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미안해
채복기 지음 / 문이당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살을 부대끼며 살아가는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살아가는 여보라는 이름의 남편과 아내..  

함께 살아줘서 고맙고, 곁에 있어줘서 고맙고.. 고맙고 고마운 이름..

그렇지만 그 감사한 이면에 미안한 마음도 많이 든다. 미안하다고 뱉어 말하지 못하고 삼켜 버리기도 하고, 못난 마음에 오해를 하며 풀 생각도 못하기도 여러번..

그렇지만 서로 부대끼면서 알아주겠지 하는 마음으로 넘기기 일쑤이다.

가족이라는 것은 한울타리 안에서 서로에게 힘이 되어 주는 존재라고 생각은 하지만..

우리 부모님 세대는 아빠라는 이름으로 한 가정의 가장들은 경제적 부분을 담당하면서 무거운 삶을 살았다. 지금은 아빠라는 이름의 가장은 경제적인 부분은 물론 아이들이 필요로 할 땐 옆에 있어 주는 가정적인 부분도 신경을 쓰고 살아야한다.

내가 어릴적만 하더라도 할머니 할아버지와 함께 살았고, 그 분들과 보내는 시간들은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그러나 핵가족화가 되면서 아이들은 온전히 부모 손에서 커야 하거나 다른 이들의 손을 빌리는 겨우가 허다하다.

 

여보 미안해는 부부싸움 후 남편이 가출을 했다. 그리고 남겨진 가족들은 아빠를 기다리고, 가출한 아빠는 가정으로 다시 돌아가고자 고군분투를 한다.

그 와 중에 작은 딸이 죽고, 남편은 돈을 사기당하고, 도둑 맞고, 일용직으로 일을 하다 일본으로 건너가 어둠의 조직에 몸을 담게 된다.

아빠를 기다리던 가족은 아빠를 찾으러 가게 되는데 못 만나고 그렇게 2년의 시간이 지난 후 우연히 가족들이 기다리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 아빠는 가족들 품에 돌아 오기 위해 몰래 배를 타다 발각이 되고 겨우 죽음을 면한체 선교사의 도움을 받아 한국땅을 밟는다. 

가족이 상봉을 하고, 미안하다는 말을 하는 아빠는 결국 오랜 수술을 버티지 못하고 죽음을 맞는다.

 

남편을 죽음으로 몰아간 가장 큰 원인은 "오해"였던 것 같다. 처와 아이들을 만나고자 기다렸는데, 처가 뒤돌아 보는 순간 어둠 속에 남편 모습은 보이질 않고, 혹시나 나쁜 사람들은 아닐까라는 생각에 바삐 집으로 걸음을 옮기는 처와 아이를 남편은 자기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집으로 돌아올 기회를 잃게 되고, 보증금이 없어 이사 한 가족들을 자기를 배반하고 이사를 했다고 오해한 남편..

그들에겐 미움이나 증오로 인해 가족이 해체 된 것은 아니다. 서로 사랑하는 가족들이 자존심 때문에 싸움을 하고, 결국은 오해로 이어져 서로 다시 하나의 가정을 만들 수 없게 되어 버린게 아닐까

 

지금 우리 가족들은?

평안하기만 한 걸까? 말 한마디의 소중함을 다시금 깨닫게 되었다. 제일 가까운 사이이기에 더욱 조심해야 하건만, 편하게 생각해 생각없이 던지는 말들로 상처 받게 되는 무(無)촌!!

어쩌면 지금 내가 내 남편에게 한 말이 오해를 불러 가족의 해체를 가져 올 수도 있구나..

한마디의 말이 자존심을 세우기 위해 한 행동이 결국은 돌아올 수 없는 파국이 되어 버린 <여보 미안해>

 

가족이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알고, 탈출을 감행하다 살기 위해 버티는 남편의 힘겨운 싸움을 읽으며, 아빠를 떠나 보내며 쓴 딸의 편지를 읽으며 뜨거운 눈물이 흘러 내렸다.

도대체 무엇을 위해 서로 그 먼 시간을 돌아야 했는지..

결국, 가족의 품에서 죽음을 맞긴 했지만..

남겨진 가족들은 또 힘겨운 삶을 살겠지..

 

책장을 덮고 나서 며칠 전 남편과 힘겹게 말싸움을 했던 게 생각이 났다. 정말 별것도 아닌데..

싸우고 나서 지금까지 내 삶을 돌아 보게 되었고, 변한 내 자신을 보게 되었다. 그러면서 내가 왜 이렇게 살아야 하는 생각에 화해의 손을 내미는 남편을 줄곧 모르는 척했었는데..

그게 참 미안하단 생각이 들었다.

모르는 척 그 화해의 손을 잡아야지!!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