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글쟁이들 - 대한민국 대표 작가 18인의 ‘나만의 집필 세계’
구본준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나는 기자라면 흔히 방송이나 신문 기자를 떠올리곤 하는데 기끔 이런 기자들의 이런 책을 보면 반가운 마음이 든다. 물론 이것도 어찌보면 철저한 기획에 의한 소산일텐데 이 책의 저자겸 기자는 고맙게도 (아직도) 우리나라 미디어에 오르내릴 법한 소위 말하는 '스타 먹물들'을 취재했다는 점에서 나의 기대감을 충족시켰다.
솔직히 난 작가들을 포함해서 우리나라의 저술가들이 궁금했다. 어떻게 글을 쓰고 있는가는 물론이고, 그들의 생활, 무슨 생각을 하며 사는지가 늘 궁금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나의 이런 궁금중을 어느 정도 채워주기에 충분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우리나라 유명 저술가들이 어떤 식으로 글을 쓰고 있는가는 그 사람의 책 자체 보다 흥미롭다. 이 책에 나오는 작가들 그들의 (자기 전공에 대한) 자료 분류법. 글 쓸 때의 습관들, 평소의 생각들, 글에 대한 소신들이 담백하게 담겨있다. 그래서 이 책은 작가와 독자를 좀 더 가깝게 느끼게 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 특히 나는 국문학자 정민 편이나, 우리에겐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만화가 김세영 편과 공익에 이바지하고 있는 구본형 편이 흥미롭게 읽혔는데, 정민 교수의 문체에 대한 고민과 연구는 그의 성실한 자료 보관 습관만큼이나 신뢰가 느껴져 그의 책들은 나중에라도 전작에 도전하고 싶게 만들었다.
또한 김세영 만화가는 그의 대표작이 '타짜'라면 누구나 고개를 끄덕이게 만드는 사람일텐데 작품만큼 알려져 있지 않아 안타까움이 느껴졌다. 놀라운 건 그는 만화가이면서 만화는 보지 않는단다. 그는 오히려 영화를 많이 본다고 한다. 거기서 아이디어를 얻고 장면과 이야기를 만들어 간다는데 그런 그의 독특한 방법이 나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같은 만화가이면서 스승인 허영만 씨와의 애증관계는 정말 듣고만 있어도 이들은 정말 만화를 사랑하고 우리나라 만화 발전의 선구자 구나 싶었다.
또한 구본형 씨 같은 경우는 경영에 관한 분야를 인문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쓴다는 것과 자신의 그런 글쓰기 노하우를 전수하는 일을 한다는 점에서 참 좋은 일을 하는 사람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 귀가 아프도록 떠드는 '인재 육성'을 몸소 실천하는 사람 같이 신뢰가 갔다.(이쪽 분야엔 그다지 관심이 없어 개인적으로 그의 책은 이제까지 읽어 본적이 없는데 한번 읽어봐야겠단 생각도 든다.)
이 책을 읽다보면 사람들의 비슷한 공통점을 발견할 수가 있다. 그것은 하나 같이 자신의 일을 일로써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냥 내가 좋아서 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블루오션을 개척했다는 것이고, 자기 관리가 철저하다는 것이다. 즉 쓸데없이 낭비하는 시간이 없으며 사람을 만나는 것이나 모임에 참여하는 것을 극히 제한하고 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자기 시간에 철저한데 이것은 정말 본 받을만 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그들이 말은 그렇게 하지만 세간에 오르내리는 저술가가 되기까지는 그냥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게 이 책이 말하는 숨은 진실일 것이다. 그들은 전문 지식을 가졌고 자기 좋아하는 일을 함에도 불구하고 또한 모험을 한다. 우리나라가 아직 온전한 전업 저술가로만 살아가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것은 선진국에 비하면 반도 못 쫒아갈 형편없는 대우를 받으면서도 말이다. 그래서 교수이면서 책을 내거나 온전한 저술에만 의존할 수 없기에 강연으로 충당하기도 한다. 저들이 일급이라 그나마 버티겠지만 일급이 아닌 다음에야 나머지 사람들은 어떨까? 감히 가늠해 보게된다. 우리나라는 언제나 그렇게도 부르짖어 맞이하는 초일류 국가가 될런지 모르겠다.
저자의 애쓴 공력이 느껴져 좋기는 하다. 하지만 편집이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았다. 한 사람 한 사람 인터뷰를 한 후 후기처럼 쓴 글을 박스처리했는데 글자 색은 검정색이면서 회색 바탕을 사용하고 있어 눈이 좀 피곤했다. 다르게도 편집할 수도 있었을 텐데 왜 요따위로 했는지 모르겠다.
우리나라에 이 사람네들 말고도 더 많은 먹물들이 있을 텐데 다음에도 저자의 농익은 글을 대할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단 어설픈 바램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