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속 요정과 동굴거인 고래책빵 그림동화 5
김희진 지음 / 고래책빵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을 시작하고 그림책을 계속 못 보고 있었다.

그리고, 드디어 주어진 방학!!

많은 책들을 보리라 다짐했건만, 정작 본 책은 손에 꼽을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

하는 일 없이 하루하루가 지나가다 보니 정작 해야 할 것들을 놓치게 된 것 같다.



 

B612_20190217_220719_162_edit.jpg


 

고래책빵에서 출간된 <숲 속 요정과 동굴거인>은 표지를 보는데 집에 있는 수채색연필로 따라 채색해 보면 힐링이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책 내용도 궁금했지만, 아이들과 함께 컬러링북을 색칠해 보면 좋을 것 같았다.

책 표지에는 너무나 한가롭고 평화로운 숲 속 모습이다.

그런데 동굴거인은 어디 있지?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 주었다.

오랫만에 아이들과 함께 책을 보는 것인데, 글밥이 적지 않았다.

아이들이 잠든 시간 혼자 책장을 넘겼다.


아이들과 함께 볼 때 관심을 두지 않아 그냥 지나쳤던,

 '머리말'을 만났다.


우리의 마음 속에는

낯설거나 익숙하지 않아서 또는 더럽거나 불쾌해서

무서워하고 싫어하며, 피하고 싶어 하고, 감추고 싶어 하는

내 모습으로 인정하기 싫은, 보고 싶어 하지 않는 모습이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 마음 안에 있는 어둡고 열등한 부분일 수 있습니다.


평소에는 소위 '자아'라고 하는 의식적인 내 모습이

여러 가지 자신의 감정과 생각들, 행동들을 조절하고 적절하게 지낼 수 있게 해 줍니다.

하지만 살아가면서 정신적 위기의 순간이나 인생의 전환기에

자아가 힘을 잃고 무기력해지는 때가 오기도 합니다.

그 순간 우리 안에 감춰져 있고 억눌려있던

열등하고 어두운 나의 한 부분이 모습을 드러내게 됩니다.


평소에 알지 못했던 자신의 모습이 낯설고 당황스러우며 두렵기까지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모습을 회피하지 않고 용기를 갖고 대면하여

자신의 한 부분으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며 봐줄 때

오히려 이 모습은 어둡고 열등한 것이 아닌, 밝고 긍정적인 모습으로 변화하여

우리 자신과 하나가 되어 진정한 생명력의 원천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책은 이러한 심리적인 자아의 통합과 인격의 성숙에 관한 비유와 은유입니다.


아이들과 책을 보면서 이 책이 '독서심리'와 연관지어 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내 안의 동굴거인은 무엇이며, 숲 속 요정은 누구일까? 하는 생각.

그런데 김희진 작가는 요정과 동물들이 사는 숲은 우리의 마음과 정신 자체를 상징한다고 말해 주고 있다.

숲 속 요정은 자아의 모습이며, 많은 동물들은 생각과 감정들, 그리고 특성, 사냥꾼의 습격은 외부적 사건과 내부의 충격적 경험, 동굴 거인은 열등한 우리 안의 한 부분으로 표현했다고 한다.

물론, 작가가 쓴 의도대로 그림책을 보는 것이 좋다.

그렇지만, 작가의 의도와 다르게 내가 받은 느낌대로 그림책을 읽어 나가는 것 또한 독자의 소소한 재미가 아닐까?



B612_20190217_220751_631_edit.jpg

사냥꾼의 습격으로 인해 절벽으로 내려간 사슴과 숲 속 요정, 그리고 동굴 입구에서 괴물.

내가 마주치고 싶지 않은 모습은 무엇일까?

책을 보면서 동굴거인과 마주하게 된 숲 속 요정과 사슴의 모습이

'독서심리'로 풀면 좋을 장면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책 제목은 동굴 거인인데,

왜 책에서는 괴물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을까?



 

B612_20190210_202746_039_edit.jpg


 

책을 보고 난 후

책의 느낌을 살려 수채색연필로 색칠을 하고,

물을 묻혀 물감 느낌을 표현하며 컬러링북을 색칠하는 딸.

컬러링북이라고만 생각해도 좋았는데,

영어로 된 나만의 책을 만들 수 있어 더 좋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