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의 힘]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개의 힘 2 밀리언셀러 클럽 125
돈 윈슬로 지음, 김경숙 옮김 / 황금가지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개의 힘. 돈 윈슬로라는 저자를 나의 기억에 각인시킨 작품. 그의 첫 작품이었던 『지하에 부는 서늘한 바람』은 단순한 관심 정도에 그쳤으나 이 소설은 다르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밀리언셀러 클럽에서 출간되니 관심도도 높아졌고, 두 권의 분량이니 어떤 대단한 이야기가 담겨 있을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The Power of the Dog'라는 제목 역시 나의 흥미를 끌기에 충분했다. 과연 이 미스터리 작가는 무려 30년 동안 길게 끌었던, 베트남 전쟁처럼 도무지 끝이 보이지 않는 나락 같은 멕시코 마약 전쟁을 어떻게 독자에게 흥미진진하게 보여줄 것인가? 하지만 이 책은 전쟁사가 아니다. 전쟁과 폭력, 그리고 인간의 타락을 통해 그들의 내면 속에 잠들어 있는 '악'이 어떻게 깨어나고 그 악이 인간의 역사를 어떻게 바꿔놓는지 보여주는 추악한 역사다.

 

 개의 힘. 그것은 어디에서 왔는가? 그리고 그것은 무슨 의미인가? 그 기원은 구약 성서에서 찾을 수 있다. 시편 22편 20장, 이 구절이 모든 것을 바꾸었다.

 내 영혼을 칼에서 건지시며

 내 유일한 것을 개의 힘에서 구하소서.

 여기서 '개의 힘'이란 인간이 아무리 애를 써도 몰아낼 수 없는 악과 모두에게 내재된 악의 가능성을 뜻한다. 이 '모두'는 소설 속에서는 100명에 달하는 등장인물 전부를, 현실에서는 인류 전체를 뜻한다. 즉, 『개의 힘』은 '모든 인간은 악하다'라는 전제를 두고 시작하는 것이다. '국경의 왕'이라 불리는 마약 단속반 아트 켈러, 일명 '하늘의 군주'로 일컬어지는 마약 조직 보스 아단 바레라, 고급 매춘부로서 아름다운 외모로 모든 남자들을 매혹시키는 노라 헤이든, 그리고 아일랜드계 킬러 칼란, 그리고 그들 주위를 이루는 수많은 인물들의 끊임없는 악의 회전으로 소설은 진행된다. 때로는 아트가, 때로는 아단이, 때로는 노라가, 때로는 칼란이, 때로는 그 밖의 다른 인물들이 각 장면마다 주인공처럼 움직이고 생각한다. 그것이 이 소설의 매력이다. 저자는 단 한 사람의 개의 힘도 무시하지 않았다. 그는 모든 사람들을 악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주인공이라 불리는 그들은 선하지 않다. 심지어 '정의'를 상징하는 경찰인 아트 켈러 역시 서서히 개의 힘에 굴복하고 만다. 그러니, 누굴 탓할 것인가? 그 힘은 누구의 책임도 아닌 것을.

 

 개의 힘. 나는 처음에 노라라는 인물 때문에, 그리고 마약 전쟁이라는 시대적 배경 때문에 소설이 뻔하게 흘러가지 않을까 불안해 했다. 노라 때문에 소설이 선정적인 싸구려 소설로 변질될 까봐 두려웠고 마약 전쟁이라는 배경에 너무 얽매여 이야기의 흥미와 긴장을 쏙 빼버릴까 불안했다. 하지만 돈 윈슬로는 이러한 불안과 두려움을 모두 깨버리고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었다. 가히 거장이라 할 만하다. 누구도 생명이 안전하다는 보장이 없는 섬뜩한 게임을 보는 것 같았다. 과연 실제로도 이랬을까? 멕시코 마약 전쟁은 실제로 존재했고 책 속에 등장하는 일부 사건 역시 현실 속에서 듣고 본 적이 있기 때문에 더욱 무섭다. 이 게임이 너무나 리얼한 까닭이었을까? 만약 이 대작 소설이 영화로 만들어진다면 어떻게 될까? 아마 망작이 될 것이리라. 3부작으로 만들지 않는 한. 이 엄청난 이야기를 어떻게 2시간 만에 요약할 수 있단 말인가?

 

 개의 힘. 많고 많은 인물이 있었고 또 세월이 흐르면서 많고 많은 인물들이 죽었지만 그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사람은 '후안 신부'였다. 어떤 면에서 보자면 『개의 힘』 중에서 유일하게 이 자만 그 거부할 수 없는 힘에서 벗어났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선했으며 억울하게 죽은 성인이었다. 노라와 사랑에 빠졌으나 그것은 저급한 사랑이 아니었으며 외모로 인한 사랑도 아니었다. 늙은 후안 신부의 죽음을 누구보다 슬퍼한 사람은 매춘부 노라였다. 그 둘은 서로를 진심으로 사랑했다. 노라는 그 전까지(그리고 그 이후) 다른 남자들이 자신을 사랑하는 것은 수없이 겪었으나 자신이 그 노인을 사랑하는 것은 처음이었다. 개의 힘이 비록 절대적인 것이지만 그 속에서도 인간은 희망을 품고 있으며 사랑을 하고 있다.

 

 개의 힘. 그리고 그 두 사람을 만나게 한 것은 다름 아닌 거대한 사건이었다. 그 사랑을 싹트게 한 것은 개의 힘 때문이 아니었다. 아마 이 소설을 읽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기억할 수 있는 장면, '멕시코 지진 장면'이다. 나 역시 다른 것은 다 잊어도 이 지진 장면만은 오래 갈 것이다. 정말 박진감 있으면서 고요하게 흘러갔다. 노라와 후안 신부는 똑같은 지진을, 똑같은 붕괴를, 똑같은 죽음을 보았다. 그리고 그 '공감'으로 인해 두 사람은 만났고, 이내 사랑에 빠진 것이다. 지진은 절망스럽지만 그 속에서 개의 힘도 어떻게 할 수 없는 희망이 싹트고, 다시 세상은 개의 힘에 맞서 움직이고 있다.

 

 마지막 개의 힘. 이제 끝이다. 누가 살고 누가 죽는지 아무도 모르는 이 게임 속에서 살아남는 사람은 누굴까? 『개의 힘』의 결말이 궁금한가? 직접 읽어보라. 1000쪽이라는 분량이 부담된다고? 걱정하지 마라. 일단 읽기 시작하면 그 다음 이야기로 넘어가느라 정신 없을 테니까. 오랜만에 정말 재미있는 소설을 만나서 좋았다. 『끌림』이 그랬듯이, 『개의 힘』도 부정할 수 없이, 끌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