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한 사람들에겐 공통점이 있다고 한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개 결점이나 콤플렉스를 많이 갖고 있는데 이들은 이 결점에 굴복하지 않고 이겨내는 과정을 통해 또 다른 자신을 만들어 새롭게 다시 태어난 사람들이다.

가령 시성인 호머는 맹인이었고, 실낙원의 저자인 밀턴은 시각장애인이었고, 바다의 제왕 넬슨 제독과 유럽을 제패한 나폴레옹 그리고 大문호 섹스피어 등 이들에겐 다리에 이상이 있었다.

-발명왕 에디슨은 어릴 적에 구제불능의 바보소리를 듣고 자랐으며,
-아인슈타인 박사는 중학교시절 수학에서 낙제 점수를 받았다.
-농구 천재 마이클 조던은 고등학교 때 후보선수로 전전하다 퇴출 당했으며,
-디즈니랜드의 월트 디즈니는 다섯 번이나 파산을 한 적이 있다.
-뿌리의 저자 알렉스 헤일리는 출판사를 4년이나 찾아다닌 후 결국 성공했다.
-'내 영혼의 닭고기 수프'의 저자 잭 캔 필드는 33개 출판사의 퇴짜를 당했으며,
-다이아나로스는 9집 앨범이 나오기까지 히트 작을 하나도 못 냈다.
-영국 소설가 존 크레는 564권의 책을 출판하는데 753통의 거절장을 받았다.
-홈런 왕 베이브루스는 1,330번의 스트라이크 아웃 속에 714번의 홈런을 쳤다.

실패 예찬이란 말이 있다.

이 말은 이들처럼 성공한 사람들이 실패나 어려운 역경에 굴하지 않고 실패에서 성공의 씨앗을 찾아내고 이를 키워 엄청난 성공에 이른 일종의 인간 승리를 칭찬하는 것이다.

실패의 법칙에 <147/805법칙>이란 게 있다.

이 법칙은 에디슨이 전구를 발명하는 데까지 147번의 실패를,
그리고 라이트 형제가 비행에 성공하기까지 무려 805번의 실패를 했다는데서 비롯된 법칙이다.

그러니까 성공을 하려면 실패를 밥먹듯 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래서 실패한 사람의 95%는 실패한 게 아니라 도중에 포기한 것이라고 한다.

결국 성공이란 어떤 어려운 역경에 처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자의 프리미엄이라는 것이다.

무슨 일에나 낙담하지 않는다
끝까지 해낸다
결코 단념하지 않는다

이 세 가지는 성공한 자들의 공통된 좌우명이다.
힘들고 어려울 땐 「147-805 법칙」을 생각하고,
그래도 힘이 들고 자신감이 없을 땐「실패예찬」을 힘차게 부르자.

 

 

[출처 - cmhouse]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05-04-12 1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용기를 내십시오 효주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