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어인들에 대해서 조금 섬뜩하게 묘사되다가 흥미로운 부분이 나와 공유해본다. 이들이 네덜란드인이다 보니 빈센트 반 고흐도 생각나고 최근에 본 영화'브림스톤'에서의 가이 피어스도 떠오른다. '브림스톤'에서 가이 피어스가 분한 목사는 네덜란드에서 미국으로 이주해온 사람이고 개혁교회 목사인데 그의 잔인하고 비이성적인 면, 초현실적인 분위기가 한나 아렌트가 설명한 보어인들을 떠올리게 했던 것. 모든 네덜란드인이 그렇진 않겠지만 그들안에 잠재해 남아프리카 원주민들처럼 유랑하고 살며 얽매이지 않으려했던 욕구가 고흐와 목사에게도 있는것 같다. 누군가는 그것을 예술로 승화시켰고 누군가는 악마와 같은 잔혹함으로 분출시켜 자식의 삶을 지옥으로 물들였다. 



   영화 속 가이 피어스


  

   보어인들 사진




남아프리카의 보어인들(네델란드계 백인들)

1923년 전체 백인 인구의 10퍼센트를 이루던 남아프리카의 가난한 백인들, 그 생활수준이 반투족과 크게 다르지 않은 백인들은 오늘날이런 가능성을 경고하는 사례이다. 그들의 가난은 거의 전적으로 노동에 대한 경멸의 결과이며, 흑인 부족의 삶의 방식에 동화한 데서 비롯되었다. 가장 원시적인 경작 방법이 필요한 소출을 내지 못하면, 또는 그들이 지역의 동물들을 말살하면 그들은 땅을 불모로 만들었다. 그들은 흑인 노동자들이 떠나면 어김없이 농장을 포기했고, 과거의 노예성, 말하자면 약간의 순수함이 있다. 문헌학이나 다른 지적 업적이 전혀 없다는 사실이 진술의 최고 증인이다." (...) 사태는 영국인의 도착과 함께 일어나기 시작했다. 영국인들은1849년에도 여전히 군사 기지로 불리던 그들의 새 식민지에 아무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영국인들의 존재 다시 말해 원주민들을 다른 동물 종으로 간주하지 않은 영국인들은 그들에게 다른 태도를 보였으며, 노예제를 폐지하려던 그들의 차후 시도(1834년 이후)와 무엇보다도 부동산에 분명하게 정해진 경계를 설정하려던 그들의 노력―는 정체되어 있던 보어인 사회에 격렬한 반작용을 촉발했다. 이런 반작용이 19세기 내내 동일하게 반복되는 유형을 따른다는 것이 보어인들의 특징이다. 즉 보어 농장주들은 후회 없이 집과 농장을 버리고 내륙의 황무지로 이주해 들어갔다. 자기 재산의 제한을 받아들이기보다 차라리 그 모든 것을 버렸던 것이다. 이는 보어인들이 가는 곳마다 적응을 하지 못하고 불편함을 느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들은 나중에 이민해온 어떤 사람들보다 아프리카에 잘 적응했고, 적응하고 있지만 아프리카에서였지 어떤 제한된 특별 지역에서 그랬던 것은 아니었다. 그들의 광적인 이주 여행은 영국의 행정기관을 대경실색하게 만들었는데, 그것은 분명히 그들 스스로 하나의 부족으로 변했으며 한 지역에 대한 유럽인의 애착심을 상실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들은 수세기 동안 암흑 대륙을 유랑한 흑인 부족과 똑같이 행동했다. 유랑의 무리가 우연히 머무르는 곳에서는 항상 편안함을 느꼈고 정착하려는 시도는 마치 죽음처럼 느꼈다. - P379



댓글(26)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2-10-13 17:23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제가 최근에 읽은 헨닝 만켈
의 <하얀 암사자>를 통해
알게 된건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진짜 인종차별주
의자들은 영국인들이 아니라
바로 이 보어인들이 주범이
었더라구요.

물론 영국 식민주의자들도
인종차별을 했지만, 보어인
들의 그건 확실하게 결을 달
리하는 것 같았습니다.

내전이나 폭력으로 나라를
결단내서라도 자신들의 기득
권을 지키기 위해 마지막까지
발악한 게 바로 보어인과 그들
의 후손이었습니다.

미미 2022-10-13 17:31   좋아요 3 | URL
역시 그렇군요! 그런 끝장을 보는
잔인함을 저도 이 책과 영화에서 느꼈어요.
(감독이 감안하고 담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영국은 국민국가의 특성을 파견된 관료들이
그대로 보여주는것 같아요. 아마 그런 면에서 더 다르지않았나 싶고요.

그나저나 읽고싶던 발란데르 시리즈를 잊고 있었네요.^^*

파이버 2022-10-13 17:2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백인으로서 흑인들을 착취하기도 하고 또 흑인부족처럼 유랑하는 성질을 가지기도 했다는 게 흥미롭네요... 사람은 알면 알수록 참 복잡하네요ㅎㅎ

미미 2022-10-13 23:22   좋아요 3 | URL
다른 백인들과 확실히 달랐던걸로 보여요.

아앗! <암흑의 핵심>은 원주민들에대한 묘사였는데 착각했습니다.^^;;

페넬로페 2022-10-13 17:4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남아프리카에서 보어인들이 엄청 악랄하게 원주민들을 짓밟다가 결국 뒤늦게 들어 온 영국인들에게 계속 자리를 내주더라고요.
그들의 잔인성을 우리는 책으로만 읽는데 아마 그 안에 우리가 모르는 것들이 더 많을 듯 해요^^

미미 2022-10-13 17:53   좋아요 4 | URL
아! 이 책에도 ‘원주민들을 원료로 취급했고 야생나무의 열매를 먹고 살아가듯이 그들에게 의존해 살았다‘고 나와요. 알려진것보다 실제로는 더 했겠죠? 노동을 아예 경멸했다는것도 놀라워요. 그냥 원주민들에게 기대어 놀고먹겠다는것 같아서요. ^^*

유부만두 2022-10-13 17:5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보어의 후손으로 영국에서 교육/차별/죄의식 등을 모두 경험하고 남아공을 배경으로한 소설과 저서전으로 풀어낸 쿳시도 생각나요. 추천합니다.

미미 2022-10-13 17:57   좋아요 1 | URL
존 쿳시가 보어의 후손이었군요?!! 이 책에도 언급되는데 찾아 읽어봐야겠네요. 예전에 <추락>하나 읽어봤습니다^^*

얄라알라 2022-10-13 23:19   좋아요 1 | URL
오, 이 물흐르듯 이어지는 지적인 핑퐁 댓글...

<암흑의 핵심>에, 쿳시에, <하얀 암사자>에....

˝보어˝를 한 축의 키워드로 놓고 소설들 따라가봐도 재밌겠어요^^

근데, 제 편견인지는 모르겠지만 네델란드계라 하니 올려주신 사진 속 보어인 체격이 커보입니다

미미 2022-10-13 23:28   좋아요 2 | URL
<암흑의 핵심>은 원주민들 묘사에 인용되었어요. 착각했습니다^^;

제가 보기에도 당시 기준으로 보면 작은 편은 아닌것 같은데요?ㅎㅎ
읽는중인 다른 책들만 아니면 저도 남아프리카 역사를 좀더 파고싶어요^^*

독서괭 2022-10-13 21: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첨 들어봐요. 흥미롭네요! 전체주의의 기원 벌써 379페이지?? 대단합니다 미미님👍

미미 2022-10-13 21:23   좋아요 2 | URL
50페이지씩 읽고 있는데 대체로 어려워서 완주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어요^^* 괭님 응원받아 쭉!!ㅋㅋㅋㅋ

새파랑 2022-10-13 21:3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보어인이 네덜란드계군요 ㅋ 전 처음 알았습니다~!! 사람을 특정 집단으로 지칭하는걸 좋아하지는 않지만 뭔가 공통된 특질같은게 있긴 하나 봅니다 ㅋ 두번째 사진은 좀 무섭군요 ^^

미미 2022-10-13 22:09   좋아요 3 | URL
네 저도 그건 지양해야한다고 생각해요^^* 보어인들은 남아프리카에 이주 정착한 네덜란드계 백인들인데요. 원주민들을 착취하며 살았다는데 다른 유럽인들과 여러 면에서 달랐어요. 그래서 그런것같아요. 사진 특히 뒤에 사람 유령처럼 나왔죠ㅋ

얄라알라 2022-10-13 23:20   좋아요 2 | URL
일부러 저렇게 찍은 건가, 실수인가
저도 유령처럼 보아서 무서웠어요^^;;

미미 2022-10-13 23:30   좋아요 3 | URL
빛반사같은 이유가 아닐까요? 당시 사진 기술탓도 있을것 같고 푸른눈은 저렇게 찍힐수 있겠다 추측만 해봅니다.^^;;

책읽는나무 2022-10-14 04: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네덜란드 보어인!!!
처음 알았습니다.
그 시절은 사람들의 잔인성이, 그저 평범하다는 식으로 자행되어 왔었나? 그런 생각이 드네요. 모두 다 그렇게 행동하니, 악이 악인 줄 모르고...차별이 차별인 줄 모르고...

미미 2022-10-14 07:36   좋아요 2 | URL
이익을 추구하고 팽창하려는 욕심 때문에 아프리카와 아시아 국가를 식민지화 시키면서 그런 악함이 분출된것 같아요. 그 과정에 반유대주의 정서가 깊게 뿌리내리고 있었던거죠. 남아프리카에 정착한 보어인들이 유대인들을 많이 싫어했대요. 그들은 게으르고 규율에 얽매이기 싫어했는데 유대인들만이 유독 열심히 일하며 질서를 구축하고 있었거든요.
이 책 어려운데 이런 부분은 흥미진진해요 나무님*^^*

coolcat329 2022-10-14 10:0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도리스 레싱의 <풀잎은 노래한다>에서도 이들에 대한 이야기가 조금 나옵니다. 거기선 보어인이라는 단어대신 ‘아프리카너‘라고 하는데 백인 영국 식민주의자들이 자신들과 철저히 구분짓는 화이트 트래시들 입니다. 같은 네덜란드인이라도 유럽의 네덜란드인들과 이들 보어인들은 많이 달랐던거 같아요.

미미 2022-10-14 11:05   좋아요 1 | URL
아! 아프리카너란 표현이 화이트 트래시란 말씀이시죠? 찾아보니 혐오를 내재화한 표현이라고 나오네요. 쿨캣님 덕분에 하나 또 알아갑니다*^^*
네 보어인들과 본국의 네덜란드인들은 다를것같은데 그런 부분들도 흥미로워요. 남아프리카에 골드러시를 따라간 사람들도 이 책에서는 잉여인간들이었다고 하거든요.

그레이스 2022-10-14 12:22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저는 월레 소잉카의 <오브 아프리카>를 망설이고 있습니다. 올 여름부터 아프리카 역사를 제대로 쓴 책들을 찾는데 너무 학술적이지 않으면, 편향적이거나 하네요
아님 너무 개략적이거나.
유럽의 역사에 편입되어 쓰여졌다는 인상!

미미 2022-10-14 11:57   좋아요 3 | URL
이 부분 읽으면서 제게 아프리카에 관한 정보가 턱없이 부족하다고 생각했어요.

어릴땐 다른곳보다 아프리카,인도 이런데가 끌렸거든요. 그런데 쉽게 접할 수 있는 정보는 온통 유럽...그레이스님 말씀처럼 그중에서도
잘 골라읽어야겠네요*^^*

거리의화가 2022-10-14 13:07   좋아요 2 | URL
베크 세계사에서도 아프리카 역사에 대해 다루는데 말씀하신대로 한계가 많을수밖에 없을 것 같아요. 연구자들이나 전문가가 유럽 출신들이 많아서 아무래도 팔이 안으로 굽게 되는 모양이더군요.

미미 2022-10-14 13:23   좋아요 2 | URL
읽으면서 유럽 입장에서 쓰였음을 잊지않는것도 방법인듯 합니다. 제대로 공부하렴 더 능동적으로,비판적 시각을 갖고 여러각도에서 생각해야겠구요. 어렵네요. 저보다 역사쪽을 많이 아시는 두분 덕분에 중요한점 짚고넘어갈수 있어 다행이예요^^*

그레이스 2022-10-15 08:54   좋아요 2 | URL
어제 <오브 아프리카> 주문해서 오늘 도착합니다.;;;

미미 2022-10-15 09:06   좋아요 2 | URL
오! 그레이스님이 언급해주셔서 살펴보고 장바구니 담아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