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지는 용기, 징비록 - 유성룡 어린이를 위한 역사 인물 1
최지운 글, 조윤주 그림 / 상상의집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TV에서 징비록이 방영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연기자 김상중이 유성룡 역할을 한다는 기사를 본 기억이 나네요. 그럼에도 아이들을 재우는 시간인지라 한번도 본 적이 없었는데..

그 영향 때문일까요?? 요즘 징비록이 눈에 많이 띄이는 거 같아요.

 

상상의집 출판사를 통해 만나게 된 징비록은

<책임지는 용기, 징비록>이에요.

아이들이 스스로 한 행동에 책임을 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갖고 있기에, 이 책 제목이 참 흡족하더라고요.

책임지는 용기..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 자신이 한 행동엔 책임을 져야 한다. 늘 아이들에게 하는 말이지만, 아직 아이들이 어려서 그런지 '책임'있는 행동을 하는 게 쉽지 않더라고요.

차례를 살펴 보니

징비록 이야기와 유성룡 이야기, 그리고 징비록 속의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김성일, 아일, 신립, 선조, 이순신, 의병이 이야기가 담겨 있네요.

징비록을 쓴 저자는 유성룡이라는 분이랍니다. 조선시대하면 떠오르는 몇 몇 위인들 중 한 분이죠.

그런데 왜 책임지는 용기라는 말이 붙었을까요??

임진왜란에 대한 책임과

나라와 백성의 믿음에 보답하지 못한 죄를

[징비록]에 담고자 한다.

 

이긴 기록보다 중요한 것은 패한 기록이다.

무엇이 부족하고 어떤 잘못을 했는지 정확히 알면

똑같은 일을 되풀이 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 프롤로그 중-

흔히들 역사는 이긴자들의 기록이라는 말을 쓰죠.

그런데 징비록은 이긴 기록이 아닌 패자의 입장에서 쓴 패한 기록이라는 게 색다르네요.

유성룡님이 쓴 징비록이라는 말은 들어봤지만, 정작 징비록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에 대해 알지 못했던 무지의 맘은 아이를 위한 책에서 또 하나를 배워갑니다.

 

9장으로 구성된 징비록이에요.

징비록은 책을 이야기 한답니다.

남들은 패했다고 하여 부끄럽게 여기는 것을 책으로 만든 유성룡..

그는

잘못보다 부끄러운 것은, 그 잘못을 숨기거나 반성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씀을 하시네요. 그리고 후손들이 이 책을 읽고, 자신들이 한 실수를 깨달아, 훗날 닥쳐올지도 모를 위기를 경계하고 준비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올 책을 쓰셨다고 해요.

 

각 장이 끝날 때마다 만날 수 있는 징비톡이 있어요.

징비톡은 네 단계로 나뉘어져 있답니다.

첫번째는 배/경/알/기

 

두번째는 생/각/하/기

배경을 알고, 왜 그런 일들이 일어났는지 생각해 보는 것이 아이들이 사고를 확장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라라고 봅니다.

 

세번째 징비톡은

토/론/하/기 랍니다.

생각을 많이 한다고 해도 그저 내 생각으로 끝나는 것과 토론을 통해 다른 사람의 생각도 알게 되는 것, 그리고,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자연스럽게 아이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커질 거 같아요.

 

그리고 마지막

비/교/하/기

비슷한 시기에 씌여진 책 비교하기, 또는 다른 시대 비슷한 사건을 비교하면서,

같은 사건을 바라보는 다른 입장, 그리고, 비슷한 사건이 일어나게 된 다른 시대 상황을

스스로 찾아 보고, 왜 그러한지에 대한 생각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준비가 있으면 근심이 없다.

2장의 소제목만 본다면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죠.

그런데 유성룡은 이 이야기를 왜 하고 있는 것일까요??

명과 일본 사이에 있는 조선..

두 나라를 잇는 길목이 되는 땅이네요.

율곡 이이가 십만 양병설을 이야기 하지만, 묵인되죠..

유성룡도 마찬가지로 군사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말을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했어요.

농사를 지어야 하는 이들이 성을 쌓고, 군사교육을 받으려니 스스로 원해서 한 일들이 아니어서 제대로 일을 하지 못했죠.

그래서 임진왜란이 닥쳤을 때 그 전쟁 기간도 길어졌고, 힘겨운 싸움을 하게 되었던 게 아닐까요??

 

그리고 무엇보다

사람을 알아 보는 이가 있으면 시기하는 이가 있는 법..

일본에서도 이순신 장군의 위상은 대단한데..

정작 이순신 장군은 그 시대에 힘겨운 전투에 참여하면서도 정작 그에 맞는 대우는 받지 못했던 분이죠.

이순신 장군을 추천한 이가 유성룡이라고 하네요.

사람 보는 눈, 세상을 보는 눈이 있으셨던 분인데..

정책이, 시대가 뒷받침을 해 주지 못했던 거 같아 참 안타까워요.

 

징비록에 등장하는 인물들이에요.

텔레비젼에서 다뤄지는 징비록은 어떤 내용일런지 궁금해지네요.

여덟살 큰아이가 저 보다 이 책을 먼저 봤어요.

그리고 제가 책을 보다 잠깐 자리를 떴는데, 다시 이 책을 보고 있더라고요.

아직 어리다고만 생각했는데, 책 내용을 이해할 수 있고, 재미 있으니 다시 보는 거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