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우리 할아버지 알이알이 창작그림책 6
현기영 글, 정용성 그림 / 현북스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북스 [알이알이 창작그림책  06] 테우리 할아버지를 만나 보았어요..

이 책 만난지는 좀 되었는데, 평을 이제 올리네요.. -.-

 


표지를 보면 앞 뒤 표지가 연결된 그림이에요..

앞 표지에 내용과 뒷 표지의 내용이 다른 책들도 있고, 테우리할아버지처럼 한 장면의 그림을 앞 뒷 페이지에 연결해서 그린 표지그림도 있죠..

풀과 소, 파란 하늘과 구름 속에 모자를 쓴 노인이 있어요..

풀밭에서 한가로이 있는 풀들과 할아버지의 모습만 보면 참 평화로워 보이죠..

테우리 할아버지가 무슨 뜻인지 전 이 책을 보면서 처음 알았네요..



제주하면 떠오르는 오름..

오름을 책 면지에 활용해서 그려 주었네요..

푸르름이 당장이라도 제주도로 달려 가고 싶은 생각을 들게 하네요..

 

<테우리 할아버지>를 쓰신 현기영님과 그림을 그린 정용성 님은 제주도에서 태어나신 분들이에요..

그래서 그런지 책을 보는 동안 제주를 담은 글과 그림이라는 생각이 더 들었던 거 같아요..

 

그리고 또하나 이 책은

현기영님의 <마지막 테우리>라는 단편소설에 근거해서 쓰여졌다고 하네요



한라산 자락, 오름들이 올망졸망 솟은 넓은 목장이 있는데,

그 중 한 오름의 분화구 위에 테우리 할아버지가 앉아서 친구를 기다리고 있어요.

테우리는 제주도 사투리로 소를 기르는 사람을 뜻해요.

할아버지는 목장에서 홀로 마을 사람들의 소를 키워주는데 겨울이 시작되면서 마을 사람들이 자기소를 데려갔는데 마지막으로 친구네 암소와 송아지 두 마리만 남아 친구를 기다리고 있답니다.

할아버지는 친구를 기다리며 여름철 소들을 생각했어요. 백여마리가 되는 소들을 다 기억하는 할아버지, 예전에 소를 잃었다가 다시 찾은 기억도 났어요.

테우리 할아버지는 소를 돌보는 것이 재미있고 좋아서 정성껏 돌보았아요.



테우리 할아버지가 기다리는 친구는

유이오 전쟁이 일어나기 전에

남한과 북한이 하나의 나라를 만들려고 하지 않고

남쪽, 북쪽이 각각 따로 나라를 세우려고 해서

섬사람들이 반대를 했고, 그것을 싫어하는 쪽의 군인들이총을 쏘며 마을을 불태웠을 무렵 크게 다쳤다네요.

그 당시 테우리 할아버지가 젊었을 적이었는데, 도망친 사람들이 숨은 곳을 대라며 군인들이 총으로 마구 떄렸대요. 그래서 할 수 없이 예전에 소나기를 피한 적이 있는 동굴 하나를 가리켰는데, 그 곳에 한 아이와 아이의 할아버지 할머니가 숨어 있었다 그 군인들의총에 맞아죽고 말았대요.

그 후 테우리 할아버지는 마음이 너무 괴롭고 슬퍼서 평생 초원에서 소를 기르며 살아온 것이라네요..

 

푸른 초원 소떼들과 사는 테우리 할아버지를 소재로 어떤 이야기를 다룰까 싶었어요.

제주 4.3 이야기를 들어 본 적은 있는데,제대로 어떤 사건이었는지는 몰랐어요.

우리의 역사인데, 제대로 접해 본 적이 없다고 관심을 갖지 못했다는 사실이 부끄러워지네요..

육이오 전쟁의 참사는 알았지만, 그 이전 제주 4.3 사건은 모르고 있었다는 게..

아름다운 섬이라고만 생각했던 제주가 아픈 과거를 지니고 있는 줄 이제 알게 되었네요..

현재의 평화로워 보이는 모습과 대조적으로 까맣게, 어둡게 표현 된 부분이에요..

그림이 책 내용을 고스란히 담고 있네요..

이래서 글작가이신 현기영님이 그림을 칭찬하셨던거 같아요..

테우리 할아버지가 왜 홀로 소를 돌봐 주는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어요..

참 아프고 슬픈 역사를 담고 있는 <테우리 할아버지>



옛일을 생각하다 깜빡 잠이 들었는데, 꿈에 하늘이 어두워지고 소 떼가 우당탕당 내달리고, 천둥 번개가 치면서 검은 구름 떼에 붉은 불빛이 번지고, 예전 마을 사람들이 죽고 집들이 불탔던 그 사건이 겹쳐 잠에서 깼어요. 옆을 둘러 보니 친구의 소가 사라지고 없었고, 바다 쪽에서 검은 구름 떼가 몰려 오고 있었어요. 테우리 할아버지는 암소와 송아지를 찾았어요. 폭풍이 닥치기 전 소들을 찾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오름 등성이를 올라, 솔숲을 뒤져 보기로 다시 오름을 내려왔죠.

오름을 내려 올 때 큰바람이 불고, 검은 구름 속에서 희끗거리는 눈송이 떼가 보이더니 사방이 어두워지고 눈보라가 밀려 왔어요.

 

현기영님의 작품을 처음 접했는데..

현상을 자세하가 묘사를 하셔서 굳이 그림을 보지 않아도 머릿 속에 그림이 그려질 정도네요..

글과 그림의 조화가 한 사람 작품이라고 해도 될 만큼 잘 어울어졌어요..



쇠똥 몇 장을 중워 가슴에 품고, 눈보라 속에서 허우적 거리고, 발을 헛디디기도 하고, 눈송이 때문에 숨을 수기 힘든데, 몸이 차가워지면서 옛 상처도 아파 옴에도 눈보라 속을 꿋꿋이 걸어 간신히 솔숲에 닿았어요. 그 곳에서 가슴에 품은 쇠똥을 꺼내 모닥불을 피웠는데, 불을 쬐자 더 추위가 느껴지고, 기운이 없어 그대로 잠이 들었다 깨어났어요.

깨어났을 때는 이미 밤이었고, 주변은 온통 흰 눈으로 덮여 고요했어요.

그 때 친구가 부르는 소리가 들리는 듯 하여 두리번 거리던 할아버지 눈에 암소와 송아지의 발자국들이 보였어요. 그 발자국을 따라 가보니 친구 집이었어요.

주인을 기다리던 소들이 주인이 안오자 주인집을 직접 찾아 간 것이죠..


그런데 그 집에서 병든 친구가 마지막 숨을 거두고 있었다네요.

테우리 할아버지와 소들은 문상객처럼 오래도록 마당에 서 있었답니다.

 

날이 흐린데도 주인을 찾아가는 암소와 송아지..

결국, 반겨주는 주인이 없었지만 주인이 죽을 때 곁을 지켰네요..

 

책 뒷 편엔 '소를 닮은 노인이 들려 주는 제주의 아픈 역사'라고 해서 책에 대한 내용과 4..3 사태에 대한 내용을 현기영님이 더 자세히 들려 주신답니다.

 

소의 큰 눈과 그 맑음을 함께 하는 테우리 할아버지의 아픈 과거는 우리의 아픈 과거였어요..

숨겨져 있던 아픈 과거에 대해 알게 된 만큼..

그 아픔을 품고 있는 제주가 더 아름답게 느껴졌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