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안, 우울, 그로테스크”
  • 민족문학연구소, ‘소설 이천년대’ 펴내
  • 박해현기자 
    • “2000년대 한국 소설은 불안하고, 우울하고, 그로테스크하다.”

      젊은 비평가 모임인 ‘민족문학연구소’가 2000년대 한국 소설을 대표하는 젊은 작가 선집 ‘소설 이천년대’(생각의나무)를 최근 펴내 2000년대 소설에 대한 중간 평가를 시도했다. 2003년 동인문학상 수상작가 김연수씨를 비롯 박민규 천운영 김재영 김애란 김중혁 김윤영 전성태 이명랑 편혜영 배수아 정지아 윤성희씨의 대표 단편들을 한 권의 책으로 묶었다. “2000년대는 계속 진행 중이다. 정의내릴 수도 없고 평가하기도 이른 수많은 문학적 실험들이 분분하다. IMF 이후 더 가속화된 자본주의 한중간에서 때로 외로워하고 때로 연대하는 이웃들의 모습, 전망없는 청춘들이 쏘아올린 상상력의 폭죽은 우리 시대의 문학을 다채롭게 물들이고 있다”고 선정 기준을 제시한 ‘민족문학연구소’는 “문학이 위기라는 소문은 흉흉하지만 그럴수록 좋은 소설이 주는 행복을 독자와 함께 누리고 싶기도 했다”며 선집 출간 이유를 밝혔다.

    • ▲왼쪽부터 소설가 박민규씨, 소설가 김애란씨.
    •  

      앞 세대 소설과 확연하게 구별되는 2000년대 소설의 새로움이라면 ‘카스테라’의 작가 박민규, ‘달려아, 아비’의 김애란, ‘아오이가든’의 편혜영, ‘펭귄뉴스’의 김중혁씨를 먼저 꼽을 수 있다. “이 작가들의 모든 소설들이 가족의 위기 혹은 불완전한 가족을 다루고 있다”고 평론가 오창은씨는 분석했다. 어머니는 쓰러지고, 아버지는 가출하고, 아이들은 버림받거나, 부모가 모두 세상을 뜬 아이들이 등장한다는 것. 그래서 불안한 현실을 벗어나기 위한 우주적 상상력의 불꽃놀이가 벌어진다. “이들 작가들은 ‘화성/금성’을 넘나드는가 하면(박민규), 우주로 방사되는 불꽃에 대해 이야기하고(김애란), 원초적 자연의 공포(편혜영)나 에스키모의 지혜(김중혁)를 말하는 것도 특징”이라는 얘기다.

      2000년대 작가들에 대해 탈현실적이고, 그로테스크한 악몽이 넘쳐난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는 다른 편에는 ‘현실에 대한 지독한 환멸을 보여주지만, 결코 현실을 외면하거나 초월하려고 하지 않는’ 작가들도 있다. 천운영 윤성희 김윤영 소설이 대표적이다. “지금 현실이 고독한 일상을 사는 인간들의 우울한 욕망으로 가득 차 있음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고 평론가 하상일씨는 평가했다.

      또 정지아 이명랑 김재영 소설은 ‘변한 듯이 보이나 변하지 않은 근대의 실루엣을 부여잡고 치열한 고투를 벌인다’(평론가 고인환)는 평가를 받는다. 반면 김연수 배수아 전성태 소설은 ‘공동체의 규칙을 위반하는 일이 어떻게 다시 공동체를 구성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경계 넘기’를 시도하고 있다(평론가 박수연)는 평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