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과학은 인간에 내재된 상상력의 실현”
제이콥 브로노우스키 지음
김은국·김현숙 옮김/바다/516쪽

▲ 인간 등정의 발자취
“그리스인들이 반인반마(半人半馬), 켄타우로스의 전설을 만들어낸 것은 자유자재로 말을 다루는 스키타이족에 대한 경이와 공포 때문이었다.” 저자는 폴란드 출신답게 당시 그리스인들이 느꼈을 공포감을 “1939년 폴란드 전역을 휩쓸며 달려오던 나치의 탱크부대에나 비길 수 있는 엄청난 것”이었다고 말한다. 과학자라기보다는 문명사가, 문명사가라기보다는 ‘인류의 철학자’라고 불려야 적절할 브로노우스키는 “말을 탄다는 생각은 기계를 발명한 것만큼이나 당시에는 깜짝 놀랄 일이었음에 틀림없다”고 통찰한다.

브로노우스키, 새삼 소개가 필요없을 만큼 이미 세계적으로 명성을 날린 과학자이자 문명철학자이다. 그는 “문학과 과학은 동일한 경험의 두 가지 서로 다른 언어”로 보았다. 둘 다 결국은 세계를 해석해내는 인간 상상력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그가 말하는 ‘인간 등정’이란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던 잠재적인 상상력의 실현을 의미한다. 좁게는 과학기술의 발전, 넓게는 인간문화의 발전은 결국 그 같은 상상력의 구체화라는 것이다.

내용은 한마디로 종횡무진이다. 인류의 기원을 좇아 에티오피아의 오모강 골짜기를 찾아간다. 인간의 생물학적 진화를 추적하기 위함이다. 진화 과정의 경이로움에 젖어있노라며 어느새 브로노우스키의 발은 근동 땅을 딛고 인간의 문화적 진화, 즉 문명의 발상 과정을 이야기한다. 이 두 가지 진화에서 뒤떨어져야 했던 신대륙에서 그가 찾아낸 주제는 지구의 역사 이야기다. 초창기 지구 내부의 움직임의 흔적들이 가장 많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시간적인 이동도 눈부시다. 100만년 전 북아프리카에서 70만년 전 자바섬으로, 그러다가 농업의 탄생을 이야기하며 1만여년 전으로 건너뛴다. 농업은 인류에게 비로소 문화의 역사를 가능하게 해주었고 도시의 조직화라는 한 단계 뛰어넘는 문명을 선사한다.


▲ 브로노우스키는 잃어버린 제국의 도시를 찾아 경관에만 몰두하지 말고 도로, 다리, 통신을 느껴보라고 말한다. 이 셋은 어떤 문명에서건 진보적 발명이라는 것이다. 사진은 잉카문명의 유적 마추픽추
돌을 다루는 인간의 손놀림에서 출발해 스페인 그라나다의 알함브라 궁전의 신비를 벗겨내고 돌 속의 구조를 이해하기 시작한 인간의 상상력은 결국 미켈란젤로를 거쳐 현대의 헨리 무어까지 연결시키는 그의 광대한 시야에 입을 다물기가 힘들 정도다. 불의 이야기는 합금으로, 다시 연금술을 거쳐 존 돌턴의 원자론에서 일단락된다. 음악과 수학이 한데 어우러지고 천문학과 종교재판, 영국혁명과 새로운 동력, 그리고 공장의 탄생 등도 인간 등정의 정점들이다.

고대벽화를 설명하는 다음 구절에 브로노우스키의 시각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무기를 만든 사람들과 벽화를 그린 사람들은 동일한 작업, 즉 오직 인간만이 할 수 있는 미래의 예상, 현재 있는 것에서부터 무엇이 나올지 추론하는 일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보이는 것에서 보이지 않는 것을 끌어내는 능력이야말로 상상력의 본질이며, 이런 상상력을 가진 인간에 대한 그의 신뢰는 무궁무진하며, 당연히 그는 이런 인간이 만들어낸 인류문명과 과학에 대해서도 무한한 자긍심을 가져도 좋다고 말한다.

(이한우기자 hwlee@chosun.com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갈대 2004-05-05 1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고 싶은 책입니다. 비싸서 좀 망설여지기는 하지만..

stella.K 2004-05-05 1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래요. 그냥 올려봤어요. 언젠가는 사게되겠지요.

waho 2004-05-05 2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책이 있는 줄도 몰랐어요. 근데 넘 비싸네요. 지금 찾아보니...허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