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조의 코미디
한스 케일손 지음, 정지인 옮김 / 올(사피엔스21)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시대적 배경을 둘러싸고 씌여진 글들은 그 시대가 한참 지난 후 재조명을 하게 되는 듯 하다.

어렸을 적 읽었던 안네의일기가 그러했다.

유대인 작가가 쓴 <단조의 코미디>

유대인 작가라는 말 속에 히틀러 시절을 떠올릴 수 있었다. 그 시기에 코미디라 부를 수 있는 일들이 뭐가 있을까 싶은 생각이 살짝 들었다.

 

나치 점령기의 네덜란드, 젊은 부부 빔과 마리는 니코라는 유대인을 자기 집에 숨겨준 채 지낸다. 나치로부터 그의 목숨을 지키기 위해 위험을 감수한 것인데, 니코는 전쟁이 끝나기도 전에 나치와는 무관하게 폐렴으로 죽어버리고 만다. 누군가를 구한다는 영웅심도 없지 않았더 그들에게는 니코의 이런 죽음이 슬프기도 하지만, 허탈하기도 하다. 전쟁이 끝나 니코와 함께 자유로이 활보할 날이 오면 그들도 큰 승리감을 누릴 수 있으리라 기대했는데. 이제는 발각되지 않고 시신을 처리하는 것이 큰 문제가 되고 간신히 그 일을 해내고 나니 어처구니 없는 실수로 자신들마저 위험에 빠지고 이제 그들이 니코처럼 숨어 지내야 하는 상황이 온다.

 

는 내용 <단조의 코미디>는 나치점령기라는 극도화 된 긴장상황을 잘 묘사해 주고 있는 듯했다.

니코를 숨겨 준 이후로 누군가의 방문을 받게 되면 긴장하게 되는 젊은 부부, 안타깝게 니코가 죽게 된 이후 시신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세탁물에 붙어 있는 이름표로 인해 니코처럼 숨어지내게 된다.

숨막히는 시대상황에서 볼 때 정말 어의없는 실수이지만, 목숨을 빼앗길 수도 있는 문제였다.

무거운 이야기 속에 웃음의 코드..

웃어도 되는 것인지 싶기도 했다.

 

작품이 씌여지고 난 후 60년이라는 세월이 흘러 큰 호평을 받게 되었다는 <단조의 코미디>

 

위험을 무릅쓰고 유대인들을 숨겨 줬던 이들과 그들이 바랬던 삶들..

나치시절을 떠올리면 우리나라 일제시대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을 것 같다.

핍박받는 삶 속에서 현실을 개선하려 몸부림 쳤던 이들..

아픈 과거가 슬픈 현실이었지만 그를 딛고 일어선 우리들의 모습과 유대인이 흡사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너무 과장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