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처럼 아름다운 클래식 이야기 - 모든 언어가 멈췄을 때- 음악 한 줄기가 남았다
이채훈 지음 / 혜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이 책은 잘 만들어지긴 했다. 무엇보다 책 디자인이 마음에 든다. 또 디자인이 좋은 만큼 내용도 나름 튼실하다. 저자가 공들여 썼다는 느낌이 든다. 클래식 입문자가 읽으면 좋을 것 같다. 하지만 기존에 클래식 입문서들이 많이 나온지라 과연 이 책이 얼마나 선전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클래식 입문서들이야말로 그 주기가 그렇게 길지는 않고 자꾸 새로운 책들이 나오고 있으니. 이미 클래식 입문서를 읽어 본 사람이라면 이 책을 권하기엔 조금은 망설여진다.


클래식하면 빼놓을 수 없는 인물들을 이 책에서도 빠짐없이 다루었다. 그래서 조금은 식상한 느낌이 들기도 했다. 그렇다면 오히려 이젠 전문적인 것들을 찾아 나서야 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이 책이 미덕이 없는 건 아니다. 학창 시절 외엔 음악 이론을 공부한 적이 없고, 또 배웠다고 할지라도 그것이 머릿속에 남아 있을 리 없다. 그래서 음악 용어들이 낯설게 느껴질 정돈데 그것을 우리말로 친절하게 풀어준 점은 고마울 정도다. 


나 같은 경우 카라얀의 시대 때 클래식을 접한 세대라 이후 어떤 지휘자가 있는지 거의 깜깜하다. 다니엘 바렌보임이나 게오르크 숄티는 비교적 최근에 알게 된 지휘자들인데 그들에 대해 별로 아는 바가 없으니 새삼 클래식에 대한 나의 게으름과 무지함을 증명하는 계기가 됐을 뿐이다. 그것을 이 책에서 단편적으로 남아 알 수 있게 된 건 다행스러운 일이다. 무엇보다도 저자가 우리나라가 낳은 세계적인 지휘자 윤이상을 다뤄준 것이 고마웠다. 물론 저자는 방송국 PD로서 한창때 윤이상을 알리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역시 세월 앞에 장사 없다고 거의 잊힌 거나 다름없이 되었는데 이렇게 단편적으로나마 알 수 있게 돼서 반가웠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아쉽게 느낀 건, 저자가 큰 장이 끝날 때마다 '소년, 클래식을 만나다'란 코너를 만들어 놓고 자신의 음악과 관련한 자전적 이야기를 써 놓고 있는데, 이럴 것 같으면 자신의 자전적 이야기에 그런 클래식 이야기를 풀어나갔더라면 좋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그래야 제목과도 얼추 맞는 거 아닌가? 아니면 클래식 음악가들의 이야기를 소설로 풀던가. 뭔가 엇박자인 것 같기도 하다.) 아무튼 그 코너에 소년 때 어떻게 클래식에 대한 관심을 어떻게 키워 왔으며 그것과 관련된 직업을 갖기까지의 과정을 단편적으로 다뤘다. 음악을 처음 알게 해 줬던 누나와 중학생 시절 유명한 오케스트라가 내한했음에도 불구하고 돈이 없다는 이유로 그것을 볼 수 없었던 안타까운 사연. 방송국 음악 PD가 되기까지의 과정들을 흥미롭게 써 놓았다. 


난 저자만큼의 음악에 열정은 없지만 확실히 음악은 사람의 삶을 관통하는 뭔가의 힘이 있다는 걸 부정할 수가 없다.   


어렸을 적, 아버지는 다른 형제들도 있는데 오직 나만을 위해 피아노를 사 주셨다. 내 몸의 족히 3배는 넘었을 피아노가 우리 집에 들어오던 날 난 기쁘고 좋기보단 오히려 그것에 압도 당해 도망가고 싶은 심정이었다. 그 후 나는 거의 3년 간을 피아노의 압제 속에 살아야 했고, 마침내 음악에 소질도 관심도 없다는 걸 안 부모님은 그것으로부터 해방을 주셨다. 그러다 초등학교 6학년이 되었을 때 내가 속한 반이 합주반으로 지정되었다는 걸 알았다. 우린 꼼짝없이 방과 후 두 시간 여를 합주 연습에 매달리지 않으면 안 됐다. 지금 생각하면 부당하다는 생각도 든다. 그건 전혀 학생의 사정을 고려치 않은 것으로, 원래는 학생을 모집해야 하는 것이 맞지 않나 싶다. 어떻게 어느 한 반을 지정해서 반강제적으로 연습을 시키고 대회에 나가고 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


그때 우리의 출전곡은 요한 슈트라우스의 <라데츠키 행진곡>이었다. 인생이란 게 다 그렇듯 현재는 고생이고 지나면 추억이다. 놀라운 건 그다음부터였다. 피아노를 배울 때에도 귀에 들어오지도 않던 클래식을 그때 이후로 학교에 있는 시간을 제외하고 거의 하루 종일 듣고 있었다. 귀가 트인다는 게 이런 걸까. 음악은 그냥 귀에 들려오면 듣고 안 들리면 마는 물 같고, 공기 같은 것인 줄 알았는데 이렇게도 집착할 수 있는 거구나 나 스스로도 놀랐다. 


그런데 난 확실히 주위력이 떨어지긴 하는가 보다. 그 옛날 <라데츠키 행진곡>을 수도 없이 연습하고, 지금도 가끔씩 라디오에서 듣기도 하는데, 그 음악을 들으면 금방 어린 시절도 빠져들 줄만 알았지 정말 왜 요한 슈트라우스가 왜 이 곡에 그런 제목을 붙였는지에 관해선 알려고 하지 않았다. 이번에 이 책을 보니 새롭게 알았다. <라데츠키 행진곡>의 '라데츠키'는 오스트리아의 존경받는 노장군이었단다. 1848년 쿠스토자 전투에서 이탈리아 무장 저항세력을 진압하고 개선한. 그래서 그를 환영하기 위해 왈츠의 아버지 요한 슈트라우스 1세가 작곡한 것이라고. 글쎄, 알았는데 잊어 먹은 건 아닐까. 내가 그렇게 기본 상식도 모르고 그 음악은 연주하고 듣지는 않았을 텐데 말이다.


책은 나름 의욕적으로 쓰긴 했던 것 같은데 약간은 산만하고, 기대를 많이 해서일까 다소 아쉬운 느낌이 있다. 저자의 다른 책은 어떨지 모르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0-04-21 22: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귀가 트인다는 건 좋은 거죠. 그것도 학창시절에요.
저는 요즘 음식 만들 때 베에토벤 곡을 듣곤 합니다. 폰으로 유튜브에서 퍼온 거죠.
힘차서 좋더라고요.

stella.K 2020-04-22 14:13   좋아요 1 | URL
그 시절 연습하기 싫어서 죽을 것 같더라구요.
무엇보다 학교에 늦게까지 남아 있어야 한다는 게
그렇게 억울하더라구요.
하지만 그게 나중엔 정말 좋은 약이 되었지요.
클래식은 처음엔 듣기가 지루하지만 자꾸 들으면 좋아지잖아요.
그래도 아직 전인미답의 음악가가 있어요. 말러.
작심하고 들으면 모를까 참 익숙해지지 않더군요.
베토벤을 들으신다니 말러도 들으시겠어요.
아시죠? 말러가 제2의 베토벤인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