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의 세계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곽복록 옮김 / 지식공작소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2차 대전 발발 후 1941년 브라질에 정착한 츠바이크가 지난 시대의 유럽과 자신의 생애를 회고한 내용을 담고 있다.

 

나의 오늘은 나의 어제의 어느 것하고도 너무나 다르며 또 나의 상승과 전락이 너무도 기막히기 때문에, 나는 다만 하나의 인생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완전히 서로 이질적인 인생을 살았다고 이따금 생각할 정도이다.

- 본문 11쪽에서 인용

 

 

십년 전에 읽었는데, 이번에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을 보고 다시 통독했다. 그동안 독서 이력이 좀 쌓여서 다시 보니, 의외로 많은 역사책들이 <어제의 세계>를 1차 사료로 인용하고 있다는 것이 눈에 새롭게 들어왔다. 에세이이지만, 거의 역사서로 생각하고 읽어두면 좋을 듯하다.

책의 내용에 대해서는 쓸 말이 없다. 요약할 수 없는 성격의 책이다. 걍 읽고, 그의 운명을 만나야 한다.

 

이로부터 여러 해가 지난 후에 비로소 나도, 시련은 사람을 자극하고, 박해는 사람을 굳세게 만들며, 고독으로 파괴당하지만 않는다면 고독은 사람을 드높여 준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인생의 모든 본질적인 것들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인식도 다른 사람의 경험으로부터 배우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오직 자신의 운명을 통해 배우는 것이었다.

- 421쪽에서 인용

또한 그가 관심가진 인물들의 운명도 만나야 한다.

그러나 이 희곡은 소위 '영웅'의 편에 서지 않고 항상 패배자 가운데서 비극을 보고자 하는 나의 내적이고 개인적인 성향을 이미 담고 있었다. 나의 소설에서 주인공은 늘 운명에 의해 쓰러진 자이며, 전기 작품에서도 현실적인 장()이 아닌 도덕적인 의미에서 성공한 인간의 참된 모습에 마음이 쏠렸다. 즉 루터가 아니라 에라스무스, 엘리자베스가 아니라 메리 스튜어트, 칼빈이 아니라 카스텔리오에 쏠렸다.

- 본문 211쪽에서 인용

 

 

 

 

 

 

그의 마음이 쏠린 운명은 각각 '정신적 도덕적 히로이즘'을 체현하는 인물의 운명이 아니었을까.

 

어떠한 공격도, 어떠한 술책도 그의 마음을 움직이게 할 수는 없었다. 그는 두려움 없이 현명하게 세계의 혼란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에게서 나는 다른 히로이즘, 하나의 살아 있는 기념비라고도 할 수 있는 정신적 도덕적 히로이즘을 보았다. (중략) 광기의 발작에 빠졌던 유럽의 양심을 유지한 사람이 바로 그였던 것이다.

- 본문 327

베르하렌, 엘렌 케이, 로맹 롤랑, 톨스토이, 고리키, 릴케,,, 등등 그와 교류하고 영향을 주고받은 당시 유럽의 지성들 이야기를 읽는 재미도 쏠쏠하다. 그리고 현재 내 입장에서는 젊은 책벌레였던 그가 작품을 쓰고 무작정 투고하고,,,, 작가로 자리잡아 가는 과정에서 겪고 느낀 이야기들도 재미있었다.

 

나의 '어제의 세계'를 회고해 보니, 고교 1학년 때의 국어 선생님 덕분에 알게 되어 그의 책과 보낸 세월이 어언 25년,,,, 그의 문장에 빠져 있다가도,,, 자유주의 서구 지식인의 전형적 모습에 의도적으로 멀리하다가도,,, 언제나 그를 다시 읽으면 가슴이 뛴다. 10년 전의 나는, 양차 대전을 거치며 잃어버린 유럽만을 안타까워하는 그가 조금 실망스러웠다. 그 정도의 지성을 갖춘 남자가 유럽이 일으킨 전쟁에 신음하는 다른 지역 사람들의 고통을 거시적으로 보지 못하는 것이 의아했다. 하지만, 이번에 다시 읽고 나니, 생각이 좀 바뀌었다. 그래, 그런 기질을 가진 사내가 있고, 그런 사내를 좋아하는 것이 뭐가 어떤가? 나는 그의 장점과 단점을 다 알고 사랑하는데!  앞으로 나는 아무 죄의식 없이 그를 읽고 사랑하리.

 

(2003년의 2판 2쇄로 읽었지만, 여기 2014년 개정판에 리뷰 남김. 인용문의 페이지는 이 개정판과 다를 수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