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셀 오베린(Russell Oberlin)이나 파울 아벨 도 나씨멘토(Paulo Abel do Nascimento) 혹은 지미 스캇(Jimmy Scott)과 같이 Falsetto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옛날 카스트라토의 목소리를 내는 경우(매우 드문 경우고, 이름하여 endocrinological castrato라고 함. Kallmann's syndrome이라고 불리움)는 호르몬 분비의 이상으로 인하여 변성이 되지 않은 경우인데 이런 경우를 제외하고 카운터테너는 아주 특별한 교육을 받아야만 한다. 특별한 교육이라 함은 첫째, 가성발성의 특수한 발성법과 둘째, 이들 카운터테너들이 주로 부르게 되는 바로크 오페라 및 이들을 위해 특별히 쓰여진 레파토리의 연구이다.

보통 카스트라토와 카운터 테너를 음악용어에서 엄격히 구별하는데 이는 소리내는 방법이 엄청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카스트라토는 변성기를 겪지 않은 남성이 소프라노 파트를 담당한 경우이고 카운터 테너는 변성기를 이미 거친 남성이 가성에 의해 여성의 알토 파트에 상당하는 음역을 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가성에 의한 발성은 그 음역에 한계가 있어 카스트라토 만큼 높은 음역을 구사하기 힘든데 이로 인해 그들은 알투스(Altus)라고도 불린다. 모든 성악이 그렇듯이 음역은 개인마다 차이를 보이는데 일부 카운터테너들은 옛날 카스트라토 못지 않게 넓은 음역을 노래하는 테크닉을 구사한다. 유럽의 일부 성당 합창단과 궁중에서는 옛날 가성 발성을 남자 어린이들에게 가르치고 그들로 하여금 교회음악에 필요한 높은 성부를 담당하게 하였다.

내용출처 : [인터넷] http://my.netian.com/~bjaehoon/second.htm, 재훈이의 classic park, 카운트테너와 카스트라토 참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