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일랜드 대기근 ㅣ 시공 디스커버리 총서 63
피터 그레이 지음 / 시공사 / 1998년 1월
평점 :
품절
1845년부터 시작된 아일랜드 대기근과 그 여파를 다룬 책. 얇지만 작은 글자로 빽빽히
많은 내용이 들어가 있다. 우리야 아일랜드가 멀게 느껴지니 아일랜드 대기근, 아일랜드 감자기근이라 칭하지만, 서양사에서는 보통 ‘대기근’이라 할
정도로 이 기근은 끔찍했다. 100만명이 넘는 가난한 사람들이 굶주림과 역병으로 죽었다. 절망끝에 이민간 사람들도 많았기에, 1845년 기점으로
60년 후, 아일랜드의 인구는 절반이 되어 버렸다.
기근의 직접적 원인은
‘감자마름병’이었지만 100만명의 사람들을 굶어 죽게 만든 것은 정치적, 인종적, 경제적, 종교적인 문제들이었다. 물론 이는 전적으로 영국
지배자들 때문이었다. 아일랜드는 12세기 이래 700년간 영국의 지배를 받았다. 청교도 혁명 이후 크롬웰은 1652년 아일랜드 식민법을 만들어
본격적으로 아일랜드의 토지를 수탈했다. 전체 경지 2/3는 영국인 지주 소유였다. 몰락한 아일랜드인은 소작인이 되어 수확한 곡물은 세금과 지대로
영국인 부재지주에게 바치고, 그들은 감자만 먹고 살았다.
감자마름병으로 기근이
들고, 역병이 확산되어지만 영국 지배자들은 이들을 구제하지 않았다. 아일랜드 사람들이 게으르고 미개한 탓이라고 말했다. 심지어 신교도 영국인들은
이를 카톨릭을 믿는 아일랜드에 대한 신의 징벌이라고도 말했다. 감자 수확은 어려웠어도 들판에는 밀 등 곡식들이 잘 자라고 있었다. 하지만 가난한
아일랜드인들은 이 곡식을 살 돈이 없었다. 영국은 여전히 군대를 동원해 강제로 아일랜드에서 생산한 밀을 영국으로 가져 왔다. 당시 영국은 매년
50여만톤의 밀을 아일랜드에서 영국으로 가져왔는데, 이 양이면 충분히 당시의 아일랜드의 굶주린 사람들 전체를 먹일 수 있었다고 한다. 영국인
대지주들은 아일랜드인들이 지대와 임대료를 내지 못하자 그들을 강제로 내쫓았다. 쫓겨난 사람들은 빈민구제소까지 걸어가다가 길에서 굶어 죽거나 병에 걸려
죽었다. 종교 기관의 후원으로 설립된 구제소는 죽 한 그릇 주면서 개종을 요구하기도 했기에, 신앙심 깊은 아일랜드 사람들은 구호를 거부하며
죽어가기도 했다. 당장 무상 배급이 급한데 영국은 아일랜드인들이 게을러질까봐 공공사업을 벌여 일을 시킨 후에야 돈을 지불했다. 그런데 품삯도
충분히 주지 않아 그 돈으로는 식량을 구입해서 굶주린 가족을 먹일 수 었었다. 이상이 바로 네덜란드 등 전유럽에 감자마름병이 유행했지만 유독
아일랜드에서만 대기근이 발생한 이유다.
책은 아일랜드 내만
서술하지 않고, 이민간 아일랜드인들의 이후 이야기까지 추적해서 보여준다. 크롬웰 시대부터 영국(잉글랜드)로 이주해간 아일랜드인들은 대도시
공장에서 저임금으로 착취당하며 대영제국의 산업혁명에 기여했다. 대기근 이후 미국으로 이주해간 아일랜드인(케네디 대통령 조상들 포함)들 역시
저임금 노동자로 혹사당했다. 미국의 대륙 횡단 철도는 중국 쿨리들과 아일랜드인들이 만들었다.
재난의 발생은 하늘에 달려
불가피할지 몰라도, 희생자들을 더 늘이는 것은 항상 지배계급의 잘못된 대처때문이라는 것을 절실히 보여주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