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 대장 샘 북극곰 꿈나무 그림책 44
이루리 지음, 주앙 바즈 드 카르발류 그림 / 북극곰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과 그림책을 보면서 처음 좋아하게 된 작가가 '존 버닝햄'이에요.

<검피아저씨의 뱃놀이>를 보고, 검피 아저씨 같은 어른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다른 육아서를 보는 것보다, 존 버닝햄 작가의 작품을 보는게 아이들에게 어떤 어른이 되어 주어야 할지 더 많은 생각을 하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전 존 버닝햄 작가의 작품들을 좋아해요.

<지각대장 존>은 좋아하는 분들이 참 많더라고요.

<아이들은 놀이가 밥이다>의 저자 편해문 작가님의 강연에 참석했을 때,

그 분 시선으로 만난 <지각대장 존>을 만났어요.

우리 아이들을 더 많이 놀게 해 주어야겠다 싶은 생각을 했었더랬죠.



 

IMG_20180723_152628_edit.jpg


 

<지각대장 존>이라는 작품이 있어서,

이루리 작가님의 <지각 대장 샘>이 나올 수 있었죠.

이루리 작가님의 <지구인에게>라는 도서에서 '지각대장 샘'을 처음 만났었죠.

낯익은 제목의 그림책..

네..

그 책에 있던 내용이 이렇게 그림책으로 탄생되었답니다.

'주앙 바즈 드 카르빌류'작가의 그림으로요.



IMG_20180723_152412_edit.jpg

모자는 머리에서 조금 떠 있고,

눈은 동그랗고, 손목의 시계를 보고 있어요.

한 손엔 가방이 들려 있고..

그 뒤를 악어, 사자, 고릴라가 따라가고 있어요.

두 마리의 생쥐도 열심히 뛰어 가고 있네요.

모자가 벗겨질 정도로 열심히 뛰고 있는 사람이 샘이겠죠?

시계를 보면서 뛰는 게 지각을 한 거 같아요.

그림만으로도 제목이 떠오르는 그림이에요.

뒤에 오는 악어, 사자, 고릴라는

네..

이루리 작가님이 페러디 한 <지각대장 존>에 나오는 동물들이랍니다.



IMG_20180723_152434_edit.jpg

선생님 이름은 '샘 이기픈 무른 마르지 안나니'입니다.

이름이 참 재미있어요.

샘이 깊은 물은 마르지 않나니...

<용비어천가>에 나오는 문장이죠.

샘 이기픈 무른 마르지 안나니..

입에 쩍쩍 달라 붙어요..ㅎㅎ

악어가 나타나서 샘의 가방을 물고 하수구 속으로 들어갑니다.



IMG_20180723_152456_edit.jpg

샘은 하수구를 따라 들어가 가방을 찾아 오느라 지각했어요.

"샘 이기픈 무른 마르지 안나니 선생님, 지각이예요!"

아이들의 표정이 냉랭해요.

"얘들아, 내 얘기 좀 들어 볼래? 내가 학교에 오는 길에 뭘 봤는지 아니? 바로 악어야!

하수구에서 악어가 나와서 내 가방을 물고 하수구로 들어갔어. 그래서 내가 어떻게 했는지 아니?"

샘은 자랑스럽게 이야기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아이들은 샘의 말을 듣지 않아요.

샘과 함께 움직이는 생쥐 두 마리는 어떤 의미일까요??


작가의 말을 보니 이루리 작가님은

<지각대장 존>에서 도와달라는 선생님의 부탁을 어린 존이 딱 잘라 거절한 것이 충격이었대요. 그래서 <지각대장 샘>을 만날 수 있게 된 것이랍니다.

<지각 대장 샘>은 지각하는 선생님을 위로하는 작품이라고 해요. 그리고, 호기심 많은 선생님을 위로하는 작품이고, 상상하는 선생님을 위로하는 작품이랍니다.


<지각대장 샘>을 딸 반에 들어 가 책 읽어 주는 날 함께 읽어 주었어요.

<지각대장 존>을 읽은 친구들도 있고, 읽지 않은 친구들도 있어서,

조금 고민이 되기는 했지만,

아이들과 참 재미있게 읽었어요.

그림이 보이지 않는다고 뒤에 앉은 아이들이 앞으로 나와 옹기종기 모여 앉아 그림책에 빠져 드는 모습이

너무나 사랑스러웠어요.

아이들은 '지각대장 샘'의 모험 이야기를 재미있어 했어요.

전에 <늦을랑 말랑, 크라토치빌 선생님>을 읽어 준 적이 있거든요.

아이들이 그 책 내용을 기억하고 있어서..

샘과 크라토치빌 선생님을 비교하며 볼 수 있었어요.

아이들도 자신들을 사랑하는 샘 선생님의 마음을 느낄 수 있었듯이..

함께 책을 본 아이들도,

그런 따스한 마음을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