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침묵 믿음의 글들 9
엔도 슈사쿠 지음, 공문혜 옮김 / 홍성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의 배경은 17세기 일본. 에도막부의 쇄국정책과 가톨릭탄압이 있던 시절이다. 페레이라 신부를 추적하는 이야기가 한 축, 로드리고 신부가 배교하는 과정이 또 다른 한 축이다. 두 이야기의 축은 두 인물이 만나면서 이노우에와의 대화, 배교를 거듭하는 기치지로의 절규가 등장하는 마지막 부분까지 밀도있게 "침묵"을 추적해 나아간다. 설마하며 의심했던 "침묵"이 끝내 "침묵"으로 끝나는 과정을 인물 심리 묘사를 통해 치열하게 그려낸다.

 

이 소설이 종교문학으로서 갖는 의의는 모르겠다. 솔직히, 별 관심도 없다. 다만, 소설적으로 참 밀도있고 치열하게 이야기를 끌고 나간다는 점에서, 주인공과 독자들의 기대를 배반하며 작가의 주제의식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난 이 소설을 읽으며 소름이 돋았다. 아래 인용부분처럼, 작가는 주인공 로드리고를 내세워 독자에게 끈질기게 묻고 또 묻는다. 마침내 신에게 따질 때까지.

 

하나님은 무엇 때문에 이들 비참한 농민들에게, 이 일본인들에게 박해와 고문이라는 시련을 주시는지요? 아니, 기치지로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조금 더 다른 무서운 사실이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하나님의 침묵입니다. - 본문 86쪽에서 인용

 

지금 당신에게 이렇게 보고하고 있는 일본 신도의 순교는 그와같은 혁혁한 것이 아니라 이렇게 비참하고 이렇게 쓰라린 것이었습니다. 아아, 바다에는 비가 쉴 새 없이 계속 내립니다. 그리고 바다는 그들을 죽인 다음 더욱 무서우리만치 굳게 침묵을 지키고 있습니다. - 본문 93쪽

 

이 바다의 무서운 적막함 위에서 저는 하나님의 침묵을 느꼈습니다. 비애에 빠진 인간들의 소리에 하나님이 아무런 응답도 없이 다만 말없이 침묵하고 계시는 듯한 그런 느낌을,,,,, - 본문  95쪽

 

당신은 언제까지나 침묵을 지키셨지만, 당신이 언제까지나 침묵하실 수는 없으실 것이다. - 본문 163쪽

 

이것이 순교란 말인가?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왜 당신은 침묵하고 있는가? - 본문 186쪽

 

종교문학을 떠나, 한번쯤 읽어볼만한 작품이다. 에도막부의 종교 탄압과 일본인들에게 기독교가 받아들여지지 못하는 이유를 서술한 부분도 흥미롭다.

 

이 책은 세월호 참사 하루 전에 읽기 시작했다. 이왕 펴든 책이라, 뉴스를 순간순간 검색하면서 계속 읽어나갈 수밖에 없었는데 바다와 신의 침묵,,,, 읽으면서 좀 힘들었다. 하지만 난 순교나 사건사고가 있을 때 신을 부르며 신의 즉각적 응답이 없다고 절망하거나 신의 존재를 의심하는 사람들을 보면 의아하다. 인간들이 벌이고 있는 죄업을 왜 신에게 묻고 절망하는지? 걍, 신의 침묵에 절망할 시간에 약한 자들끼리 손 잡고 연대하여 세상을 바꾸러 나서는 것이 옳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스인 조르바 열린책들 세계문학 21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게는, 소설 자체보다 소설 속 등장인물이, 아니 그 등장인물을 흉내내는 얼치기 인간들이 맘에 안 들어 거리를 두고 있는 소설이 꽤 있다. 와타나베가 등장하는 <노르웨이의 숲>이 그랬고, 조르바가 등장하는 이 책이 그랬다. 이른바 '책 제비'로 불리는 일부 문학한답시는 얼치기들은, 여자를 꼬시는데 와타나베와 조르바를 인용하곤 했다. 어리석게도, 나는 그만 두 소설에 편견을 가져 버렸다. 두 소설을 읽기는 읽었지만 시큰둥했다.

 

그러다 이번 겨울, 한 가지 작업을 하며 더불어 한 가지 조금 힘든 일을 겪어 가면서 갑자기 조르바가 떠올랐다. 이제 나도 나이가 꽤 들었는데, 산전수전 다 겪었는데 이제는 그를 제대로 만나볼 때가 되지 않았나 싶었다. 제발 나도 좀 자유가 되고 싶었다. 그리고 읽기 시작했고, 빠져 들었고,,,, 빠져 나왔다. 역겨운 인간은 어디에도 없었다. 그냥 삶이 있었다. 먼저 깨달아 행동에 옮긴 자의 자유로운 삶이.

 

먹고 마실 때에는 그 음식에만, 여자를 만나 키스할 때는 그 동작에만 집중하는 조르바. 현재를 즐기는 조르바. 그 조르바의 자유로움은 얇은 지식에서 비롯하지 않았다. 1930년대의 그리스 크레타. 그 현장에서 지옥을 겪어봤기에 그는 더 현재를, 인간을 뜨겁게 사랑할 줄 알게 된 거였다. 예전에, 어린 나는 그것을 읽어 내지 못했다. (아니면, 그때 내가 읽은 책은 <희랍인 조르바>여서인지도 모르겠다. ^^)

 

내게는, 저건 터키 놈, 저건 불가리아 놈, 이건 그리스 놈, 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두목, 나는 당신이 들으면 머리카락이 쭈뼛할 짓도 조국을 위해서랍시고 태연하게 했습니다. 나는 사람의 멱도 따고 마을에 불도 지르고 강도 짓도 하고 강간도 하고 일가족을 몰살하기도 했습니다. 왜요? 불가리아 놈, 아니면 터키 놈이기 때문이지요. 나는 때로 자신을 이렇게 질책했습니다. <염병할 놈, 지옥에나 떨어져, 이 돼지 같은 놈! 싹 꺼져 버려. 이 병신아!> 요새 와서는 이 사람은 좋은 사람, 저 사람은 나쁜 놈, 이런 식입니다. 그리스인이든, 불가리아인이든 터키인이든 상관하지 안습니다. 좋은 사람이냐, 나쁜 놈이냐? 요새 내게 문제가 되는 건 이것뿐입니다. 나이를 더 먹으면(마지막으로 입에 들어갈 빵 덩어리에다 놓고 맹세합니다만) 이것도 상관하지 않을 겁니다. 좋은 사람이든 나쁜 놈이든 나는 그것들이 불쌍해요. 모두가 한가집니다. 태연해야지 하고 생각해도 사람만 보면 가슴이 뭉클해요.     

- 본문 328 ~ 329쪽에서 인용 

                  
지금 다시 작가 연표와 함께 소설을 읽어 보니, 이 소설은 60대의 작가가, 30대에 만났던 조르바에 대해, 그 때는 이해못하고 무작정 선망했던 60대의 조르바를 이제는 온전히 이해한 상태에서 썼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결국 이 소설은 '내가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의 심정으로 '이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서'서 쓴 작품이 아닐까. 아, 지금은 이 정도까지만 느끼고 생각하련다. 아무 편견없이 이제 조르바의 애정행각과 언어표현이 주는 역겨움에서 자유로와진 것만 해도 난 이미 자유이고 조르바인 걸!

 

인간의 영혼이란 기후, 침묵, 고독, 함께 있는 사람에 따라 눈부시게 달라질 수 있는 것이네!

- 본문 135쪽에서 인용

 

그래도 난 아직 어린가부다. 조르바가 다른 말 거칠게 떠들어대는 대목보다 이런 잔잔한 대목이 더 좋다. 난 늘 나보다 말 많은 남자가 싫다. 현실이든 소설 속이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리엔트 특급살인 애거서 크리스티 미스터리 Agatha Christie Mystery 2
애거서 크리스티 지음, 유명우 옮김 / 해문출판사 / 199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에 다니던 피아노 학원에, 아동용 추리소설 전집이 있었던 기억이 난다. 레슨 시간 기다리며 읽다보니, 막 탐정이 중요한 말을 시작하려던 순간에 선생님께서 부르면 참 미칠것 같았던 기억이 난다. 이 책도 그때 읽어서 이미 범인도 내용도 다 알고 있었지만, 다시 읽어보니 어릴 적 안 보이던 것들이 보인다.

 

이스탄불에서 파리로 향하는 호화기차 오리엔트 특급. 그 밀실 안에서 살인 사건이 일어난다. 모든 승객은 다 완벽한 알리바이를 갖고 있다. 이를 해결하는 에르큘(헤라클레스라니!) 포와로 탐정. 해결했지만 손을 떼버리는 그 결말. 각각 인물 묘사가 뛰어나서 영화로 보면 더욱 멋질 것 같다.

 

물론 나는 추리 소설 자체보다 이 소설이 담고 있는 시대상과 역사, 문화에 더 관심이 많다. 철도 발달과 더불어 시작된 대중문학과 추리소설이란 쟝르, 역마차 스타일로 객실을 만든 영국식 기차에서만 가능한 밀실 살인, 철도시로 인한 근대 세계의 통합(이 시절 80일간의 세계일주가 가능한 것은 기차와 여객선 시간표가 정확히 나와 있었기 때문이었군!) 자연스레 영국에서 철도 미스터리가 유행할 수 있었던 이유, 12명의 범인과 관련한 배심원 제도, 파리와 이스탄불을 잇는 기차와 제국주의, 각각 다른 국가와 계급 출신의 사람이 한 자리에 모일 수 있는 나라로서의 미국 등등,,,, 

 

생각해보니 이 시절 추리소설만 다루어도 엄청난 역사 이야기를 쓸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한다.

 

http://joongang.joins.com/article/369/13791369.html?ctg=

 

http://joongang.joins.com/article/678/13933678.html?ct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