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고고한 연예
김탁환 지음 / 북스피어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이 책을 발견했을 때 나는 '이토록 고고한 연애'인 줄 알았다. 그런데 '... 고고한 연예'다.
연예하면 요즘 연예인들의 예능 프로에서의 활약상이나 아니면 그들의 험담을 연상시키지 않나. 그런데 연예의 사전적 의미를 보니, '대중 앞에서 음악, 무용, 만담, 마술, 쇼 따위를 공연함. 또는 그런 재주.'라고 나와있다. 그런 연예가 조선 시대에도 있어다는 게 새삼 놀랍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 조선 시대 광대들의 삶을 이름이다.


이 책은 마치 저자의 소설 <서러워라, 잊혀진다는 것은>의 외전 같기도 하고 연작 같기도 도하다.  <서러워라,......>에서는 모독과 김만중과 그의 유명한 작품 <구운몽>와 <사씨남정기>를 전면에 내세웠다면, 이 작품에서는 그림자로만 나오고 전작이 모독과 김만중의 서사라면 이 작품은 모독과 달문의 서사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서러워라...>를 통해 소설가란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했다면, 이 작품은 소설 쓰기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캐릭터란 무엇인가'에 대한 하나의 예를 다뤘다고 봐도 좋지 않을까. 어쩌면 작가는 두 소설을 통해 소설 쓰기를 말하고 싶었던 건 아닐까 싶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은 달문이다. 그는 처음 연암 박지원의 소설에 나온다. 18세기 광대였고 그 모습이 괴이하여 우는 아이 눈물을 뚝 그치게 만드는데 이만한 인물이 없었다고 한다. 즉 울음을 안 그치면 달문이 와서 잡아가라고 할 거라고 겁을 주면 뚝 그친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시대마다 그런 인물이 하나씩은 전해 내려오는가 보다. 나 어렸을 땐 그 대상이 망태 할아버지였는데 말이다. 아무튼 김탁환 작가는 바로 이 달문을 소설로 형상화했다.  


작가는 오히려 달문의 외모에 대한 괴이함 보다는 그의 인물됨에 초점을 맞춘다. 생김에 대한 묘사를 보면 얼핏 조커가 연상된다. 하지만 그의 인물됨을 보면 한마디로 대인배를 넘어 금상이 가질 법한 자질을 가졌다. 그런데 그가 광대이기 전에 거지라는 것이다. 거지라면 뼛속까지 거지일 텐데 과연 이런 고귀한 성품을 가진 사람이 가능할까 잘 납득이 가지 않는다. 또 그렇게 말하면 듣는 거지 기분 나쁘다고 할지 모르겠다. 우리 거지들 중엔 왜 그런 사람이 있으면 안 되냐고 하면 할 말은 없다. 그도 그럴 것이 금수저라고 그 인간성까지 금수저란 법 없지 않은가. 내내 읽으면서 달문의 그런 사고방식과 인간됨은 어디서 온 건지 알 수가 없고 인간 된 도리에 대하여 조금도 막힘이 없고 고민이 없다.  


그는 거지지만 산대놀이의 리더이기도 하다. 산대놀이는 탈을 쓰고 하는 일종의 가면극이다. 이것을 언제 누구에게서 배웠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다. 사람이 자기 밥그릇은 타고난다지 않는가. 어쨌든 그런 재주가 있으니 잘 갈고닦아서 거지 팔자를 면할 수도 있을 텐데 그는 그것을 불가피할 때나 사용할 뿐 광대 보다 거지이기를 더 좋아한다. 이쯤 되면 그와 함께 동고동락하는 다른 거지들은 달문을 자랑스럽게 생각해도 좋을 듯싶다.  그 정도라면 저 노트르담의 꼽추인 콰지모도나 희랍인이라던 조르바를 넘어 조선 시대 예수를 보는 것 같기도 하다. 그도 그럴 것이 모독이 누군가의 모함에 빠져있을 때 달문이 자신의 생명을 조금도 아까운 것으로 여기지 않고 모독을 구하기 위해 기꺼이 사지로 뛰어든다. 그런데 그곳이 하필 금상을 만나는 자리다. 


그뿐인가, 달문이 다른 건 차치하고라도 (그의 구체적인 행적은 책에서 직접 확인해 보시라.) 그렇게 기괴한 모습을 하고 워낙에 거지로 산지라 몸에 밴 거지 특유의 냄새가 사라지지 않는데도 그를 아는 기생들은 하나 같이 그를 연모한다. 이쯤 되면 작가가 구라를 쳐도 너무 친다는 느낌도 든다. 그런데 역시 인간의 뇌는 팩트를 믿는 것이 아니라 믿고 싶은 것을 믿는다는 말이 맞는 것 같기는 하다. 작가가 그렇게 묘사를 하니까 긴 기민가 하면서도 믿게 되는 것이다. 안 믿으면 어쩔 것인가. 어차피 소설 아닌가. 문제는 소설이 진실이냐 거짓이냐가 아니라 거짓이라고 해도 어느 정도 믿을만한가 하는 것이다. 즉 소설의 관건은 얼마나 독자를 그럴듯하게 속일 수 있느냐인 것이다. 잘 속이고, 깊이 속이고, 많이 속이면 속일수록 독자는 기꺼이 그것에 환호한다. 대신 어설프게 속이면 화를 내고 분노한다. 


캐릭터는 일상에선 있을 법하지 않지만 어딘가 있으면 하고 바라는 존재가 캐릭터가 된다. 독자는 바로 인물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그래서 어디선가 누군가의 무슨 일이 생기면 꼭 나타나는 인물에  빠져드는 것이다. 달문과 모독의 관계도 보라. 달문과 모독이 내내 만났다 헤어졌다를 반복 하지만 그 과정이 모독이 꼭 무슨 일이 생기면 달문이 나타나 문제 해결을 해 주고 떠난다. 또 그러기를 세 번쯤 반복하는 것 같다. 그건 이야기의 법칙 중 하나다. 그것 이상을 넘어가면 떠날 거란 달문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다.


가끔 작가들 중에 그런 말을 하는 경우가 있다. 어느 순간 내가 만들어 논 등장인물들이 살아서 자기네들끼리 말을 하고 무엇인가를 하는데 그럼 난 그것을 받아 적을 뿐이라고. 그게 실제로 가능하냐고 묻는다면 전혀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그러려면 캐릭터를 깊이 파야한다. 작가 스스로가 인물에 대한 확신을 갖고 있지 않으면 결코 독자를 매료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캐릭터에 대해선 빙산의 일각의 법칙을 말하기도 한다. 즉 말 그대로 우리가 작품에서 보는 인물은 빙산의 일각일 뿐이라는 것이다. 작가는 그보다 더 많은 것을 수면 밑으로 감추고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달문이 현실적이지는 않지만 6백 페이지를 별 무리 없이 이끌어 갈 수 있었던 건 작가가 달문에 대해 여러모로 연구를 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말이다.


이 작품은 달문을 위한, 달문에 의한, 달문의 소설 즉 인물 중심의 소설이다. 뭐 인물 중심의 소설이든 아니든 캐릭터는 너무나 중요하다. 사실 매설가인 모독이 처음부터 달문이 하도 특이한 인물이라 소설로 쓰려고 했지만 잘 되지 않았다. 그러다 그를 글로 쓰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봉착하고 또한 쥐 영감과 그의 아들의 응원으로 겨우 완성할 수 있었다. 그로 인해 모독이 초기엔 별 볼 일없는 작가 지망생에서 확실한 작가가 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난 이 부분에서 왠지 김탁환 작가의 그림자가 느껴지기도 했다. 그도 지금까지 조선을 소재로 한 소설을 쓸 수 있었던 건 모르긴 해도 누군가의 성원과 격려가 있었기 때문 아닐까. 


역사 소설의 묘미는 당시 사회 문화상을 읽는 재미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세책방은 오늘 날로 치면 서점에 해당하겠지만 출판 인쇄가 발달하기 전이었으니 판매 보단 대여의 의미에서 그런 이름이 붙여졌을 거라는 건 쉽게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런데 당시 소설은 어떻게 유통되었을까. 거기에 쥐 영감이 있었다는 건 흥미로운 일이다. 쥐 영감의 임무는 아무 소설이나 가게에 내놓을 수 없고 읽힐만한 소설을 가려내는 소위 감별사의 역할이었다. 얼핏 오늘 날로 치면 평론가일까 했는데 그 보단 기획이나 편집, 마케팅 등의 일을 하는 인물은 아닐까 한다. 그런 일은 오늘날엔 서점이 아니라 출판사가 하는 일이다. 그런데 비해 달문이 했다던 산대놀이나 운심의 칼춤에 관한 묘사는 상대적으로 적은 듯하여 그 점은 좀 아쉽다.


하지만 '고고한 연예'는 맞는 것 같기는 하다. 당대의 연예인들 즉 기생을 포함한 광대들을 우습게 보면 큰 코 다친다. 그들은 자신의 웃음을 팔았지 자존심을 판 것은 아니다. 그들에게도 삶은 있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1-09 2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분명 이리뷰도 읽었고 댓글도 달았는데 오늘 와서 보니 내댓글 사라져버린 ㅜ.ㅜ
역시 북플에서 뭔가 쓰면 날아가버리나봐요.

스텔라 케이이님 이달의 당선작
추카 추카~

stella.K 2021-01-09 21:06   좋아요 0 | URL
엇, 정말요?
지금이라도 무플을 방지해 주시니 감읍할따름입니다.ㅠ

저도 스콧님의 이달의 2 관왕을 감축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