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 알이알이 명작그림책 38
앤서니 브라운 글.그림, 하빈영 옮김 / 현북스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아이들을 키우면서 알게 된 그림책 작가들..

그 중 한 분인 '앤서니 브라운'님은 제가 현북스 출판사 신간평가단 활동을 하면서 처음 알게 된 거 같아요.

그 후 앤서니 브라운의 다른 책들을 찾아 보게 되었고, 많은 분들이 그 분 작품을 좋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현북스 출판사에서 매년 앤서니 브라운 & 한나 바르톨린 그림책 공모전이 있어요.

그 공모전에서 당선된 작품들도 만나면서 앤서니 브라운 작가의 평도 볼 수 있거든요.

그래서 그런지 앤서니 브라운이 친근하게 느껴지더라고요..

 

앤서니 브라운 코끼리 표지에요..

풀 숲에 코끼리가 있어요..

초록색과 너무 잘 어울리는 코끼리의 모습이네요.

 

호기심이 아주 많은

새끼 코끼리가 살었어요.

호기심이 많다는 문장만으로도..

무엇인가 사건이 있을 거 같은 생각이 드네요..

우리집 호기심쟁이 꼬마가 생각나는 것과 같은 이유겠죠??

모든 것에 호기심이 많기 때문에 많은 사건사고가 있는 울 막내와 아기 코끼리가 왠지 닮아 있는 거 같아요.

 

어느 날, 새끼 코끼리는 숲 속에 무엇이 있는지 보고 싶었어요.

나무와 꽃, 그리고 풀들이 가득한 숲 속..

새끼 코끼리는 호기심으로 인해 혼자 숲 속으로 들어가네요.

우리 아이들이 새끼 코끼리 같은 호기심으로 혼자 숲으로 들어간다면..

아이들이 집에 잘 찾아 올 수 있을까? 엉뚱한 생각이 둘더라고요..

저 어렸을 땐 - 초등학생 즈음 - 친구들고 집 뒤에 있던 낮은 산에서 종종 놀기도 했던 기억이 떠올라요..

어렴풋한 기억이어서 이제는 그게 꿈인지 기억인지 헷갈리기도 하지만요..

우리 아이들도 그런 추억이 있었으면 좋겠다 생각이 잠깐씩 들기도 해요..

그런데 새끼 코끼리처럼 아무말 없이 혼자 사라진다면..

아마 아이를 찾느라 정신이 없겠죠??

 

갑자기 집으로 돌아가고 싶어진 코끼리 그런데 길을 잃고 말았어요..

코끼리의 눈을 보니 앞에 그려져 있던 그림과 조금 다르네요..

이 그림을 통해 길을 잃은 코끼리의 기분을 알 수 있겠죠?

기존에 봐왔던 앤서니 브라운 작가의 작품보다

색채가 화려하다는 생각이 들었던 부분이에요.

완전히 길을 잃은 코끼리는 어떻게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요??

 

새끼 코끼리는 사자, 고릴라, 악어, 하마, 뱀, 표범에게 집에 가는 길을 물었어요.

그런데 이 동물들은 새끼 코끼리에게 집에 가는 길을 알려주지 않았어요.

사자는 졸려서, 고릴라는 언짢은지, 악어는 짜증난지, 하마는 너무 행복한지,, 뱀은 잘난척 하느라, 표범은 귀찮은지 새끼 코끼리와 말도 잘 하려고 하지 않았어요.

글과 함께 그려진 그림은 정말 졸린 표정, 언짢은 표정, 짜증난 표정, 행복한 표정, 잘난척하는 모습, 귀찮은 표정을 만날 수 있어요.

그리고 만난 생쥐..

 

생쥐처럼 작은 동물이

정말로 자신을 도울 수 있을 거라고

믿지는 않았지요.

이 부분을 볼 때는 '사자와 생쥐'가 생각이 났어요.

사자가 생쥐를 살려 주면서 생쥐가 은혜를 갚는다고 했을 때, 설마 생쥐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하지 않았죠..

새끼 코끼리도 사자와 마찬가지 생각을 한 거 같아요..

작은 생쥐가 자기에게 집으로 가는 길을 알려 줄 거라고는 믿지 않은 걸 보니 말이죠..

자기보다 작은 동물도 도움을 줄 수 있는데도 말이죠..

 

앤서니 브라운이 처음으로 그리고 쓴 그림동화책 <코끼리>를 한국에서 처음 펴냈다는 것을 작가 인터뷰를 통해 알 수 있었어요.

앤서니 브라운 작가가 그림책을 만들게 된 이유를 통해 앤서니 브라운 작가가 브라이언 와일드 스미스와 존 버닝햄 책을 보면서 연구하고, 그 첫 작품이 <코끼리>라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책을 보면서 화려한 색채가 왠지 '브라이언 와일드 스미스'작가가 생각이 났었는데, 앤서니 브라운 작가가 그들의 작품에 영향을 받아 그렇구나 싶더라고요.

'코끼리'는 작가의 첫 작품이지만, 지금까지 출판된 적이 없었다고 해요.

 

그리고, 영국보다 한국에서 한국어로 처음 출판하게 되었다고 하네요.

무엇보다 영국보다 한국에서 한국어로 먼저 출판되었다고 하는 게 인상적이었어요.

그만큼 앤서니 브라운 작가가 한국의 독자들을 신경 쓰고 있다는 착각(?)을 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