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신 할망과 수복이 ㅣ 풀빛 그림 아이 69
김춘옥 지음, 장경혜 그림 / 풀빛 / 2018년 10월
평점 :
아이를 점지해 주는 신이 '삼신할미'이다.
지금 우리 아이들은 '삼신할미'에 대해 알고 있을까?
아이들과 그림책을 많이 보는 편임에도, 우리 설화를 그린 그림책을 많이 접하지 못했던 것 같다.
<삼신 할망과 수복이>라는 제목을 접하면서
내가 알고 있던 삼신할미가 떠올랐다.
아이들과 함께 보면 넘 좋을 것 같았다.
책 표지 색감이 너무 따스하다.
표지에 그려져 있는 할머니의 모습은 내 어렸을 적 할머니의 모습을 떠오르게 했다.
그리고, 잠을 자고 있는 아이는 우리 아이들이 어렸을 적 한참을 들여다 보며 신기해 했던 곤히 잠든 아이들의 모습을 떠올리게 했다.
그림책 표지만 봐도 절로 편안한 미소가 그려진다.
<삼신할망과 수복이>는 김춘옥 작가가 글을 쓰고 장경혜 작가가 그림을 그려 풀빛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이다.
<둥글둥글 지구촌 신화 이야기>, <울산에 없는 울산바위>, <서천꽃밭 한락궁이>등 옛이야기, 신활르 쓰신 김춘옥 작가의 책들 중 내가 접해봤던 책들도 몇 권 있었다.
수복 할아버지는 벽장 안에서 낡은 보자기를 찾아
빛 바랜 실타래를 꺼냈어.
그러고는 눈을 지그시 감고 먼 기억 속으로 서서히 빠져들었지.
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서천 꽃밭에서 삼신 할망이 준 생명 꽃을 품고 태어나는 아기들. 수복이가 받은 꽃은 노란 꽃이었다. 그 때 저승 할망이 확 달려 들었고, 꽃을 품은 수복이는 넘어졌다. 삼신 할망이 바로 달려와 저승 할망을 쫓아냈지만, 수복이가 갖고 있넌 꽃는 꽃잎이 숭숭 떨어져 나갔다. 수복이는 온전치 못한 꽃을 품고 어머니 배 속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삼신 할망은 늘 수복이 옆에서 수복이를 보살펴 주었다.
아이를 낳으면 대문에 금줄을 건다. 나 어렸을 적 동생이 태어났을 때 집 대문에 금줄을 걸었던 게 기억난다. 물론, 내가 아이들을 낳았을 때는 그런 것들이 없었지만...
금줄을 걸고, 삼신상을 차리고, 백일 떡을 돌리는지 재미있게 알 수 있다.
나도 아이들을 낳았을 때 삼신상을 차리고 백을 떡을 돌렸던 게 떠올랐다.
돌상을 차리고, 돌상에 올리는 물건들의 의미를 아이들과 이야기 나누기 좋다.
아이들에게 너희도 지금 옆에 너희를 보살펴 주는 삼신 할망이 있어.
라고 했더니 신기해한다.
색감이 너무 따뜻하고 예쁜 그림책.
그리고, 아이들에게 자연스럽게 생명의 소중함을 이야기 해 줄 주 있는 그림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