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좌파가추진한 PC 운동은 1980년대에 미국 각지의 대학을 중심으로 전개됨으로써 성차별적 · 인종차별적 표현을 시정하는 데에 큰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PC 운동은 그간 대학에서 가르쳐온 ‘위대한 책‘
이니 ‘걸작‘이니 하는 것들이 모두 서구 백인들의 문화유산이었음을 지적하면서 소수 인종 문학 텍스트도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소수인종교수 채용과 학생 모집, 교과과정 개편을 위해 노력했다. 또 PC 운동은 나이에 대한 차별ageism, 동성연애자들에 대한 차별heterosexism, 외모에 대한 차별lookism, 신체의 능력에 대한 차별ableism 등 모든 종류의 차별에 반대했다. - P22
이 책을 한 번 읽고나서 부분적으로 재독했다. 애초에 읽기 시작한 목적은 PC문화에 대해 좀 더 명확하게 알고 의문이 드는 부분에 대해 얼마간의 답을 얻고 싶어서였다. PC(Political Correctness)의 의미를 보면 전혀 나쁠게 없어보인다. 이 책에도 나와 있듯이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언어 사용이나 활동에 저항, 이를 바로 잡으려는 취지의 운동 또는 그 철학'을 일컫기 때문이다. 내가 알기로 미국에서 개구리 페페의 밈으로 상징되는 대안우파들의 반PC는 그야말로 살벌했다. 다른 여러 요인들이 함께 작용했겠지만 트럼프의 당선에 이런 대안우파의 폭력적인 유머도 한몫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였을까? 일부 과잉된 PC에 대한 강준만의 지적에 미리부터 반감이 작동해 그의 글을 오독하고 말았다. 그런 생각을 담아 페이퍼를 썼었는데 다행히 지혜롭게 지적해주신 이웃덕분에 창피한 글을 내렸다. 정체성 정치에 과도하게 몰입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 강준만의 문제제기를 내가 직접 체험한 셈이었다.
금기와 반도덕의 이데올로기가 곪아터지는 사이,대다수 청년이 처음으로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는 장소로서의 비익명화된 소셜미디어 플랫폼은 독수리눈의 관찰자들이 조직적으로 벌이는 공개적 망신주기의 감시망 안에서 불안에 떨어야 하는 파놉티콘과 같은 것이 되었다.P.22
몇 달전 '인싸를 죽여라'를 읽다가 도중에 멈췄다. 내가 잘 모르는 용어가 잔뜩 나오고 대안우파의 혐오 수준이 세세히 담겨있어 읽기가 힘들었다. 그래도 미국의 온라인 극우주의를 잘 설명하는것 같아 꼭 읽어보려고 한곳에 치워두었었다. 오늘 오래간만에 다시 꺼내봤다. 이 책에서 앤절라 네이글은 강준만과 마찬가지로 리버럴과 학계의 위선을 꼬집기도 하지만 온라인 극우주의로 대표되는 혐오와 조롱의 현실을 고발한다. 상대적으로 우리나라는 아직 미국만큼 심각한건 아닌데 '대안우파'라는 명칭과 그들이(미국의 극우) 사용한 밈,각종 멸칭을 비슷하게 남초커뮤니티가 사용하는걸 보면 우려스럽기도 하다. 디지털 미디어의 확장으로 한국에서도 온라인 문화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 지나친 PC의 과시현상이 조롱섞인 반PC즘을 자극했다는데 상당부분 동의한다. '정치적 올바름'에서도 언급되지만 586세대로 일컬어지는 운동권이 집권여당이 되면서 그들역시 기존정치의 한계를 그대로 보여줘 국민들을 실망시켰고 결과적으로'정치적 올바름'을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이용했다는 비판(권력 재생산 메커니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PC의 과시적 행태는 여기 부응해 결국 자기모순에 빠지기 쉬워보인다.
"이러한 가해자 지목 문화의 형성에는 꼭 필요한 요건이 있다. 바로, 주변에 쉽게 군중이 모여들 수 있어야 하고, 가해 혐의자에게 망신을 주거나 그를 벌한 사람을 이들군중이 추켜세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소셜미디어가 사회를 변화시킬 만큼 막강한 위력이 있는 까닭중 하나다." - P142
광고계엔 ‘언더도그 마케팅‘이라는 게 있다. 특정 브랜드를 띄우는 데에 ‘초라한 시작‘, ‘희망과 꿈‘, ‘역경을 이겨내는 도전 정신‘을 강조하는 마케팅이다. 이 마케팅은 초라한 시작과 더불어 고난과 시련의 역사를 갖춘 나라에서 잘 먹힌다. 고난과 시련으로 말하자면 한국도 만만치않은 나라다. 언더도그 스토리가 늘 한국 선거판의 단골 메뉴로 등장하는 건 당연한 일인지 모른다. - P154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에서도 여성 게임 개발자의 피해 사례가 나오지만 미국의 경우 온건한 페미니스트의 의견 개진조차 마치 21세기 온라인 부관참시인양 집단공격, 사이버 폭력을 당하는건 분명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할 수 없는 해악이다. 집주소 등 개인정보를 온라인에 공개해 '그 집에 찾아가서 강간하라'는 등 사이버불링으로 공식적인 글쓰기를 아예 포기한 사람도 있었다. PC의 자기과시적, 극단적 완벽주의는 분명 문제지만 일부 사례를 일반화할 필요가 있을지 의문은 남는다. 이런 일부에 대한 과도한 접근은 오히려 백래시에 정당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각각의 사례별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온라인 하위문화에서 괴물과 싸우기 위해 어떻게 해야할까? 괴물을 없애기 위해 그들과 싸운다면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해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