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중재법이 요즘 뜨거운 감자다. 개인적으로 올것이 왔다고 보고 있다. 언론사들이 알아서 잘 했으면 일이 이렇게 까지 진행되긴 어려웠을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알아서 잘 하기엔 자본의 영향력에 잠식당하는 측면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에 이르렀다. 단적인 예로 중간광고를 들 수 있다. 뉴스,드라마나 각종 예능,영화 중간중간 광고가 떡하니 자리잡았다. 시청자 입장에서 맥이 끊기는 건 기본인데 언론사 입장에서는 밥그릇이 커진다는 의미니 생존이 달렸다 주장할 것이다. 하지만 이 언론사 생존의 역학관계에 많은 것들이 얽혀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다 알테지. 밥그릇 크기에 너무 연연하다 보면 질적인 측면은 무시당하기 일쑤다. 이건 역시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였나보다. 


 


p.11 한 민족을 죽이듯 언론도 죽일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자유를 줌으로써. -오노레 드 발자크(기자 생리학 중)



        


파리의 허름한 하숙소에 한 남자가 경멸을 담은 표정을 뿜어내고 있다. 그가 노려보는 것은 오랫동안 함께하고 있는 그의 룸메이트 바퀴벌레. 가난한 시골 농부의 자식인 조르주 뒤루아는 군에서 퇴교한 후 성공한 삶을 살아보겠다고 막연히 파리로 상경했다. 하지만 하루하루 겨우 버텨내는 그에게는 당장 살아내는 일 조차 아득하기만 하다. 그러다 군대에서 함께했던 포레스티에를 만나 상황이 급변한다. <라 비 프랑세즈>신문사 기자가 되고 타고난 외모를 적절히 활용해 귀족 여성들의 도움까지 받아 승승장구하게 되는 것이다. 


p.50 노르망디 사람으로 타고난 기질은 매일같이 반복되는 병영 생활 속에서 길들여졌고, 아프리카에서 행해지는 약탈,불법적인 이득, 수상한 속임수 등을 겪으면서 느슨해졌다. 또한 군대에서 통용되는 공명심,무공,애국심,그리고 하사관들 사이에 떠도는 거창한 이야기,직업에서 오는 허영심 같은 것들이 더욱 그의 마음을 부추겼다. 그렇게 해서 결국 뒤루아의 마음속은 바닥이 세 겹으로 되어 있는 상자처럼 온갖 잡동사니가 다 들어앉아 버렸다. 그중에서도 출세하고자 하는 욕망이 가장 강했다. 


잘생긴 친구(벨 아미)라는 별칭까지 얻은 그에게 여인들은 누구나 호감을 느낀다. 하루 빨리 성공하기 위한 수단이 그에게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어수룩하던 처음과 달리 그는 어떻게 하면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을지,어떤 기사를 쓰면 대중의 이목을 잡을지 점점 간파한다. 때때로 마주하는 거울은 그의 성장하는 허영심을 여실히 비춰준다. "Vanity, definitely my favorite sin"("허영, 내가 제일 좋아하는 죄악이지." ㅡ영화 데블스 에드버킷) 특히 그의 신문사에서 사회면은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뉴스에 은밀히 소문을 함께 담아내서 여론을 이끌고 정부의 공익사업에도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이다. 즉 잘만하면 큰 돈이 되는 사업이 이 신문사의 주 목적이었고 마침 뒤루아의 욕망과 잘 맞아 떨어졌다. 


          



p.141 사회면을 지휘하고 취재기자들의 전투를 끌어가려면 늘 깨어 있어야 하고, 경계를 게을리하지 않아야 하며,쉽게 믿지 않고 앞을 내다볼 줄 알아야 한다. 또 교활하고 민첩하고 융통성이 있어야 하고, 온갖 술수를 사용할 줄 알아야 하며, 정확한 후각으로 한눈에 거짓 소식을 간파해 내야 한다. 또 할 말과 숨길 말을 판단하고, 어떤 것이 독자에게 영향을 미칠지 알아내고,그렇게 얻은 소식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던 중 벨 아미는 노 시인의 삶의 허무를 담은 조언을 듣고 친구의 갑작스런 죽음을 맞는다. 거기다 뜻하지 않은 결투로 죽음 직전까지 경험한 것. 이부분에서 특히 결투에 관한 묘사가 나를 사로잡았다. 위대한 시인 푸시킨의 삶을 영원한 속임수로 만들어버린 결투를 상징하듯 '시베리아처럼 추운 날' 벨아미는 끔찍한 경험을 하게 된다. 하지만 벨아미는 삶을 되돌아보긴 커녕 불나방처럼 오히려 성공에, 돈벌이에 더욱더 집착한다. 


              


허영심은 만족을 모른다. 허영심은 타인의 그것과 내것을 계속 비교하며 남보다 더 갖고자 하고 더 욕망하고 갈구한다. 그러다 보면 파리도 꼬이고 그러다 보니 구더기도 살찐다. 인생은 과연 뭣이 중헌지 찾아가는 과정이 아닐까? 벨아미의 타락한 거울을 보고 웃다보면 우리 삶의 방향이 맞는지 가늠하게 된다. 정신적인 가치를 추구할 것인가 물질적이고 외적인 가치에 매몰될 것인가. 


댓글(3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1-08-25 13:56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아, 저는 이 진중한 페이퍼를 읽고나니 패틴슨이 연기하는 벨 아미가 보고 싶어졌어요. 책으로 읽었을 때 엄마도 딸도 후리는 엄청난 미남으로 나왔잖아요. 영화에서 그의 미모가 빛을 발할지.. 트와일라잇 시리즈 1편에서 가장 빛나지 않았나 싶거든요. 그의 직업이 기자였다는 것은 홀랑 까먹었네요. ㅠㅠ

미미 2021-08-25 14:03   좋아요 6 | URL
책을 조금 읽다가 너무 궁금해서 영화부터 봤는데 어느정도 ‘맛‘은 보여줬다 생각해요. 큰 기대 안하시면 재밌게 보실 수 있어요.😆 그런 뒤에 책을 다 읽고나니 영화에 다 담을 수 없는 많은 것들이 있더라구요(늘 그렇지만) 패틴슨의 연기는 트와일라잇보다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찌질한 역인데도)그래도 트와일라잇 다시 보고싶네요~♡힛ㅋ

새파랑 2021-08-25 13:58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2등~!! 저도 이책 읽고 있어서 실눈으로 리뷰봐야겠어요 😑 밑에 사진은 푸쉬킨의 결투에서도 본거 같은 그림~!!

미미 2021-08-25 14:10   좋아요 4 | URL
몇 번 빵빵 터졌습니다. 그걸 리뷰에 담을 수 없어서 아쉽고요.ㅎㅎ😭 이 못씀에 늘 한계를 느낍니다. 그래서 재밌는 글이 더 좋아지는 듯~♡

새파랑 2021-08-25 14:55   좋아요 4 | URL
미미님은 공인된 독서기계 리뷰기계임😆

미미 2021-08-25 15:04   좋아요 4 | URL
새파랑님은 북플 독서기계 공인인증처임요😆👍

붕붕툐툐 2021-08-25 19:26   좋아요 2 | URL
기계들의 전쟁이닷!😁

미미 2021-08-25 19:29   좋아요 1 | URL
ㅋㅋㅋ귀여우신 툐툐님~💕

scott 2021-08-25 23:27   좋아요 2 | URL
새파랑님 기계 맞음
( )_( )
(=‘ :‘) ~~~~🤖
(,(‘)(‘)

페넬로페 2021-08-25 15:50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벨 아미의 뜻이 이런 의미이네요~~
얼마전 푸시킨의 단편 읽었을때도 그렇고 결투에 대한 것에 관심이 가네요^^
영화도 만들어졌나보네요**
언론에 대한 기사들을 보면 고구마 100개 먹은 느낌이예요^^

Falstaff 2021-08-25 16:02   좋아요 5 | URL
푸시킨의 결투 씬은 <예프게니 오녜긴>에서 두 절친 오녜긴과 렌스키의 새벽 눈밭에서 총싸움 아니었습니까?
찰딱서니 없는 올가가 약혼자 렌스키가 두 눈 동그랗게 뜬 채 보고 있는 앞에서 오녜긴 품에 폭 안겨 왈츠를 추는 바람에 눈이 뒤집혀서리.... ㅋㅋㅋㅋ
마지막 씬 때문에 특별히 여성들이 좋아하는 작품인데요.

하여튼 벨아미는 나쁜 놈이예요! ㅋㅋㅋㅋ

페넬로페 2021-08-25 16:11   좋아요 5 | URL
아직 예프게니 오녜긴은 못 읽었고 단편인 ‘마지막 한발‘에 결투에 대한 내용이 나와 있었어요. 예프게니 오녜긴도 어서 읽고 싶어지더라고요^^

Falstaff 2021-08-25 16:29   좋아요 5 | URL
맞아요, 맞아요. <마지막 한 발>도 있었군요. 제목을 들으니 기억이 나네요. ㅋㅋㅋ
푸슈킨 없었으면 러시아 소설이 훨씬 덜 ‘폼‘났을 거 같아요.

미미 2021-08-25 16:29   좋아요 5 | URL
여기서 결투를 하게 되는 과정을 잘 묘사하고 있어요~♡ 다소 황당한 측면을 잘 살려내서 목숨이 걸린 상황인데도 코믹했어요ㅋㅋ페넬로페님도 이 작품 꼭 읽어보세요 강추입니다😍

미미 2021-08-25 16:32   좋아요 5 | URL
위에 결투 그림은 일리야 레핀의 작품‘오네긴과 렌스키의 결투1899‘맞습니다
스콧님 덕분에 알게된 그림~♡

페크pek0501 2021-08-25 15:58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작가들은 알겠는데 못 읽은 책이네요. 이렇게 배워 갑니다. ^^

미미 2021-08-25 16:33   좋아요 3 | URL
아 정말정말 재밌습니다. 기회되심 페크님도 꼭 읽어보세요~♡ 별이 8개정도?ㅎㅎ😳

막시무스 2021-08-25 17:30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주인공 얼굴보니 허영심가져도 될 것 같긴 한데요! 영화부터 한번 보고싶어지네요!ㅎ

미미 2021-08-25 17:58   좋아요 5 | URL
오 막시무스님! 소설이 더 재밌지만 영화도 가볍게 보실만해요~♡
아주 바람둥이 벨아미입니당😆

coolcat329 2021-08-25 17:33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사뒀는데 얼른 읽고 싶어집니다. 그렇게 재밌나요??? 로버트 패틴슨은 알게 모르게 여러 영화에 나오는거같아요 .

미미 2021-08-25 18:03   좋아요 3 | URL
기대를 좀 했는데도 그 이상이었어요~♡ 날카롭게 기자들의 생리를 꼬집는데 이게 벨아미의 막장극과 아주 잘 어우러지거든요. 읽다 덮어둔 발자크의 <기자생리학>을 다시 펼쳤어요😉

scott 2021-08-25 23:34   좋아요 2 | URL
쿨켓님 믿고 읽으세요
미미님 은근 고전 문학 1인자 이쉼
( ´●◡●`*)

미미 2021-08-25 23:45   좋아요 0 | URL
아닙니다 스콧님이 1인자,북플 다이아몬드,북플 초인~♡(๑>ᴗ<๑)♡

mini74 2021-08-25 18:15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발자크 말이 너무 와닿네요. 자유와 방종 사이 언론이 지켜야 할 윤리들이 ㅠㅠ
남자주인공 너무 잘생겼어요 ㅎㅎ
별 8개라니! 벨아미 장바구니로 ㅎㅎ

미미 2021-08-25 18:20   좋아요 4 | URL
패틴슨 예뿌죠~♡ㅋㅋㅋㅋ언론은 대중을 방패로 삼는만큼 큰 힘과 책임이 따르는데 이 책을 읽고보니 생각보다 더 많은 유혹에 빠지기 쉬운직업인듯 해요. 너무 재밌는 작품입니당~🤭

붕붕툐툐 2021-08-25 19:29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허영의 쌍두마차라고 해서, 허영이 사람이름이라고 순간 생각했어요~(허재같은?;;;;)
미미님이 8개 극찬 하시니 완전 필독서네요~ 게다가 제가 웃긴 걸 워낙 좋아하잖아요!ㅎㅎㅎㅎ

미미 2021-08-25 19:34   좋아요 4 | URL
제 기억에 (덮으면 망각시작)적어도 3군데 이상 터지는 곳이 있어요~♡ㅎㅎ제목 은근 신경쓰여요!😆
허영씨~ 맥락상 나쁘지 않은 이름인듯ㅎㅎ👍

scott 2021-08-25 23:34   좋아요 2 | URL
툐툐님, 이런 아재 개그 좋음요

*•.❥*.꒰๓´͈ ˘ `͈๓꒱.*

초딩 2021-08-28 13:3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북플 뉴스레터 선정 축하드려요~

미미 2021-08-28 14:08   좋아요 1 | URL
오오 감사해요 초딩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