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부자 16인의 이야기 - 조선의 화식(貨殖)열전
이수광 지음 / 스타리치북스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한참 재테크 열풍이 불었던 시기가 벌써 10년도 더 지났다. 물론, 지금도 부에 대해 관심을 갖고 부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을 것이다.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고, 과거에도 그랬다.  부보다는 명예를 더 중요시 하는 모습의 조상들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벼슬길에 오르는 것을 중요시 하고, 장사 하는 사람들은 장사치라는 말을 쓸 정도로 하대 하였다. 지금 우리 경제를 흔드는 대부분은 기업인들이다. 조선시대의 부자는 어떤 사람들이었을까?

<조선 부자 16인의 이야기>의 저자는 <나는 조선의 국모다>를 비롯한 역사서를 쓴 작가이면서, <장사 잘하는 법(돈 버는 장사의 기술)>등 경제경영 관련서들을 저술한 작가이다. <나는 조선의 국모다>를 참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났다. 경제경영서는 조금 딱딱한 함이 있어 책이 잘 읽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제목만 접했을 땐 이 책도 잘 읽혀지지 않을 거 같았는데, 작가의 필력이 좋아서랄까? 참 흥미있게 책을 보았다.

<조선부자 16인의 이야기>는 조선 최고의 부자 변승업, 제주 거상 김만덕,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부자 경주 최부자처럼 유명한 부자들의 이야기를 비롯해, 조선 보부상의 원조 백달원 얼음장사로 돈을 번 부자 강경환, 러시아의 따뜻한 남자 최재형 등 처음 접하는 이름도 많았다.


고려 말과 조선 건국 초기의 거상 백달원은 조선 보부상의 아버지로 불리는 인물이다. 이성계와의 인연으로 소금, 포목, 목재, 어물, 철물 5개 물품의 독점 판매권을 얻어 막대한 부를 누렸으나 상인으로서 인을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굶주림으로 죽어가는 백성을 구제했다. - 14쪽 중에서 -

전국을 떠돌며 장사하는 보부상들의 신분을 보장하고, 보부상들이 음란한 행실이나 악행을 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경계했다는 백달원을 시작으로, 유기가 잘 팔려 부자가 되자 공방을 쉬는가 하면 소량 생산을 하며 많은 욕심을 내지 않았던 한순계, 쓰지 않고 돈을 모았던 허홍, 돈의 속성에 대해 잘 알고 있었던 역관 변승업......

조선부자 16인 이야기에 나오는 부자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돈을 벌지 않았다. 이들이 부를 쌓는 방법은 다르지만, 부를 나눌 줄 아는 사람들이었다.


조선시대 부자가 되는 법은 과거에 급제해 높은 벼슬에 오르는 것, 농업을 바탕으로 땅을 많이 소유해 지주가 되는 것, 장사로 돈을 버는 것이 대부분이었다고 한다. -나오는 글 381쪽 중에서

시골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기 때문에 '농업을 바탕으로 땅을 많이 소유하는 것'을 보고 자랐다. 부지런하신 부모님들은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일을 하셨고, 우리가 커 나가는 만큼 우리집 주변에 부모님 소유의 땅들이 늘어가는 것을 보았다. 부모님의 땅이 있기에 귀촌을 한 남동생도 그곳에서 자리잡기가 수월하지 않았을까? 내 집에 대한 열망 어쩌면 그 또한 "땅"을 소유하고 싶은 마음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뜻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 실천의 중요성은 무슨 일이든 그 일을 이루려고 할 때 가장 필요한 덕목인 것 같다.

부자가 되기 위한 세 가지 비결은 절약, 검소, 근면이다. -나오는 글 387쪽 중에서-

부자의 3요소는 축적, 증식, 분배다. -나오는 글 388쪽 중에서 -


부자는 3대를 지키기가 어렵다고 한다. 그만큼 부를 지키는 것이 어렵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부모가 부유하면 그 자식들은 그 덕을 톡톡히 본다. 그럼에도 감사함보다는 부를 누리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인다. 그렇기에 부가 유지되기가 어려운 게 아닐까?


내가 어렸을 적에 '경제 교육'을 받지 못했다. 그저 부모님들이 돈을 벌고, 모으고, 쓰는 모습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경제의 흐름을 받아들인 것 같다. 돈을 모으고, 쓰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어렸을 적부터 제대로 배웠다면 어땠을까라는 생각이 가끔 들 때가 있다.

세계 경제를 흔드는 갑부들 중 유대인들이 많다고 한다. 그들은 어렸을 적부터 경제 교육을 함께 받았다고 한다. 그래서 그들의 부는 계속 유지된다고 한다. 우리 아이들에게 해 줄 수 있는 것은 아이들 스스로 '돈'을 관리할 수 있게 도와 주는 게 아닐까? '돈'을 제대로 관리하는 법은 '돈에 대한 철학'이라고 생각한다. 돈에 대해 올바르게 알려준다면 아이들 스스로 '돈'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 흐름을 읽는 능력, 그리고 철학...

이 두가지를 기준으로 나도 부자가 되고 싶고, 우리 아이들도 부자로 살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