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주의 결혼식 푸른숲 역사 동화 2
최나미 지음, 홍선주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집 간다는 말을 들었을 때와 장가 간다는 말을 들었을 때의 느낌은 약간 다르다..

조선시대 초기만 하더라도 결혼을 하면 신랑이 신부집에서 함께 지내면서 그들의 자녀들이 어느 정도 성장한 후에 시댁으로 갔단다. 그래서 예전에 장가 간다는 말이 있었는데..

중국은 그런 우리나라를 미개한 나라 취급해서 결혼을 하면 신부가 바로 신랑 집에서 생활을 시작하라고 했다고 한다. 그정책을 처음 받아들인이가 세종이었고, 그 처음이 세종의 막내동생인 숙신옹주였다고 한다.

이 옹주의 결혼식은 그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상상하여 쓴 역사 동화이다.

 

태조가 죽은 후 태어난 숙신옹주는 어미가 궁궐에서 쫓겨나고 명성당 숙의 손에서 키워졌다. 호기심 많고 자유분방한 숙신옹주는 웃사람들이 안쓰럽게 생각하면서도 다른 왕가의 자손들과 다름에 눈살 찌푸림을 당한다. 그러던 중 생모의 죽음 소식을 듣게 되고, 조선 여인으로서의 교육을 받다가 결국 친영례로 결혼을 해 시집살이를 하다가 결국 시집을 뛰쳐 나온다.

 

그 태평성대가 남자들한테나 해당되는 말이니 그렇지. 옹주 아가가 힘든 건 자기도 모르는 새에 그게 틀렸다는 걸 마음으로 알고 있어서야. 편하게 살려면 네 시모처럼 여인네가 사는 게 그런 거다 하고 고개 숙이면 되고, 아니다 싶으면 싸워야지. 그러지 않고는 얻을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어. 그래서 여자가 힘든 거지. (p.163)

 

숙신옹주에게 시할머니께서 하신 말씀..

그러고 보면 난 참 시대를 잘 타고 났단 생각이 들었다..ㅎㅎ

작가는 기존의 공주와는 다른 이미지의 공주를 그리고 싶어 숙신옹주의 이야기를 엮어 갔다고 한다

세상과 맞서 씩씩하게 견딜 숙신옹주를 그리며..

 

한가지 아쉬운 점은 처음 친영례를 한 옹주의 시집살이 이야기가 좀 미미하게 다루어진 듯한 느낌이 들었다는 것이다.

다른 왕족들과는 조금 다른 생활을 했던 궁중생활에 비하면 친영례 이후 자신의 삶을 당당하게 살아가는 숙신옹주의 모습을 볼 수 없어서 아쉬웠다고 해야할까?

 

역사동화가 끝나고 역사 공부를 할 수 있게 몇 가지의 볼거리들이 있었던 점은 좋았다.

동화로 역사읽기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결혼했을까?를 통한 처가살이와 혼인 제도 개혁 후 시집살이 그리고 미래의 혼인 모습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한눈에 쏙 들어 오는 혼인 풍속의 역사를 통해 부여, 옥저, 동예, 고구려, 신라, 고려, 조선 그리고 오늘날의 혼인 풍속을 비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숙신옹주가 살았던 그 때 세상엔 무슨일이?를 통해 세계사로 눈을 키울 수 있게 되어 있다.

동화로 그치지 않고 사회문제와 세계사까지 접할 수 있게 통합적인 부분을 다루면서 생각할 꺼리를 다루고 있는 점은 아이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