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발효빵 - 한살림 빵 선생 이주화의
이주화 지음 / 백년후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패스트푸드에 익숙해져 있는 내게 있어 천연발효빵은 버거움일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럼에도 이 책을 보게 된 이유는 하나!! 

내 아이들에게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싶다는 생각에서다.

패스트푸드에 길들여진 입맛 덕분에 우리 몸은 조금씩 조금씩 망가져 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아직 아이들의 입맛은 패스트푸드에 길들여지지 않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아이들을 위한 슬로우 푸드를 고민해 보고자 하는 시점에서 만나게 된 <천연발효빵>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지난해였던가? 제빵을 다룬 드라마에서 이스트 없이 빵을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주인공들의 모습을 본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스트 없이 빵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했던 거 같은데..

어쩌면 빵에는 설탕과 버터 이스트가 기본이라고 생각을 했었다. 그렇기에 빵은 어쩌다 한번 아이들의 간식으로 만나게 되곤 했다.

나 또한 빵굽는 냄새는 좋아하지만, 빵은 그닥 좋아하는 편이 아니어서 남편과 아이들이 좋아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모르는 척 했다.

그렇지만 가끔 집에서 아이들과 남편을 위해 빵을 구워 주는 것도 괜찮겠단 생각을 했다.

시중에 파는 빵보다는 조금 더 건강한 빵일 수 있다는 생각에..

아직 한번도 도전해 보지 않은 빵굽기.. 아이들을 어린이집에 보내면 꼭 한번 도전해 보리라 다짐을 하면서 책장을 넘겼다.

 

한살림, 생협, 초록마을..

익숙치 않은 이름들이다. 아니 어쩌면 모르는 척하고 넘어갔던 이름들이라고 해야겠다.

마트에서 야채를 구입하면서 유기농 매장을 보기도 했다. 그렇지만, 왠지 더 비쌀 것만 같단 생각에 눈을 질끔 감아버리고 조금 저렴한 상품들을 구입했었다.

아둔한 생각에 엄마라는 이름으로 살아가면서도 아이들을 위해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한다는 생각을 뒤로 미루기만 했다.

내가 자랄 때와 많이 달라진 환경..

그만큼 먹거리에 대한 중요성이 커가고 있음에도 그 흐름을 따라가지 못했던 것 같다.

 

한살림 빵 선생 이주화님의 빵은 우리 땅에서 나는 건강한 재료로 만든 건강한 빵이다. 화려하진 않지만 소박함 속에서 정갈함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일반 빵에서 찾을 수 없는 매생이 빵, 산나물 빵, 약촛물을 넣은 빵 등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빵이 건강식이라기에 전혀 손색이 없는 구성들..

그리고 피자, 햄버거, 샌드위치까지..

정말 아무 걱정 안하고 아이들에게 먹일 수 있는 건강식이었다.

이 모든 것에 빠질 수 없는 효모..

낯선 이름이지만, 한번 만들어 놓으면 그 쓰임이 많은 효모의 매력..

옹골지게 건강한 빵을 만들고자 한길을 고집해 온 저자가 걸어 온 길을 엿보면서 경의를 표하게 되었다.

 

서툴지만 나만의 빵을 만들어 가는 연습을 해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