직을 수락하는 순간 빠른 속도로 늙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비해 영부인들은 활짝 피고. 그런데 스트레스로 팍삭 늙긴 하지만 퇴임 후 생에 대한 만족도는 높아서 대체로 장수한단다. 그러고 보니 과연 그렇다 싶다. 물론 책의 내용과는 다소 배치가 되는 것도 같지만 그거야 오늘 날은 의학도 발달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 능력이 옛날에 비해 강화되었으니까 그럴 것이다. 하지만 스트레스만 놓고 보자면 그냥 넘길 부분은 아니다.
이 책이 시사하는 바는 물론 그런 왕의 병증을 다루면서 한의학은 발전해 왔을 것이다. 하지만 지혜로운 왕일수록 자신의 병을 어의에만 맞기지 않고 스스로 다스려나갔던 반면 폭군일수록 몸은 돌보지 않은 채 방탕하고 온갖 스태미너에 의존했다. 자신이 자신의 몸을 위해 무엇을 했더란 말인가? 그걸 할 줄 모르는 지도자 그리고 그 밑의 신하들과 백성들은 힘들어진다. 그래서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고 했을까?
아무튼 이 책은 역사와 한의학 두 마리의 토끼를 확실히 잡은 것 같다. 좋은 책이다. 일독을 권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