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이 꿈이라면 나가서 뭐든 찍어라"

"맥도날드 주제로 다룬건 패스트푸드 대표이기 때문 비만은 미국의 새 전염병"
부산=어수웅기자 jan10@chosun.com
 


 


▲ 30일간 매끼마다 "수퍼 사이즈 주세요"를 외친 모건 스펄록 감독 부산=김용우기자 ywkim@chosun.com
30일 동안 한 끼도 빼놓지 않고 맥도날드 패스트푸드만 먹어댄 괴짜 감독 모건 스펄록(34)이 부산 국제영화제를 찾았다. ‘몸을 바친’ 다큐멘타리 ‘슈퍼 사이즈 미’(Super Size Me)와 함께다. 그는 올 1월 선댄스영화제의 다큐 부문 감독상을 수상했고, 지금까지 20여 곳의 국제영화제에 초청받았다. 건강을 회복하는 데만 14개월이 걸렸다는 이 ‘무모하고 용감한’ 감독을 10일 만났다.

―영화 찍는 동안 몸 상태는 어떻게 변화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할 정도였다. 1주일 만에 5㎏이 늘었고 한 달 뒤엔 12㎏이 증가했다. 콜레스테롤 수치와 혈압은 솟구쳤고 무기력증과 우울증까지 겹쳤다. 의사는 바로 실험을 중단하라고 했다. 어마어마한 고통 끝에 나온 영화인 만큼 모두들 즐겁게 보기 바란다.”

―지금은 괜찮나?“14개월 동안 식이요법과 운동을 통해 예전 몸무게와 건강을 되찾았다. 요리사인 여자친구가 한끼 한끼를 다 챙겨준 덕분이다.”

―왜 하필 맥도날드가 과녁이었나?

“특별한 이유가 있다. 미국에서 맥도날드는 패스트푸드 산업의 아이콘과 같다. 맥도날드가 시작하면, 버거킹, 웬디스, KFC 등이 다 따라한다. 비만은 미국의 새로운 전염병이고, 패스트푸드는 그 직접적인 원인이다. 나는 이런 이야기를 가장 효과적으로 하고 싶었다.”

―맥도날드로부터 ‘소송’이나 ‘타협 제안’은 없었나?

“전혀. 그도 그럴 것이 모두 사실에 근거를 뒀기 때문에 소송을 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대신 영화 개봉 후 슬그머니 ‘슈퍼 사이즈’(가장 큰 사이즈) 메뉴를 삭제하기 시작했다. 올해 말까지 모든 매장에서 완전히 없앤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런데 어떤 종류의 음식을 하나만 계속 먹으면 당연히 몸에 문제가 있지 않을까. 가령 스테이크도 한 달 동안 계속 먹으면 몸이 망가질텐데.

“맥도날드는 하나의 단일한 메뉴만 가지고 있는 게 아니다. 그들은 자신의 메뉴가 요리이며, 영양이 풍부한 식사라고 주장한다. 나 역시 (맥도날드의 대표 햄버거인) 빅맥만 먹은 게 아니라, 그들의 다양한 메뉴를 골고루 먹었다. 그런 후의 결과다.”

―미국에도 여러 사회문제가 있는데 그 중 ‘음식’과 ‘비만’을 선택한 이유는?

“나는 엄마가 매일 집에서 요리를 만들어주는 가정에서 자랐다. 또 여자친구는 강력한 채식주의자(Vegan)다. 그런데 요즘 미국인은 집에서 음식을 만들지 않고, 어쩌다 집에서 먹을 때도 주문한 패스트푸드 상자를 개봉할 뿐이다. 아이들도 그렇게 가르칠 수는 없지 않은가.”

―당신으로서는 첫번째 장편인데 왜 하필 다큐였나.

“당연히 제작비 때문이었다. 돈이 없었다. 케이블 MTV용 단편을 하고 생긴 5만달러(약6000만원)를 가지고 찍었다. 당시 쓰던 장비도 다 재활용했다.”

―지금까지 무려 2700만달러를 벌었다니 이제 제작비 부담은 좀 줄었을텐데, 다음 영화도 다큐를 고집할 건가?

“대부분 내가 아니라 배급자가 벌었다(웃음). 물론 앞으로 상업영화도 찍을 거다. 하지만 나는 다큐가 자신의 주장을 자유스럽게 담아낼 수 있는 유일한 장르라고 생각한다. 다른 상업영화는 모두 스폰서를 받아야 한다. 그런 점에서 다큐는 아주 중요하다.”

―뉴욕대에서 영화를 전공했다고 들었는데.

“학교 졸업 후 우디 앨런이나 뤽 베송 등 유명 감독 밑에서 허드렛일을 시작했다. 그런데 옆에서 함께 짐 옮기던 일꾼 하나가 ‘너는 장차 뭐하고 싶으냐’고 물었다. 나는 “영화감독이 꿈이다”라고 대답했다. 그랬더니 ‘나야 이게 직업이지만, 너는 왜 이러고 있냐. 나가서 뭐든 지 찍으라’고 했다. 머리가 번쩍했다. 그래서 닥치는 대로 단편부터 찍기 시작했다. 그때 결정하지 않았으면 아직도 짐 옮기고 있을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