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날개 수학 : 학교와 나 - 나에서 시작하는 수학 원리, 1~2학년군 교과서 날개 수학 1
어린이 통합교과 연구회 지음, 김윤희.정관영 감수 / 상상의집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교과서 날개/수학/학교와 나/1~2학년군/수학원리/생활 속 수학/상상의집/속성찾기/분류하기/부분과 전체/장소와 시간/패턴찾기/연산하기/유추하기/추론하기/우리학교/우리는 친구/나의 몸/나의 꿈

 

이제 초등학교 1학년인 율군..

학교에서 뭘 배우는지 자세히 알지 못하고 있어요..

음... 아이가 집에와서 하는 숙제는 받아쓰기, 책읽기, 줄넘기...

다른 반은 수학익힘책도 갖고 온다고 하던데..

우리 아이는 다 배운 교과서는 갖고 오던데..

지금 배우고 있는 교과서는 안 갖고 오더라고요..

그냥, 선생님께서 알아서 잘 지도해 주시겠지..

아이가 잘 따라하는 거겠지하며 믿고 넘어가네요..

저학년 때는 무조건 놀기, 놀기... ㅎㅎ

 

그럼에도 아이들이 무엇을 배우는지는 궁금하더라고요..

그래서 만나게 된 책이 상상의집 '교과서 날개'랍니다.

이 책을 만나기 전 '교과서 날개 국어 학교와 나'를 만나 아이들이 배우는 국어에 대해 알았다죠..

그래서 이번엔 수학에 도전을 해 보았어요..ㅎㅎ

 

<교과서 날개> 시리즈를 감수하며 가장 반가웠던 것은 이 책에서 사고 도구를 이용한 질문을 던지며 어린이들에게 생각하는 즐거움을 알려 주고 있다는 것입니다.

생각하는 즐거움이라..

우리 아이도 생각하는 즐거움을 얻을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상상의집 '교과서 날개 시리즈 개념도'에요.

나, 가족, 이웃, 나라의 공간과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시간 개념을 바탕으로 집필되었더라고요..

이 개념도는 아이들 초등학교 수학과 국어 교과서와 같은 개념이어서, 전 아이의 학습 보충으로 활용하게 되더라고요.

 

'교과서 날개 수학의 사고 도구'에요.

속성찾기, 분류하기, 부부노가 전체, 장소와 시간, 패턴찾기, 유추하기, 연산하기 추론하기

ㄷ양한 사고도구를 만날 수 있네요.

 

'교과서 날게 수학 -학교와 나-는

즐거운 수학 시작!에서 배울 주제와 내용을 소개 하고, 통합교과에서 찾은 소재와 수학 원리를 연결지어 생각해 봅니다.

함께 읽는 배경 지식에서 배울 내용을 먼저 살펴보고, 일상에서 찾아낸 수학 이야기를 읽어 봅니다.

수학 원리 퀴즈에서는 수학 원리를 스스로 깨달을 수 있는 문제들을 퀴즈 형식으로 구성, 교고서 속 수학 개념은 물론 수학사에서 발전해 온 중요한 개념들을 창의적 사고 툴로 습득할 수 있게 했습니다.

정답 및 해설

로 구성되어 있네요.

 

'교과서 날개 수학 -학교와 나'에서는

우리 학교, 우리는 친구, 나의 몸, 나의 꿈에 대해 배워요..

'교과서 날개 국어 -학교와 나'와 같은 구성이네요.

 

얼마전 아이가 수학책과 공책을 갖고 집에 온 적이 있었는데..

이 부분이 공책에 씌여있던 게 기억이 나네요..

 

아이 혼자 문제를 풀어 보게 했는데..

음..

제가 그동안 아이를 너무 방치했나 보아요..

수는 맞게 썼는데..

숫자는 잘 모르더라고요..

그래서 수와 숫자의 개수를 비롯해 개념도 이야기 해 줬네요..

 

 

음..

가장 큰 문제가 뭘까요??

문제를 제대로 읽지 않는다는 것이더라고요..

분명 함께 문제를 읽고 해결할 때는 맞게 하는데, 혼자 하게 두니..

자꾸 틀려 왜 그런가 봤더니...

문제를 제대로 안 보고 있더라고요..

이번에 학교에서 2학년부터 기말 시험을 보거든요...

시험 안 보는 것을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중이에요..

 

가끔 시계에서 만나게 되었던 로마 숫자..

아이와 함께 로마 숫자 표기 하는 방법을 봤는데..

 

멍, 왈..

이 부분은 잘 했는데..

 

4와6, 9를 표기하는 것을 어려워 하더라고요..

아이 말로는 아직 안 배운 거라고..

시기적으로 보면 벌써 배웠을 거 같은데 말이죠..

 

확실히 아이가 집중해서 문제를 해결할 때와 집중을 하지 못할 때 문제 해결할 때는 많은 차이가 있더라고요..

 

아이 반에서는 한 달에 한 번 꼴로 짝꿍을 바꿔요..

그래서 이렇게 자리를 보면서 좌표를 배우는 것은 정말 일상 생활의 한 부분이더라고요..

 

아직 시계 보는 게 쉽지 않은 아이..

그래도 한참 생각하면서 시간을 말해 주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서 이 부분도 많이 어렵진 않을 거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시계보기가 원래 초등 1학년 때 나왔었던가요??

 

참관 수업 때 '나의 꿈'에 대한 수업을 진행했었어요..

그 때는 국어였는데..

같은 주제로 만난 수학은..

또 이런 모습이네요..

 

아이들이 책을 가득 넣은 책가방을 들고 다니는 게 안쓰럽기도 하지만,

정작, 학교에서 배우는 책을 사물함에 두고 집에 갖고 오지 않으니, 아이가 뭘 배우고 있는지 알지 못했는데..

아이와 함께 '교과서 날개'를 보며, 아이가 학교에서 배우고 있는 내용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겠더라고요.

학습관련된 사교육을 하고 있지 않고, 무조건 놀자!~라고 말하기는 했지만,

정작 아이의 수준을 직접 대하고 나니 약간은 충격이 되더라고요..

뭐 그래도..

우리 아들이니까 잘 하리라 믿어 봐야죠.. -.-

정말 맘 편한 초등맘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