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를 보았어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248
존 클라센 글.그림, 서남희 옮김 / 시공주니어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모자 어디 갔을까?>를 통해 만나게 된 '존 클라센' 작가..

이후 <이건 내 모자가 아니야>와 그림을 그린 <샘과 데이브가 땅을 팠어요>를 통해 이 그림은 '존 클라센' 작가의 그림이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

'존 클라센' 작가의 '모자 이야기' 세번째.

 



20161031_130016_edit.jpg


<모자를 보았어>가 시공주니어 출판사에서 출간 되었답니다.

띠지에는 <내 모자 어디갔을까?>, <이건 내 모자가 아니야> 에 대한 수상 정보를 만날 수 있어요.

그리고, 존 클라센의 세 번째 모자 이야기를 시작하는 그림이 그려져 있네요.

<모자를 보았어>는 네버랜드 세계의 걸작 그림책 248로 영국 그림책으로 분류되어 있답니다.



 

20161031_130038_edit.jpg


면지에요.

까만 하늘에 별이 총총 박혀 있는 모습이 연상되더라고요.

까만 밤하늘을 수놓은 수많은 별을 본 적이 언제인지 기억나지 않네요.

면지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일까요?



 

20161031_130104_edit.jpg


<모자를 보았어>는

1. 모자를 보며

2. 지는 해를 보며

3. 잠을 자며

로 구성되어 있어요.

마치 연극에서 1막, 2막으로 나뉘는 것처럼 말이죠.



 

20161031_130132_edit.jpg


<모자를 보았어>에는 이 장면이 두 번에 걸쳐 나와요..

자세히 살펴 보니, 두 거북이의 눈 모양이 다르더라고요.

이 장면은 처음 모자를 보았을 때에요.

두 거북이가 모자를 보았는데...

모자는 하나인데 거북이는 둘이에요. 둘 다 모자를 써 보니, 잘 어울려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거북이들은 고민을 하게 된답니다.

 

그런데 우리 둘 중

하나만 모자를 갖고 하나는 못 가지면

마음이 안 좋을 거아.

두 거북이와 같은 상황을 전 종종 겪어요.

아이들이 직접 해결하게 두는 편이지만, 아이들이 어떤 결정을 내릴런지는 옆에서 지켜 보고 있죠.

먹을 것이라면 나눠 먹으면 되고, 색연필이라면 함께 나눠 쓰면 되는데..

하나 밖에 없는 모자는 정말 어떻게 해야 할까요?



 

20161031_130213_edit.jpg


그래서 모자를 그냥 놔두고 못 본 걸로 하기로 했어요.

그런데 뒤에 가는 거북이는 아쉬움이 많이 남은 거 같아요..

이 다음 장면 보면 눈동자가 모자를 향해 있답니다.



 

20161031_130248_edit.jpg


지는 해를 보며 둘 다 무슨 생각을 할까요??

한 마리는 '지는 해 생각.'

한 마리는 '그냥'이라고 말하죠.

그런데 자세히 거북의 눈을 들여다 보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있어요.

 


20161031_130348_edit.jpg


3. 잠을 자며

한 마리 거북이는 졸려 눈이 감겨요.

그런데 한 마리는 다른 거북의 눈치를 보는 것 같죠..

그리고 서로 이야기를 해요.

과연 모자의 주인공은 누굴까요?

면지가 주는 의미도 책을 끝까지 다 보면 알 수 있을 거 같네요.

 

<모자를 보았어>에서 관심 있게 보게 된 부분은 거북이의 눈동자에요.

눈동자가 참 많은 생각을 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답니다.

우리 아이 마음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거북이가 넘 귀엽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