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인 지음 | 아카넷 | 586쪽 


간혹 ‘서양의 역사와 문화’라는 교양 과목을 가르칠 때가 있다. 학생들과 대면하는 첫 시간부터 늘 곤혹스럽다. ‘서양’이나 ‘동양’이 역사·지리적 실재가 아니라 만들어진 ‘상상의 역사 지리’임을 강조하노라면, ‘서양의 역사와 문화’라는 과목의 정당성을 처음부터 부정하는 꼴이기 때문이다.

‘서양’의 실정성이 부정되면, ‘서양사’ 전공 교수로 분류되어 ‘서양사’를 연구하고 가르쳐야 하는 내 자신의 학문적 존재와 재생산의 근거가 사라진다. 더 곤혹스러운 것은 ‘서양’의 대학에는 ‘서양사’라는 전공이 없다는 점이다. 한국 대학의 지식 분류 체계가 ‘서양’보다 더 서양적인 것이다.

강정인 교수(서강대·정치학)의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는 ‘서양’보다 더 서양적인 한국의 지식사회에 보내는 차분하면서도 통렬한 경고장이다. ‘서구중심적 세계관을 내면화’한 이 땅의 지식인들에 대한 그의 비판은 자기 성찰에서 출발하기에 단단한 존재론적 기반을 갖는다.

그에 의하면 ‘서구중심주의’는 서구우월주의, 서구보편주의·역사주의, 문명화·근대화·지구화라는 세 가지 명제로 압축된다. 서구는 다른 문명에 비해 내재적으로 우월한 요인들을 갖고 있어서 먼저 근대 문명의 길로 접어들었고, 서양의 근대가 걸어 온 길은 여타 문명권도 본받아야 할 인류 역사 발전의 보편적 길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다시 ‘서구예외(例外)주의’와 ‘오리엔탈리즘’으로 요약된다. 계몽주의, 자유주의, 합리주의, 진보사상 등을 특징으로 부여하면서 서구를 특권화하여 ‘유럽의 기적이라는 신화’를 만든 서구예외주의와, 비유럽은 자유주의, 합리주의, 법치주의, 사유재산 등이 결여되었다는 ‘부재의 신화’를 만든 오리엔탈리즘은 사실상 한 동전의 양면인 것이다.

‘서구중심주의’는 제국에 앞서 제국을 정당화하는 지식 체계이다. 아메리카 인디언들로부터 영국 이주민들의 재산권을 옹호하고자 했던 로크의 재산권 이론에서부터 기독교에 대한 서구예외주의와 유교에 대한 오리엔탈리즘으로 가득 찬 헌팅턴의 ‘문명의 충돌’에 이르기까지 그 목록은 끝이 없다.

사이드, 채터지, 블로트, 프랭크, 영 등 탈식민주의 연구자들의 선구적 업적을 계승한 저자의 이러한 문제 의식은 선언적 차원을 넘어선다. 한국의 현실을 서구의 경험과 개념에 두들겨 맞추는 서구중심주의적 심성에서 한국 보수주의의 특수성을 끌어내는 저자의 신선한 시도는 자신의 문제 의식을 학문적으로 감당하고자하는 한 지식인의 고투를 보여준다.

‘동양’에 대한 ‘서양’의 편견을 지적하거나 겉으로 드러나는 제국의 지배에 대한 도덕적 비판은 상대적으로 쉽다. 21세기의 탈식민적 상황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더 이상 ‘군림하는 제국’이 아니라 ‘헤게모니로서의 제국’이다. 지배하지 않는 듯한 외양을 띠는 헤게모니는 늘 숨어 있다. 그리고 더 심층에서 더 정교하게 작동한다.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문제 제기가 제국의 헤게모니에 대한 비판 작업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그 이데올로기가 소외와 억압의 기제이며 비(非)서구 사회의 지식인이나 일반인 모두 그 피해자라는 저자의 지적은 옳다. 그러나 그것은 동시에 서구 사회 자체 내에서도 시민을 규율화하고 주변인을 만들어내는 소외와 억압의 기제로 작동한다.

지구적 차원의 민주화 혹은 ‘다중심적 다문화주의’에서 대안을 발견하려는 저자의 시도는 ‘동양’의 피해자뿐 아니라 ‘서양’의 주변인에게도 눈을 돌릴 때, 싹을 틔울 수 있을 것이다. 서울에도 ‘서양’이 있듯이 뉴욕에도 ‘동양’이 있는 것이다. ‘서양’의 해체는 ‘동양’의 해체이지, ‘동양’의 반사적 구축은 아닌 것이다.

임지현·한양대 사학과 교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