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나라의 앨리스 네버랜드 클래식 1
루이스 캐럴 지음, 존 테니엘 그림, 손영미 옮김 / 시공주니어 / 200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책을 봤었는지 안 봤었는지 정확하게 기억나진 않는다. 그럼에도 워낙 유명한 이야기였기에 대충의 내용은 알고 있다고 생각을 했다. 요즘 한참 <거울 나라의 앨리스>가 영화로 상영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 아이들과 함께 보러 가고 싶은데, 왜 12세 이상 관람가일까?

책을 받고 큰아이가 먼저 책을 읽었다. 영화보러 극장에 가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아이이기에 그냥 지나가는 말로, 영화로 제작되어 지금 상영 중이라는 말을 했는데, 책을 다 보고 난 후 영화도 보고 싶다는 말을 해 놀랐다.

그리고,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도 읽어 보고 싶다는 말을 했다.

아이는 책이 재미있었는지 여러번 반복해서 읽었다.

 

<거울 나라의 앨리스>는 캐럴이 아예 책을 낼 것을 생각하고 아주 꼼꼼하게 계산하여 쓴 이야기이다. 모든 것을 반대로 생각해야 하는 거울의 반대편의 나라를 소재로 삼은 것도, 그리고 체스 게임의 규칙에 따라 이야기를 엮어 나가는 것도 그래서 가능한 일이다.

...

우선 앨리스는, 거울 나라에서만 있을 수 있는 사건들을 겪는다. 거울 나라로 들어가자마자 앨리스가 집어든 책은 글자가 뒤집어 적혀 있어서 거울에 비춰 보아야 한다. 하얀 여왕은 거울 나라에서는 결과가 먼저 있고 사건은 나중에 생긴다고 말하고, 붉은 여왕은 원하느 ㄴ곳에 가려면 반대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

또 하나, 이번에 앨리스는 직접 체스의 말(병사 역할)이 되어 거울 나라라는 거대한 체스 판 위에서 게임을 해야 한다. 앨리스는 멋댁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체스의 규칙에 따라 칸을 이동하는 것이다.

- 거울 나라의 앨리스 -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겐 어떤 일이 생길까? 서문을 읽다 보면 앨리스가 경험하게 될 내용들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책을 낼 것을 생각해 꼼꼼하게 계산하여 쓴 이야기라는 말에 인위적인 사건들이 일어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체스를 할 줄 모르지만, 거울 나라에서 체스판의 말이 직접 되어 보는 앨리스의 경험은 아이들이 재미있어 할 만한 소재일 거 같단 생각이 들었다.

처음에 아이들은 <거울 나라의 앨리스>를 <겨울 나라의 앨리스>라고 착가했었다. 서로 책 제목을 갖고 이야기를 하며 한바탕 웃었던 이유는 서로 같은 착각을 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나와 다르게 아이들은 체스를 맛보기로 해 본 적이 있었다. 그래서 <거울 나라의 앨리스>를 아이들이 재미있어 했는지도 모르겠다. - 아홉살, 일곱살 -

두 아이들이 재미있게 책을 봐서 영화로도 보여주고 싶었는데 12세 관람가라고 되어 있었다. 왜? 전체 관람가가 아니었을까?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서는 많은 시가 나온다. 가을이어서 그런지, 유독 시가 눈에 들어왔던 것 같다.

 

여기서는 같은 곳에 있으려면 쉬지 않고 힘껏 달려야 해. 어딘가 다른 데로 가고 싶으면 적어도 그보다 두 곱은 빨리 달려야 하고!"

- p. 48 <2. 살아 있는 꽃들의 정원> 중에서 -

아이들 시선이 아닌 엄마의 시선으로 보게 되었던 문장이다. 아이들은 같은 출발선 상에서 출발하는 게 아닐텐데...

내 아이만 뒤처진다는 생각에 더 빨리 나아가라고 보채는 엄마의 모습이 겹쳤다.

자신만의 속도로 묵묵히 나아가는 이들을 지켜 봐 줄 수 있는 엄마가 되고 싶다.

 

"거꾸로 살다 보면 다 그래. 처음엔 누구나 조금씩 헷갈리지."

...

"하지만 한 가지 좋은 점이 있는데, 그건 기억이 두 가지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거지."

- p. 98-99 <5. 양털과 물> 중에서 -

기억이 두 가지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게 좋은 점일까?

미래의 모습을 상상할 수는 있지만, 기억할 수는 없다. 그렇기에 앨리스는 한 방향으로 기억이 작용한다. 그렇지만, 하얀 여왕은 기억이 두 가지 방향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이것은 결과가 먼저 있고, 사건이 나중에 생긴다는 말과 연결이 된다.

생각을 바꿔야 창의적이 된다는 말을 하지만, 양방향의 기억은 정말 생소한 소재였다.

두 가지 방향으로 기억이 작용한다면 그게 정말 좋은 점일까??

 

이 책의 재미를 더해 주는 것은 바로 말장난과 영국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전래 동요의 인물들이 실제로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 p. 213 <옮긴이의 말> 중에서 -

아직 아이들이 영어 단어를 잘 알지 못해 말장난의 재미를 알 수는 없는 게 아쉬웠다. 조금 더 크고 영어 단어를 통한 말장난을 이해하게 된다면, 이 책을 더 재미있게 볼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