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S. 루이스는 「순전한 기독교」나 「고통의 문제」 등으로 이미 국내에 많은 독자를 확보하고 있다. 대단한 영적 통찰력을 지닌 작가이지 않는가? 내용이 쉽지 않은 면도 있던데….
지난해 영국에 갔을 때 잠시 머문 집 주인이 루이스의 애독자였다. 그에게 루이스의 「고통의 문제」 한국어판을 보여 주며 “내용이 쉽지 않다”고 말하자, “쉽지 않은 게 아니고 깊이가 있다”고 대답하더라. 그 말에 수긍했는데, 정말 쉽지 않다기보다 그 깊이가 여느 작가들과 달라 ‘쉽지 않게 느껴지는’ 것 같다.

「예기치 못한 기쁨」에는 ‘C. S. 루이스 회심기’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지금까지 나온 루이스의 책들과 달리 지극히 사적인 고백들을 많이 들을 수 있을 것 같다.
바로 그 점이 「예기치 못한 기쁨」의 큰 매력 중 하나다. 그리고 지금까지 국내에 소개된 적이 없는 루이스의 어릴 적부터 청년기까지 사진들이 맨 앞에 별도 편집돼 있어 흥미를 더한다. 루이스는 머리말에서 “내가 어떻게 무신론자에서 그리스도인으로 회심하게 되었는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에게 대답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고 말하고 있는데, 그의 대답은 아주 성공적이다.

내용을 짤막하게 간추려 들려준다면?
루이스는 어린 시절부터 책을 읽고 상상하기를 좋아했다. 이미 다섯 살 때 직접 동화를 쓰고 그 동화의 삽화를 그릴 정도였다. 암에 걸린 어머니의 죽음은 그에게 하나님에 대한 회의를 가져다 준 최초의 사건이었다. 그 후 여러 학교를 거치면서 그는 희미하게 남아 있던 신앙의 그림자를 모두 지워버리고 마침내 중학교 시절에는 무신론자가 된다. 옥스퍼드 대학에 들어가기 전 커크 패트릭이라는 개인 교사에게 배우게 되는데, 패트릭은 무신론자에다 철저한 변증주의자였다. 그런데 그에게 배운 변증론적 사고가 나중에 루이스의 무신론을 깨는 무기로 쓰이게 된다는 점은 참 흥미로운 역설이다. 1929년 루이스는 여름 학기에 ‘하나님이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무릎을 꿇고 기도’하게 된다. 그는 자신의 회심을 두고, 하나님께 ‘강제로 끌려갔기 때문에’ 제 발로 집을 찾아간 탕자보다 못한 것이라고 말한다.

특별히 「예기치 못한 기쁨」에서 주목해 읽어야 할
포인트가 있다면?

루이스의 책들을 읽다 보면 ‘어떻게 이런 생각을 다 할까?’하고 절로 탄성이 나오는 적이 허다하다. 「예기치 못한 기쁨」은 루이스의 생각의 속살이 오래도록 씹히는 책이다. 또한 이 책은 큰 틀에서 종교적 회심을 그리고 있지만, 문체나 글의 구성상 영문학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의 문체뿐 아니라 그 문체를 고스란히 맛보게 해 주는 번역, 자기 고백적인 생각, 사고의 편린들을 한 올씩 음미해 보라. 그리고 번역자의 분투를 보여 주는 역주(譯註)를 성실히 따라가 보라. 그러면 왜 다 읽고 난 사람들이 ‘이런 재미가 있는 책도 다 있네’라고 말하는지 알게 된다.


글·옥명호 홍성사 편집실장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설박사 2004-03-15 15: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개인적으로 c.s.루이스를 좋아합니다만.. 이 책은 읽다가 말았습니다. 그 예기치 못한 기쁨을 발견하기까지 좀 지루하더라고요. 아마, 지금 읽으면 끝까지 읽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stella.K 2004-03-15 16: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아직 읽지도 못했습니다. 전 귀가 얇아 남의 얘기 잘 듣는 편인데, 설박사님 때문에 이 책 고려대상이 되었네요. 저에겐 이 책이 '예기치 못한 슬픔'이 될 것 같습니다. 어쩌죠...흠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