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정복한 남자 류비셰프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그라닌 지음, 이상원.조금선 옮김 / 황소자리 / 200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이 신문지상을 통해 나왔다고 했을 때 꼭 한번을 사서 읽어 봐야겠다고 생각했다. 사실 나도 언젠가는 내가 시간 사용을 어떻게 하고 있나 체크해 봐야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언제부턴가 어제와 별로 다를 바 없는 삶을 오늘도 똑같이 살고 있는 나 자신이 문제가 있다고 봐졌기 때문이다. 어렸을 때는 매일이 새로웠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매일은 그리 새롭지 않았고, 단지 시간에 대해 죄를 짓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이대로 살면 안되는데 하는 뭔가의 강박관념. 시간은 누가 책임져 주지 않고 오직 나만히 홀로 책임질 수 있는 것 같다.   

이 책을 일고 있자니 학창시절 나의 공부 방법이 생각이 난다. 워낙에 되는대로 공부했던 나는, 한번은 마음을 먹고 시간을 잘 짜서 공부를 했다. 그랬더니 집중력도 좋아졌고, 크게는 아니어도 어느만큼의 소기의 성과도 거두었다. 그러나 어느 순간 진도에 시간을 맞출 것이냐, 시간에 진도를 맞출 것이냐를 흔들리다 이도저도 아닌 옛날의 나로 돌아가고 말았던 기억이 난다. 아마도 그때 이 책을 알았더라면 나의 삶이 달라졌을지도 모른다. 아, 이렇게 산 사람도 있었구나! 이마를 치며 말이다.

어린 아이의 시간은 더디흐른다고 한다. 나의 경험을 봐도 그렇다. 난 언제 어른이 되나 기다렸으니까. 그러다 가면 갈수록 시간은 빠르게 흐르고, 노년으로 가면 물리적인 시간은 여전히 빠른데 삶의로써의 삶은 너무나 더디다고들 말한다.  지금은 내가 어렸던 시절 그렇게도 고대해 맞았던 어른이 되었다. 어른의 삶은 생각보다 재미있는 것은 아니다. 재미나 호기심, 창조에 관련된 모든 것은 내가 만들어 가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그것은 하나의 시간이 되고 의미가 되어야 한다.   

류비세프는 시간을 윤리로 보았다고 했다.

인간은 자기 일생에서 과연 어떤 일에 시간을 쓸 권리가 있으며 어떤 일에 그럴 권리가 없는가? 류비세프는 스스로 시간 사용이라는 윤리적 행동을 위한 윤리적 원칙을 만들었다.(202p) 그는 강박적으로 헛투로 사용하는 시간이 없었다. 그래서 솔직히 이 책은 나에게 부담스러웠다. 그는 분명 시간을 정복한 사람임에 틀림없지만 자질구레한 부분에서까지 자신을 관리하고 다스리는 것이 과연 평범한 나로써 감히 흉내낼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 때문에. 그러나 그의 삶의 자세는 곰곰히 숙고해 볼 필요는 있다.

나는 여기에 그가 학자로서, 시간을 정복한 사람으로서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몇 개의 글귀를 옮겨놓으므로 그의 삶의 단초들을 더듬어 볼까한다.

* 류비셰프의 생활 원칙

1. 의무적인 일은 맡지 않는다

2. 시간에 쫓기는 일은 맡지 않는다.

3. 피로를 느끼면 바로 일을 중단하고 휴식한다.

4. 열 시간 정도 충분히 잠을 잔다.

5. 힘든 일과 즐거운 일을 적당히 섞어 한다.   (165p)

* 그는 서두르는 법이 없었고 바쁘다는 한탄도 늘어놓지 않았지만 다른 누구보다도 많은 일을해냈다. 과연 언제 이 일을 했을까? 알 수 없는 일이다. 류비셰프 류의 사람들은 이렇게 독특하고 비밀스럽게 시간을 사용한다. 이들은 시간이라는 탐욕스러운 신과 두려움 없이 대면한다. (166p)

* 진리를 탐구하는 학자라면 절대적인 신념을 가질 수 없다(여기서 말하는 것은 논쟁이 존재하는 지적 분야에서의 신념이다). 그는 계속해서 새로운 논쟁을 벌이며 상대와 합의를 이루려고 애쓴다. 상대에 대한 우월감이나 허영심 때문이 아니라 자기 생각을 검증하기 위해서 논쟁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대의 논지가 무엇인지 분명해지고 그것이 객관적이고 엄정한 자료가 아닌 이런 저런 편견에 바탕을 두고 있는 확신이 들 때까지, 그리하여 더 이상의 논쟁이 불필요할  때까지 논재쟁을 계속한다. 진지한 논쟁은 상대의 논지를 마치 자기 것인 양 확신에 차서 주장할 수 있을 때에야 종료될 수 있다. 하지만 그 다음에 상대의 편견 혹은 선입견의 근원에 대한 논증이 덧붙어야 한다.  (178p)     

이렇게 그는 시간에 대하여 승리자답게 살았고, 학자답게 살았다. 우리 인간은 시간의 청지기라고 말한다. 청지기의 삶은 또 어때야 하는지 이 책을 통해 생각해 보는 것도 유익하리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