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원의 맹견 중국 아동문학 100년 대표선 16
거르러치무거 헤이허 지음, 전수정 옮김 / 보림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중국 아동문학 100년 대표선 <초원의 맹견>의 표지 그림을 접했을 때 하얀 개가 눈에 들어왔다. 보통 개라고 하면 애완견으로 기르거나, 집 마당에 묶어 놓고 기르는 개를 생각했었는데, 초원에서 자라는 개라고 하니, 초원에서 개는 어떤 생활을 하는지 궁금했다고 해야할까?

그런데 책을 읽기 시작하자마자, 내가 생각했던 책이 아니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시작은 정말 시작이었던 것 같다. 어쩌면 인간이 이렇게 개를 학대할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을하면서 한장 한장 넘겨 가며, 주인공 '귀신'이 너무 불쌍하고 안쓰러웠다.

책을 보면서 참 인간이 다른 동물들에게, 다른 생물들에게 너무나 많은 잘못을 하고 사는 게 아닐까 싶었다.

초원의 이야기부터 시작될 줄 알았던 이야기의 시작은 비행장을 지키는 개에 대한 이야기부터 시작되었다.

좋아하는 내용이 아니었기에 책장이 쉽게 넘겨지지 않았다. 책장을 넘길수록 인간의 이기심 그리고 그저 훈련만 받고, 살육이 정당화 되어가는 개에 대한 안쓰러움, 잔인함에 눈이 절로 찡그려졌다.

푸른 초원에서 마음껏 뛰어 노는 개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이 책을 접해서 그런지,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내용들은 나를 당황시켰다.

그럼에도, 이게 끝이 아닐거라는 생각으로 책장을 넘겼다.

비행장을 떠나, 낯선 세계로, 그리고 초원으로..

그러나 귀신이라는 개가 처음 만난 초원은 그를 더 잔인하게 만드는 하나의 공간이 되었다.

갈수록 점점 잔인해져가는 개..

잔혹함의 끝이 무엇일까 싶었다.

개를 그토록 잔인하게 만드는 것은 사람이었다.

투견장의 개, 투견장을 찾는 이들..

정말 이 세상에 사람만큼 잔인한 사람이 없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귀신이 만난 겨울, 그 겨울을 지나며 만나게 된 유목민의 어린아이 알스렁..

그렇게 잔인했던 개는 알스렁에 의해 보살핌을 받고, 사랑을 받게 된다.

사람도 동물도 사랑의 결핍이 되면 더 거칠어지는게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투견장의 모습까지 보았을 때까지만 해도, 한장 한장 책장을 넘기기가 힘들었는데..

그래도 투견장에서 이야기가 끝나지 않아 다행스러웠다.

처음 만나는 중국 아동문학이어서..

중국 문화와 그들이 전하는 메세지가 궁금했었는데, 예상보다 훨씬 강하고 강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