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으로 읽는 타르코프스키 영화 7편
 김용규 지음/ 이론과 실천 / 335쪽 

영화가 구원에 이르는 길을 보여줄 수 있을까. 긍정하기 쉽잖은 질문에 만일 그렇다고 답할 수 있다면, 우리가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란 이름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장편 데뷔작 ‘이반의 어린시절’(1962)에서 유작 ‘희생’(1986)까지 모두 7편에 이르는 걸작들에 담긴 러시아 감독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영화세계 지향점을 한 단어로 압축한다면 바로 구원일 것이다. ‘타르코프스키의 순교일기’(두레) 같은 책을 보면 그가 거의 종교적 신념에 가까운 태도로 영화작업에 매달려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예술가였고 철학자였으며 동시에 구도자였다.

‘타르코프스키는 이렇게 말했다’는 그의 영화 7편을 철학적으로 치밀하게 해석해낸 역작이다. (엄청난 대중적 영향력을 지닌) 영화라는 매체를 빌려 (골방에 유폐된) 철학을 설명하려는 책들은 많이 나왔지만, 영화 자체를 철학적으로 해설한 책들은 별로 없는 상황에서 위대한 창작자에 대한 존경을 잃지 않는 이 책은 단연 빛난다. 저자는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크시슈토프 키에슬로프스키의 10부작 영화 ‘십계’를 한 편 한 편 꼼꼼히 다뤄낸 책 ‘데칼로그’에서도 영화 해석의 또 다른 깊이를 보여준 바 있다.

‘타르코프스키는 이렇게 말했다’에 등장하는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개념들은 그 자체로 교양과 지식의 대상이라기보다는, 감독의 영화세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동원되는 도구에 가깝다. 자전적인 작품 ‘거울’을 해설하기 위해 라캉을 끌어들이고, ‘이반의 어린시절’ 속 현대문명에 대한 위기의식을 설명하기 위해 마르쿠제의 저서 ‘일차원적 인간’과 연결짓는 등 상대적으로 익숙한 독법도 있지만, ‘안드레이 류블료프’의 주인공이 처한 실존적 위기를 니콜라이 하르트만의 윤리학으로 해설하는 것처럼 독특한 시도도 담겨있다. 학문의 딱딱한 개념어로 예술의 풍부한 상징을 난도질하는 잘못을 범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 책이 지닌 또 하나의 장점이다.


▲ 타르코프스키의 대표작 '노스탤지어'
저자는 각 작품을 장별로 분석하면서도 ‘타르코프스키적 구원’이란 중심테마에 대한 관심을 내내 잊지 않음으로써 이 책에 튼튼한 척추 하나를 심어놓았다. 첫 작품 ‘이반의 어린시절’을 타르코프스키 예술 세계 전반에 대한 ‘위대한 질문’ 자체로 인상적 자리매김을 한 저자는, 마지막 작품 ‘희생’에 대한 글을 맺는 자리에서 애초 제기한 물음을 다시 상기시킨 뒤 타르코프스키의 말을 인용해 답변을 시도한다.

그리고 한 빼어난 영화 철학자의 뇌와 심장 속으로 깊숙이 파고들려 했던 이 책의 맨 마지막 페이지는 독자(관객)의 윤리적 결단을 상기시키는 묵직한 질문으로 끝을 맺는다. 다른 감독에 대한 책이라면 너무 많이 나아간 결말일 확률이 높겠지만, 그게 타르코프스키에 대한 것이라면, 사실 이보다 더 적절한 마무리를 찾기도 어렵지 않을까.

(이동진기자 djlee@chosun.com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