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교양, 미술이 묻고 고전이 답하다 - 18권의 철학·문화·사회·경제 고전을 54점의 그림으로 읽는다
박홍순 지음 / 비아북 / 2015년 7월
평점 :
품절



몇 년 만에 다시 꺼내 읽는데, 수십 페이지를 넘기도록 책 내용이 새록새록 살아난다. '초판인쇄일로 따져보니 40여개월 만에 펼쳐들었는데? 나, 설마 기억력 천재?!' 그럴리가! 실은 『세상의 모든 교양, 미술이 묻고 교양이 답하다』의 집필방식 덕분에 내용을 잘 기억하는 것일 것이다. 저자 박홍순은 '서가명당' 명강사도, 논문이 인용되는 학자가 아니다. 그렇지만 화가의 꿈을 키우며 미술을 공부했던 경험을 십분 살려서 고전을 '명화'와 엮어 해석하는 방식을 특화했다. 그의 표현을 빌자면 "고전이 갖는 한계를 미술 작품이 보완해준다. 대부분의 고전은 문학작품이 아닌 이상 다루는 내용과 논리적인 형식 덕에 지극히 이성적이다...(중략)...미술 작품을 고전 이해의 동반자로 삼음으로써 우리의 정신과 삶은 더욱 충만한 상태로 향한다." (10쪽) 즉 그림, 그것도 명화를 통해 독자는 활자로 곱씹어 이해해야할 내용을 직관적으로 궁금해하고, 강렬하게 기억하게 된다. 나 역시, 40여개월이 지나도 이 책에서 소개한 명화 50여점을 대부분 기억하는 것을 보면 저자의 주장에 동감한다.



그렇다면, 저자가 이해하는 "고전"은 무엇일까? "세상의 모든 교양"을 책제목에 내세우는 저자는 과연 어떤 고전을 선별해서 소개할까? 먼저, 저자는 아나톨 프랑스의 말을 빌어 "고전이란 누구나 가치를 인정하지만 누구도 읽지 않는 책"이 되기 쉽지만, 실은 향미가 뛰어난 맛있는 요리와 같다고 한다. 또한 고전의 요리법은 하나가 아니기에, 독자는 나름의 방식으로 고전을 조리해 먹을 수 있고 저자가 그 막막한 과제풀이를 도와주겠다고 한다. 앞서 말한대로, 미술 작품을 안내자 삼는 방식으로. 그렇게 저자는 고전을 "철학, 문화, 사회, 경제" 네 분야, 다시 18개로 압축 선별했다. 순서 없이 18개 고전풀이하는 데 무방한 줄 알았는데, 다시 한번 "책머리에"를 들춰보니 제시된 순서대로 읽을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어 1부 "철학에 길을 묻다"에서는 서양철학에서 '이성'에 대한 관점을 4편의 고전을 내세워 시대별로 정리했다고 한다. 플라톤, 소크라테스, 니체, 화이트헤드의 저작이 등장한다. 물론 서양명화와 병렬배치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소크라테스가 추구하는 정신적 열망을 설명하며 박홍순 저자는 "쾌락의 팔 안에서 알키바데스를 끌어내는 소크라테스"(르뇨, 18c)를 엮어 소개한다.


2부, "문화의 사려 깊은 매력"에서는 인류학자 말리놉스키, 푹스, 발터 벤야민, 보드리야르와 부르디에의 작품을 소개한다. 말리놉스키의 가족&친족 이론을 이해하는 데에는 루소의 가족그림을, 서구의 도덕성에 정면 도전한 푹스의 『풍속의 역사』를 소개하면서 부셰의 그림들을 배치했다. 저자는 중간중간 21세기 한국의 상황을 반영하는 에피소드나 저자의 여담을 곁들여, 서구 학자들만의 이론의 향연에 그치지 않도록 노력했다.
3부 "살맛 나는 사회를 위하여"에는 법, 제도, 관료제, 자유, 여가 등 오늘날 사회 이해에서 빼놓을 수 없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고전을 소개한다. 고전읽기를 '지금- 여기' 일상과 연결지으려는 저자의 큰 그림이 행간에서 느껴진다. 경제 분야 고전을 다룬 4부, "경제를 생각한다"에서는 로크, 하이에크, 폴라니, 리프킨을 요약본으로나마 접할 수 있다. 중간중간 생소한 용어와 뜻풀이가 필요한 부분은 '비아북' 편집실에서 매끈한 방식으로 해결해주었다. 『세상의 모든 교양, 미술이 묻고 고전이 답하다』를 읽고 나면, 고전을 어떤 '나만의' 방식으로 해석하고 요리할지 감을 얻을지도 모르겠다. 사실 난 아직 못 찾았는데, 최근 읽은 『감염된 독서』의 최영화 저자가 '감염내과 전문의'로서의 렌즈를 특화시켜 문학작품을 해석하는 방식과 『맛, 그 지적 유혹』의 정소영 저자가 영문학과 미디어 전공을 살려서 음식을 문학작품 속에서 디코딩하는 방식에서 아이디어를 빌어와야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9-02-12 16: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자가 2차 문헌에 있는 문장을 직접 인용하고 번역하지 않는다면, 2차 문헌의 번역본에 있는 문장을 인용할 수 있어요. 그러면 당연히 인용문의 출처를 밝히는 게 맞습니다. 저도 몇 년 전에 출처를 밝히지 않고 문장을 인용해서 글을 쓴 적이 있었어요. 그땐 너무 가볍게 생각했는데, 표절로 오해 받아서 혼줄 났습니다. 그 날 이후로 출처 밝히기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