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무삭제 개정판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이었던가? TV드라마를 통해 "미실"이라는 인물을 처음 접했다. 주인공은 아니었지만 주인공보다 더 빛났던 "미실". 

어쩌면 미실 역을 맡은 배우에게 매료 되었기 때문일런지도 모르지만..

그렇게 처음 접했던 미실이라는 여성은 참으로 미워할 수 없는 악녀였다.

그런 그녀를 책으로 만날 수 있었던 것은 어쩌면 행운이랄까?

책을 보고 영화를 보면 실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던 거 같다. 그렇지만 미실은 영상매체를 먼저 접하고 책을 보게 되었다.

이 책이 씌여졌던 시기는 2005년, TV를 통해 미실을 접하기 전에 씌여졌던 책이었는데 이제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드라마를 통해 접했던 미실은 권력에 대한 집착이 강하다는 느낌을 받았었는데, 김별아 작가가 그려낸 미실은 권력보다는 사랑에 더 초점을 맞춘 듯 싶었다.

 

미실은 실제로 내가 감당하기 버거운 여인이었다. 내가 훈련받은 도덕을 간단히 뛰어넘은 여인, 내가 아는 역사를 당당히 배반하는 여인, 자신이 부여받은 시대를 가장 충실하게 살아간 배덕자..(p.10)

 

성녀와 악녀, 어머니와 창부의 바탕을 한 몸에 가진 그녀이기에 누군가는 그녀에게 매혹되어 열광하고 누군가는 질시하며 비난한다. 하지만 내가 아는 미실은 세상의 모든 여성이면서 그 모두를 뛰어넘는 어떤 존재다.(p.7)

 

작가가 평가하는 미실은 드라마를 통해 접했던 미실보다 더 위대하고 대단할 거라는 희망을 갖게 했다.

실로 한 시대를 사랑하다 삶을 마감한 그녀의 삶은 작가의 말대로 "자신이 부여받은 시대를 가장 충실하게 살아간" 여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색공지신...

삶 자체가 색공지신이었던 '미실'과 그런 그녀를 변함없이 사랑했던 세종전군과 설월랑. 그리고 미실이 평생 기억했던 '사다함'  그리고 미실이 색으로 섬겼던 이들...

 

'미실'이라는 캐릭터는 실로 감당하기 버거운 여인이었다. 그럼에도 작가가 그리고자 했던 '미실'이 제대로 표현되지 못한 느낌도 살짝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