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책 직지의 소원 - 직지심체요절이 들려주는 고려 시대 이야기, 2019 행복한 아침독서 추천도서 처음부터 제대로 배우는 한국사 그림책 11
최은영 지음, 심수근 그림 / 개암나무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IMG_20180207_143318_edit.jpg


 

개암나무 출판사 <우리책 직지의 소원>은 '처음부터 제대로 배우는 한국사 그림책 시리즈' 중 열 한 번째 그림책이다.

'직지심체요절이 들려주는 고려 시대 이야기'라는 부제가 붙은 <우리책 직지의 소원>은 최은영 작가가 글을 쓰고, 심수근 작가가 그림을 그린 책이다.

초등학교 중학년인 아이들과 보면 좋을 것 같아 큰아이와 함께 보게 된 책.

나도 직지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이 없기에, 아이와 마찬가지로 처음 접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생각으로 보기 시작했다.



IMG_20180207_143504_edit.jpg

직지는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본으로

인쇄 문화의 전파와 인류의 역사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에 세계적인 영향력을 준 기록 유산으로 인정했고,

현재 프랑스에 단 한 권만 보관되어 있기에

그 희귀성이 유네스코의 기록 유산으로 선정하는 데 크게 고려되었다.

아울러 직지와 구텐베르크 42행 성서는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동서양의 금속 활자본으로

인류의 기록 문화를 혁신적으로 바꾼 최대의 유산이다.

-직지심체요절의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 등재 이유 중에서 -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본이라는 말을 듣고 나니, 어렴풋이 학창시절 국사 교과서를 보며 열심히 외웠던 것 같은 기억이 났다.

그런데 우리의 문화 유산이 왜 우리나라도 아닌 프랑스에 보관되어 있는 것일까?




IMG_20180207_143536_edit.jpg

IMG_20180207_143600_edit.jpg

IMG_20180207_143630_edit.jpg

직지의 원래 이름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이라고 한다.

'백운'은 사람의 이름이고,

'화상'은 스님이라는 뜻,

'초록'은 필요한 부분만 뽑아서 적었다는 뜻이고,

'불조직지심체요절'은 부처님과 유명한 스님들이 가르침을 바르게 깨닫는 데 요긴한 글이라는 뜻아리고 한다.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은 백운 스님이 불교의 가르침 중에서 중요한 부분만을 골라서 쓴 책이라는 것이다.

고려시대의 스님이었던 백운 스님은 고려시대의 불교가 조그씩 타락하자 중국으로 수행을 갔다.

그 곳에서 돌아올 무렵 선물 받은 책 '불조직지심체요절'에 다른 책에서 고른 글 귀를 보태어 1372년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을 완성시켰다.

스님이 돌아가시고 난 후, 이 책의 말씀을 더 널리 알리고자 스님의 제자인 석찬과 달잠은 이를 인쇄 하기로 마음 먹고, 금속 활자를 만들어 책을 만들었다.

금속활자라는 말을 들어 보기는 했지만, 그 과정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게 없었는데...

책에 소개되어 있는 내용만 보더라도 참 많은 노력과 정성이 들어간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우리의 문화 유산이라 불리는 '직지'를 만들기 위한 정성에 절로 고개가 숙여졌다.



IMG_20180207_143654_edit.jpg

1886년 조선 말, '조불 수호 통상 조약'을 맺은 이듬 해 플랑시라는 프랑스 사람이 외교관으로 조선에 와서 우리나라에서 수집한 물건들을 가지고 프랑스로 가게 디었고, 그 곳에 '직지'도 있었다.

우리나라의 힘이 없던 시절, 우리의 문화유산은 일본으로 프랑스로 옮겨가지고, 정작 우리나라에 남아 있던 문화 유산은 얼마 되지도 않았다는 사실에 나라의 힘이 없다는 것이 얼마나 비참한 것인지 절로 숙연해지게 되었다.


 



IMG_20180207_143742_edit.jpg

IMG_20180207_143756_edit.jpg

프랑스에서 직지를 발견하신 분은 '박병선 박사'로 프랑스 유학을 하고,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서 사서로 일하던 중 '직지'를 만나게 되고, 연구 했다. 그리고, 1972년 '세계 도서의 해'에 세계 각국의 책을 전시할 때 직지를 선보여 세계의 관심을 끌었다. 그리고 청주시에서 '직지'를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해 달라고 유네스코에 신청서를 보냈는데, 한국에 있지 않다는 이유로 신청 접수조차 받지 않았다고 한다.

오랜 시간 노력 끝에 '세게 기록 유산'이 된 '직지'

그러나 '직지'는 우리의 문화 유산임에도 여전히 우리나라에 돌아오지 못하고, 프랑스에 있다.



IMG_20180207_143816_edit.jpg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직지'에 대한 금속활자 이야기, 직지에 담겨져 있는 내용, 인쇄술의 발달과 관련된 더 많은 이야기르 담고 있는

'직지심체요절이 들려 주는 금속 활자 이야기'도 아이들과 함께 보면 좋은 내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