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식물 비교 도감 어린이 자연 비교 도감
윤주복 글.사진, 류은형 그림 / 진선아이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을 낳기 전에는 전혀 관심분야가 아니었던 자연이

아이들을 키우면서는 가장 관심있는 분야로 되었어요..

제가 어렸을 적에 시골에서 자라 그런지 모르지만, 그 땐 온갖 나무와 풀 그리고 숲이 장난감이었던 기억이 있어요..

우리 아이들도 그렇게 자랐으면 하고 생각해 보기도 하는데..

요즘은 그럴만한 환경은 아닌 듯 싶어 안타까워요..

지난해 생태 강의를 들으면서 식물도감, 나무도감, 곤충도감 등 도감에 관심을 좀 두게 되었어요..

진선출판사에서 나온 도감들을 꽤 유용하게 활용했었거든요..

그래서 전 전선출판사 도감들을 좋아해요..

 


전엔 아이들과 함께 스티커 도감을 만나 보았는데..

이번엔 <어린이 식물 비교 도감>이 출간되었네요..

표지만 보더라도 실사 위주의 책이란 생각이 들어요..

비슷해서 헷갈리는 식물들이 종종 있어 아이들이 물어볼 때 멈짓했던 기억이 있기에

요 책이 넘 넘 반가웠어요..

 


이렇게 식물의 어느 부분을 비교해야 하는지 차츰 알게 되면서 뿌리, 줄기, 잎, 꽃, 열매 등과 같은 식물의기본적인 구조도 이해하게 되지요.  이런 과정을 통해 식물의 생김새를 관찰하는 방법까지 저절로 익힐 수 있게 됩니다.

 

전 시골에서 정말 들판을 뛰어 다니며 지냈는데 그 때 보았던 식물들이 몇 몇 기억이 나요.. 그런데 전 그 식물들의 이름은 모르고, 어느 장소에서 봤었다는 기억만 남아 있네요..

아무래도 사물에 대한 관찰력이 부족했던 듯 싶어요.. 관심도 부족하고..

그러면서 나 어릴 때 이런 책을 만났더라면 사물을 보는 눈이 지금과 많이 달라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살짝 해 봅니다.

 


차례를 살펴 보니 낯익은 식물들의 명칭도 보이고,

처음 듣는 듯한 식물들의 이름도 보이네요..

 

이렇게 활용하세요

모습이 서로 닮은 두 식물의 특징을글과 사진으로 확인하세요.

두 식물의 전체적인 모습을 꼼꼼히 비교하여 살펴보세요.

두 식물의 꽃, 잎, 열매, 줄기 등을 비교하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세요.

화단과 공원, 들과 숲에서 만난 식물의 이름을 찾고 비슷한 식물을 구별해 보세요.

여러 식물을 관찰하면서 각 부분의 기본적인 구조도 살펴보세요.

식물 이름이 어디에서 유래되었는지 알아보면 식물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답니다.

책을 활용하는 방법을 보고 아이들과 식물들을 이렇게 보면 그 식물에 대해 아이들이 제대로 기억할 수 있을 거 같단 생각이 드네요..

 


처음 만나게 된 식물은

뱀딸기와 산딸기랍니다.

저 어렸을 적 기억에 산딸기는 많이 따 먹었거든요..

그런데 논두렁에서 많이 보았던 뱀딸기는 따 먹은 적이 없었어요..

이름 때문이었는지 먹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없었던 거 같아요..

열매 속까지 제대로 보고 비교해 볼 수 있어서 더 좋은 거 같아요..

 


어렸을 적 집에 모과나무가 있었음에도..

올해 처음으로 모과나무 꽃을 본 듯 해요...

우연히 아이들과 길을 걸어가다 분홍색 예쁜꽃을 만났어요..

어쩜 꽃이 이렇게 예쁠까 하면서 한참을 봤는데..

그 나무가 모과나무더랍니다.

그런데 명자나무는 만난 기억이 없네요..

정원수나 공원수로 심어 기른다고 하니 공원에 가면 유심히 찾아봐야겠어요..

 


개잎갈나무와 사방오리에요..

이름은 처음 듣는 식물들이라고 생각했는데..

꽃봉오리나 솔방울 모양을 보니 본 기억이 나네요..

어렸을 적 산을 그렇게 뛰어 다니며 놀았는데..

정작 나무는 그냥 나무였을 뿐 학습으로 연결되지 못했나 봅니다.

왜 그 땐 그 나무들의 이름이 무엇인지 궁금해 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주목과 비자나무에요..

주목에 빨간 열매가 열린다는 것도 알게 된 지 얼마 되지 않았어요.

그런데 저 열매를 먹어도 된다고 들었거든요..

그래서 한 번 맛 봤는데..

달콤한 맛이 났었어요. 씨앗은 바로 뱉고..

그 달콤한 맛에 울 딸도 넘 맛나게 잘 먹었던 기억이 나요..

열매는 먹어도 되는 거 맞죠??

 


산길을 걸으며 만난 생강나..

그 때는 늦가을이어서 생강나무의 꽃을 만날 수는 없었지만..

산수유와 닮았다는 설명을 들었던 기억이 나요..

가을에 산수유 나무 열매를 따던 분들의 모습도 기억이 나네요..

정말 자세히 봐야 구분할 수 있을 듯 싶네요..

멀리서 보면 비슷해 보여요..

 


닥나무를 만난 것도 늦가을이어서

열매는 사진으로 첨 보네요..

뽕나라는 이름은

아이들이 열매를 따먹고 방귀를 뽕뽕 뀌어서 지어졌다네요..

이런 나무의 유래를 아이들이 보면 나무에 더 흥미를 갖게 되는 거 같아요..

닥나무 열매는 산딸기와 비교해 보아도 좋을 거 같아요..

열매 모양이 비슷해 보여요..

 


칡과 등이에요..

감아져 올라가는 줄기 모양이 반대방향이라는 것..

이 줄기 모양을 보면 "갈등"이라는 단어가 생각이 나요..

칡 갈, 등나무 등

 


오늘 자전거 타고 놀던 울 딸과 만난 큰방가지똥이네요..

어디서 본 거 같은데 이름이 기억나지 않아..

집에 들어가서 찾아 보자고 했는데..

그 꽃이 큰방가지똥이었어요..

확대된 사진만 봐서 실제로 본 꽃을 자세히 보지 않으면

그냥 이름 모를 들꽃으로 생각하고 지나가게 되는데..

오늘은 울 딸 덕에 용케 큰방가지꽃을 유심히 보게 되었네요..

 

정말 오이와 참외는

열매가 열리기 전 꽃만 보면

오이꽃인지 참외꽃인지 헷갈리더라고요..

 

보통 다른 책들을 통해 만난 식물은

한 계절에 만날 수 있는 사진들이어서 그 사진을 찍은 계절이 아니면

같은 식물 찾기가 수월하지 않은데..

어린이 식물 비교도감은

꽃, 잎, 열매, 씨앗 등을 다 보여 주어서..

특정 계절이 아니더라도 그 식물들을 찾을 수 있을 거 같네요..

더 많은 식물들을 만났으면 하는 욕심..*^^*

 

주변에서 만날 수 있는 식물들이기에 더욱 반가웠던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