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앞으로 바꾼 인권 - 인권 발자국 따라가기 상상의집 지식마당 17
신현수 지음, 안희영 그림 / 상상의집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인권이라는 말을 사용한지 얼마나 되었을까요??

문득 전에 남편과 함께 영화를 보면서 무차별적으로 사람을 죽이는 장면을 보고 눈살을 찌푸렸던 적이 었었어요. 그 때 남편이 우리나라에 살면서 사람대접을 받고 살게 된지가 얼마나 되었을 거 같냐고 물었던 기억이 나네요.

현재 우리의 모습이 있기까지 지나온 시간 속에 많은 이들이 인권을 위해 노력했던 흔적들을 찾을 수 있더라고요. 어쩌면 우리가 지금 이렇게 살고 있는 것은 우리보다 먼저 세상을 살으셨던 분들의 덕분이 아닐까요?


인권이라는 말을 우리 아이는 어떻게 받아들일런지 모르겠어요.

아직은 아이에게 어려운 말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먼저 읽어 보게 된 책은 상상의집 출판사에서 나온 인권 발자국 따라가기 <세상을 앞으로 바꾼 인권>이랍니다.

자유를 위친 노예와 노비를 시작으로 영국의 청교도 혁명과 명예혁명, 미국의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 동학 농민 운동 및 세계 인권 선언 그리고 인권을 지킨 사람들을 만나 볼 수 있어요.

학창 시절 세계사를 접하면서 접했던세계사의 내용들이 눈에 띄네요.

'인권'이야기에 우리나라의 노비 이야기와 동학 농민 운동이 들어가 있는 점이 눈에 띄였어요.

인권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당연히 누려야 하는 권리야.


태어나는 그 순간부터 천부성

영원히 함꼐 하는 인권은 항구성

어떠한 이유에서도 빼앗을 수

 

없어. 불가침성

인종, 성별, 종교, 국적 등이 다를지라도

똑같이 인권을 누려야 하지. 보편성


아마 우리 아이가 인권이 뭐냐고 물었다면 전 사람이 누려야 할 권리라고 말했을 거 같아요.

천부성, 항구성, 불가침성, 보편성..

이런 말들은 들려주지 못했을 거 같네요.

아이보다 책을 먼저 본 게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정보가 속닥속닥'은 한 가지 이야기가 끝나고 난 후 만날 수 있어요.

처음 만나게 된 '정보가 속닥속닥'은 노예의 존재에 대한 이야기네요.

세계에섯 가장 오래된 문명으로 알려진 수예르를 시작으로 전 시대와 지역에 걸쳐 노예 제도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고 해요.

'인물 돋보기'를 통해 인권과 관련된 인물들을 만날 수 있어요.

'만적'이라는 이름을 한국사를 배울 때 접했던 기억이 나네요.

그리고 고조선의 8조법도요~

우리나라도 참 오래전 부터 '노비 제도'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우리도 평등한 대우를 받으며 자유롭게 살고 싶다!"

프랑스 혁명에서 나온 말이죠..

그런데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평등한 대우를 받으며 자유롭게 살 수 있는 사회일까요??

과거에 비하면 많이 좋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평등한 대우를 받으며 사는 사회는 아닌 거 같아요.

권력이 존재하고, 그 권력으로 인해 평등한 대우를 받는 다는 게 쉽지 않다는 생각을 하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는 것 같네요.

'만적의 난'이 인권의 역사 중 앞 부분에 수록되어 있어요.

인권을 위한 노력이 참 오래전부터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책을 보면서 지금 시대에 살아가고 있는 게 참 감사하게 여겨졌어요. 과거 인권을 제대로 보장 받지 못하던 시대에 살았다면 어땠을까라는 생각을 해 보게 되네요.


세상을 앞으로 바꾼 인권..

더 앞으로 바꿀 수 있도록 평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는 세상을 그려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