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살때 마리라는 일본인 친구를 따라 그녀가 가입한 축구 모임에 따라간 일이 있다. 그애는 다른 여성들과 잠시 인사를 한 뒤 익숙한 모습으로 축구복으로 갈아 입고 경기장에 들어가 공을 패스하고 또 공을 따라잡기 위해 달리며 즐거워했다. 당시까지 한 번 도 축구를 해 본 적이 없던 나에게는 신선한 경험이었다. 초중고에 다니면서 내가 해 본 단체 운동은 피구,배구,농구,야구정도였다. 축구는 단 한번도 해본 기억이 없다. 지금은 학교에서 어떤지 모르겠지만 유달리 축구는 남자들만의 전유물로 여겨졌다. 여성들이 가장 싫어하는 이야기는 군대이야기와 축구이야기고 가장 나쁜건 군대에서 축구한 이야기란 말도 있을 정도니 이 속설로 그 거리감을 어느정도 실감할 수 있겠다.
이런 것들은 우리 주위에 너무나 많다. 중학교 때 나는 존 그리샴과 에릭시걸의 소설을 좋아했는데 당시 누군가가 예쁜 여자는 머리가 나쁘다고 했다. 그러나 소설 '닥터스'에서 여주인공은 예쁘지만 의대에 다녔다. 혼란스러웠다. 모델들은 다 머리가 나쁘다는 말도 있었다. 이것은 아마도 여성모델을 가리키는 것이리라. 예쁜것과 좋은 뇌가 공존할 수 없다는 사실이 남자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것이 의아했다. 도대체 누가 이런 이야기를 만들고 퍼트리는 것일까? 근거도 갖추지 않은 이런 말들이 오히려 근거를 갖춘 이야기들 보다 사람들에게 쉽게 전파되고 의식에 오래 남을 수 있다.
P.140 사회심리학 연구들은 일단 성 고정관념이 뿌리를 내리면 그것이 변하기가 무척 어렵다고 밝힌다. 기존의 고정관념에 상응하는 세부 사항들만 지각하고 기억하며 그렇지 않은 것은 무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정관념에 들어맞는 정보만 믿고 그렇지 않은 것은 믿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고정관념에 적절한 특성을 마주하면 그것을 성별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예외라고 하거나 상황,또는 개인차라고 치부한다.
이스라엘의 신경과학 교수 다프나 조엘과 뉴욕의 과학저술가인 비칸스키의 공동 작품 <젠더 모자이크>는 뇌를 남녀로 나눌수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기존의 뇌 과학 분야에서 많은 과학자들은 남녀의 뇌로 서로간의 차이를 드러내기 위해 애를 썼던 것으로 보인다. 언론은 이런 내용들을 구미에 맞게 기사화하고 이것은 다시 기존의 젠더 신화를 구성하는 퍼즐의 한 조각으로 대중에게 퍼져 역할을 하는 식이다. 하지만 사실상 남녀의 뇌는 구성이나 기능에서 차이보다는 공통점이 많으며 이것은 결국 남.녀 성의 차이가 아닌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드러낸다는 것이 그녀의 연구와 조사에서 밝혀진다. 오로지 남자의 특성만 가진 남자도 없고 여자의 특성만을 지닌 여자도 없듯 뇌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P.214 가장 좋은 특권 중 하나는 자신이 특별 대우를 받는지 모르는 것이다. 당신은 휠체어를 탄 사람이 어느 지점 이상 가지 못하는 모습을 보고서야, 매일 다니는 그 길에 계단이 있음을 깨달을지도 모른다. 자기가 누리는 특권을 발견하고 싶으면, 자신의 집단에 속하지 않는 사람들의 경험을 알도록 노력하라. 당신이 남자라면 다양한 상황에서 여성이 어떻게 느끼는지 생각해보고, 다수에 속하는 백인이라면 소수집단의 경험을 배워보라. 신체가 튼튼하다면 장애가 있는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어보라. 일단 젠더 고정관념과 특권을 인식하면 그것에 대응할 수 있다.
상대와 나를 구분짓고 그것으로 타인을 차별하고 적으로 만드는 것은 어찌보면 이 세계의 가장 오래된 악습이며 서로간의 고통의 이유이다. 영화 <빌리 엘리어트> 마지막 장면에서 빌리의 도약을 본 사람들이라면 여성적인 것, 남성적인 것으로 분리하고 경계를 가르는 것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가능성을 가로막는 것인지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공통점들은 언급하지 않고 극히 드문 남녀 뇌의 차이점만을 부각하는 일부 학자들은 마치 맥락은 지우고 자극적인 몇 마디 말만을 키워드로 뽑아 여야 정치인들간의 분쟁을 키우는 일부 언론사들을 보는 것 같아 씁쓸했다. 젠더의 이분법을 없애는 동시에 성별 자체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적용해야 의학의 진정한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페미니즘의 도전. 정희진> P.33 모든 이항 대립 논리는 거의 필연적으로 성별적으로 작동한다. 끝은 새로운 시작이듯이 낮과 밤은 순환하고 연결되며 상호 의존하는 것인데도, 가부장제 사유 체계는 그것을 대립으로 받아들인다. 낮과 밤의 구분이 모호한 해질녘 황혼과 동트는 여명이 아름다운 것은 경계의 시간이기 때문이다. 경계에 선다는 것은 혼란이 아니라 기존의 대립된 시각에서는 만날 수 없는 다른 세계로 이동하는 상상력과 가능성을 뜻한다. 대립은 서로를 소멸시킬 뿐이다.
<영화 '빌리 엘리어트'중에서. 사진출처=핀터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